View : 584 Download: 0

文學敎材의 效率的인 指導方案 硏究

Title
文學敎材의 效率的인 指導方案 硏究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efficient literary teaching materials
Authors
趙連順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문학교재지도방안중학교국어 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상태
Abstract
This thesis studied the essence and basic direction of the literary education of a secondary school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literary education. This study argued that the major goals of literary education be to increase the imagination power of a student and to enhance his aesthetic sensitivity by teaching literature not as a knowledge but as a culture. Among the ultimate objectives of school education of creating, developing culture and preserving it, literary education important role to such goals. Education of literature means to teach how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and a meassage in the literary works. Primarily literature gives joy and vitalizes a student's life by experiencing various kinds of life in literary works. It helps a student grow both mentally and spiritually, after all a student can grow as the whole man. Futhermore can establish his identity as a respectable human being and a member of a society through harmonious growth. In addition, literature offers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beauty of life and human nature. Therefore the literature should be educated i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student's potential power to observe the life, nature and universe at large. The current literary education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quiring literary knowledge for higher school. Literature has been treated and analized as a bunch of knowledge. On the contrary, true genuine education for how to appreciate and understand literature itself has been neglected. This thesis reviewed generally - accepted theories and aspects of literary education and the current problems in literary education in a secondary school. To survey wrrent state and problems of literary education a research questionaive to teachers and students was used, in which questions about problems in literary class and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toward literary works in their textbooks were asked. A class for teaching literature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its purpose. Before conducting a literary class, many related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nd studied, such as a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his literary backgrounds and the literary theories. The literature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view point and a literary work should be considered as a subject of experience in emotional level as well as a subject of learning in cognitive level. This thesis presented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of the liter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aspects mentioned above. The class model was limited to poetry and novels excluding other literary genre. Besides, the study reviewed poetry and novels in the current Korean books to judge its appropriateness for desiable literary education from two points of view, one from the teaching experience, and the other from the ba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a secondary school. Generally widely-used class models are often provided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speciality of each literary genre. Therefore some modification is advis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terary genre.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a teacher's role for efficient literary education is essential. A literary teacher himself requires to have deep comprehention and knowledge about literature and to evaluate a student not by his scores on the test which only estimate knowledge of literary works but by the process of broadening his perspective toward ife and nature. The Literary teacher should understand that a student can enrich his life with encountering the variety of literary works. It is true that literature can deepen a student's ideas toward culture and sharpen his intellectul ability. The literary education and evaluation should include all these outlooks. For more efficient literary education, a great effort should be made in creating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and theory, and in designing evaluation method.;오늘날은 物質文明을 숭상하는 時代的, 社會的 현실로 인하여 인간의 근본적인 心性이라 볼 수 있는 感性을 啓發하거나, 풍부한 정서함양 및 想像力을 키워가는데 소홀해지기 쉽다. 따라서, 感受性이 예민하고 사회 및 자연현상에 호기심이 많은 中學生들의 심성도야와 인간형성의 측면에서 文學敎育의 意義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아름답고 감동적인 文學作品을 읽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감상력을 길러 준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文學敎材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방안으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文學敎育의 實態를 分析하여 그 개선점을 모색하고, 기존의 文學理論에 의거하여 학습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授業模型을 제시함으로써 올바른 문학교육의 정립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또한 현행 제 5차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文學領域에 대해 중점적으로 考察하고 문학교육 목표에 의거하여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게재된 詩와 小說을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 適用할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시와 소설로 한정하여 構案해 봄으로써 문학지도 내용의 充實性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재검토 하였다. 근자에 이르러서는 학교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라 설정된 지침에 의하면 종래의 언어능력 위주의 實用主義的 국어교육에서 문학중심의 理想主義的 입장을 强化하고 있다. 같은 국어라고는 하지만 言語敎育과 文學敎育이 각기 점유하고 있는 위치와 목표가 구별되어 그 學習方法이나 學習形態, 指導方法에는 큰 차이가 있어야 한다. 현행 제 5 차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국어과 문학영역은 문학이론에 바탕을 둔 작품의 감상을 통하여 높은 수준의 知的 能力을 발달시켜 주며 예술로서의 문학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현행 중학교 국어과 문학교육은 방향 및 목표설정에 混線을 거듭해 수업현장에서 문학교육의 방법을 혁신하지 못한 채 단지 일방적 강의 중심의 수업방식을 踏襲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全般的으로 국어과 교사들의 문학영역 지도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바뀌어져, 문학지식을 설명하고 判書하여 획일적으로 외게 하는 注入式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학생 자신의 體驗과 관련지어 문제를 제기하고 토론하는 對話式 수업 방식으로 改善되고 定着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學校敎育의 차원에서는 학생들이 무엇보다도 읽기에 중점을 두어 主題와 素材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문학작품을 읽으며 표현방법과 형식, 인간의 문제와 정서, 가치와 이상등에 관하여 스스로 생각하고 評價하며 자신의 관점을 형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문학작품을 읽음으로써 삶의 經驗을 풍부하고 깊이 있게 하여 인간에 대한 폭 넓은 理解를 하고 올바른 삶의 指向을 찾을 수 있다. 문학작품은 藝術性과 아울러 敎育的 측면에서 엄선되어야 한다. 뛰어난 작품은 敎育性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훌륭한 작품은 학생들로 하여금 바람직한 성인으로서의 성장을 돕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학생들이 흥미를 느껴 共感帶를 형성할 수 있는 참신한 작품, 문학적 價値가 뛰어난 작품을 선택하여 문학작품을 학습하는 가운데 풍부한 情緖, 조화로운 感性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학영역의 評價에서는 문학적 사고를 强化시켜 줄 수 있는 유형의 문항을 創意的으로개발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컨대, 작품읽기와 관련된 학생들의 間接體驗을 바탕으로 독후감을 써서 발표하게 하거나, 교수학습 활동과정에서 쓰기 또는 말하기 둥 학생들의 구체적 言語活動을 직접 관찰하여 누가기록해 가는 방법등이 모색되어야 할 과제이다. 문학작품을 공부하는 窮極的 목적이 예술적 가치를 깨닫고 예술적 감동을 통해 情緖를 純化시키고 人格을 完成시키는데 있음을 인식시키고 실제 수업은 학생 스스로 작품을 즐기는 가운데 다양한 삶의 모습을 이해하며 전체적으로는 품을 감상하는 것을 중심으로 기타의 原理, 理論 등이 包括的으로 다루어지는 것이 文學敎育의 측면에서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