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강희-
dc.creator이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7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8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9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877-
dc.description.abstract최근 80년대의 회화는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속에서 다양한 실험 정신과 표현 방식이 현존하는 복합성을 지니게 되었다.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은 이러한 시대적 조류속에서 궁극적 실체를 잃어버린 모더니즘(Modernism)의 한계를 규정짓고, 미술을 어떤 생명력을 지닌 의미 구조로 파악하는 새로운 경향으로 대두되었다. 위협받고 있는 세계에 대한 항거·불신으로 문화 전반에 걸쳐 다각적으로 일어난 이 경향은, 예술에 있어서는 자연에로의 회귀와 인간 본성의 인식을 목표로 하면서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고 내용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주체성 상실 시대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은 개인의 정체성을 빠르게 파악하고 예술의 진정한 비판력과 개인성의 참다운 발현을 모색한다는 관점에서, 본인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자연의 신비로움에 관심을 갖고 유기체적 형태에 의한 생(生)의 이미지를 역사 이전 의 원초적이고 자연스러운 생성공간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완벽한 형태보다는 자유분방한 유기체적 형태를 통해서 생명의 상징을 표현하고자 했는데, 도식적인 선보다는 비정형적이고 비대칭적인 곡선으로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형상들을 유도하였다. 유동적인 곡선이 지니는 힘과 운동감이, 생성하는 무한한 공간을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인의 작품을 1920년대의 초현실주의(Surrealism)의 영향을 받아 자연이나 생물로부터 유기체적 형태를 유추해내고자 했던 바이오 모픽 아트(Biomorphic Art)의 이미지와 관련지어 고찰해보고, 유기적·생태학적인 형태의 생명감을 주제로 다루는 호안미로(Joan Miro`:1893∼1983)와 앙드레 마송(Andre Masson:1896∼1987), 벽면 낙서와 같은 선·기호 등의 형상을 통하여 내적 이미지 표현에 도달하려고 했던 사이 톰블리(Cy Twombly:1929∼ )등을 참고 작가로 선정하여 본인의 작품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 제작에 관련지어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을 연구하고 본인의 작품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 연구에서는, 배경에서 나타난 원초적 생성 공간의 이미지와 유기체를 은유하는 상징·기호 등의 형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방법적 연구로는, 자동기술법(Automatism)적인 표현 방법과 그 영역의 확장이라는 점에서 설치작업(Installation)을 통해 나타난 생명의 메카니즘의 문제를 더욱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또한, 캔버스와 상자의 결합을 보이는 작품에서는 회화와 조각이라는 고전적인 장르의 개념을 초월하여 보다 총체적인 차원에서의 예술 행위에 관한 언급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을 직접 분석함으로써, 자연의 본질적인 것에 대한 관심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앞으로의 더 나은 진솔한 표현을 위한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Paintings have had complexity, in the fast-changing society, with various experimental minds and expressive ways, in recent 1980's. Influenced by these flows, Post-modernism has framed the limit of Modernism deprived of the ultimate reality, and staged itself as a new trend to understand art as a meaning structure having vitality. Multilateral distrust and rebellion have raised through the whole culture against the threatened world, and staged the "return to nature", the importance of contents overwhelming the limit of formal modernism aware of human nature. In the age of absent identity, Post-modernism quickly seizes an individual identity and finds out true realization of individuals. In this point of view, I intended to have access to natural and fundamental prehistoric generating space through the images of life by organic forms, with interest in mystery of nature not being made artificially. I was to express an allusion(or a symbol) on life through the organic vague images more than complete ones. Expressions reveal as not formative lines but informative and non-symmetric curves to make various and changeful forms. It is the reason that I decided that the liquid curves have power, and its motivation matches those vital life space, unlimited. To be relevant to my works, this paper analyzes the Biomorphic images which infer vital forms from vital organs or nature things, as a style of abstract art influenced by 1920's Surrealism. It should be helpful that Joan Miro´ (1893-1983), Andre´ Masson(1896∼ 1987), and Cy Twombly (1929∼) are chosen as reference; the former to deal with vitality of organic and ecological living things, and the latter to compete the image expressions with the theme of vestigial metaphor like lines and signs on wall paintings. This paper is consisted of contents, methods and the analysis of my works. In the analysis of its contents, it deals with the vital images as symbol or signs inferring images and organic bodies in fundamental generating space. In the analysis of its methods, it deals with the problems of vital mechanism through description 'Automatism' which is shown as a record of action, and 'Installation'. I made a trial to bring art to a pure 'record of action' beyond classical genre, namely, paintings and sculpture. Finally by examples and analysis of my works I would find out my identity with more true expressions having concern of the essence of na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내용과 방법 = 3 Ⅱ. 본론 = 5 A. 내용적 연구 = 5 1. 배경에 나타난 원초적 생성 공간 = 5 2. 유기체를 은유하는 상징적 이미지 = 10 B. 방법적 연구 = 15 1. 자동주의적인 표현 방법 = 15 2. 설치작업에 나타난 생의 이미지 = 18 C. 참고 작품 = 20 D. 본인 작품 분석 = 22 Ⅲ. 결론 = 38 참고문헌 = 40 ABSTRACTS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79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기체적형태-
dc.subject-
dc.subject이미지표현-
dc.title유기체적 형태에 의한 생(生)의 이미지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age expressions of life by organic forms-
dc.format.pagevi, 4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