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5 Download: 0

墨과 彩色에 의한 感性的 空間硏究

Title
墨과 彩色에 의한 感性的 空間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nsitive Space by Chinese Ink and Coloration
Authors
李洋淑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채색감성적공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owaday painting has its essential meaning in reflecting the subjective, internal world felt from the object rather than reappearing the object. This means to express human internal experience; it is what the mental movement as internal reality which tries to overcome the norms that came to be traditional refuses all the formality and leads to being grafted with the organic body so called 'paintings'. The will toward abstract for returning to the inside of the concealed content after having flowed out of spirit breaks away from logic reference and results in diverse transformation in the theme and technique, and which finally results in possessing the reasonability of an extended methodology not by the objective point of view to define and regulate the essence of painting but as individual, personal reserach of ego. That is, the necessity of accidental effect-a product of unconsciousness increases, moreover, with the mission of art that is to contribute to the recovery of human nature being more surely supported, it is deemed that the will to abstract approaches to the essence of painting. This is that the inernal and external expression of an artist is realized with a meaning of the nature of 'a photographic intention'; and its context, what is the same as the nature of abstract by Orienntal thinking, depends upon the point that it pursues the essence freed from conceptual attributes. This study, based on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beauty, focuses on the mannifestation of sense. For the aspect of this author's feelings is not the propensity which is outwardly oriented spreading, and however a motive is set on inwardly sentiment as re-recognition of ego. Threrefore, it is not that a complete drawing exists in the head or mind, and however, there are stages through which a drawing is matured as the sense in mind gets through the process of fermentation. In its result, while pursuing the nature of abstrace existing at the back of subjectivity, it was intended to extract the potential image of sentimental elements which are possessed by this author into the absolute space of sense. On the process of production, how Chinse ink and coloration are harmonized can be observed closely, and it was intened that by the Indian-ink or Chinse-ink tecnique, the thin ink color gives a feeling to the viewer that it flows freely and accidently, and as the psychological reflection of internal language, the character or disposition of both Chinese ink and coloration can be accepted to the full and harmonized by means of necessarily harmonizing emotional color tone as the psychological reflection of internal language. Thereby, it was tried that the concrete establishment into the perceptive space which becomes more to be self -language through accident and necessity be proved. And also, what impact unconsciousness gives on creativity was lighted, giving attention to the issue of variable mentality (nature). Through a study as explained so far, an opportunity through which the devlopment of the sense i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man into subjective expression can be reflected has been provid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s to theorize the new recognition of works in the future.;오늘날의 회화는 대상을 재현하기 보다는 주관적인 내면을 반영하는 데에 그 본질적 의미를 두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내면체험을 표현해 내는 것으로서, 전통화된 규범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내적실재(內的實在)로서의 심리움직임이 일체의 형식을 거부하며 회화라는 유기체와의 접목을 주도해 나가는 것이라 하겠다. 정신으로부터 흘러나와 감춰진 내용속으로 되돌아 가기 위한 추상(抽象)에의 의지는, 논리적인 연관을 이탈하며 주제와 기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모를 초래하고 있는데, 이는 회화의 본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관점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개별적이며 독자적인 자아탐구로서 확대된 방법론의 당위성을 갖게 한다. 즉, 무의식(無意識)의 산물인 우연한 효과에 대한 필연성이 증가되고, 나아가 회화가 인간의 심성회복에 기여한다는 예술의 사명을 좀더 확실히 뒷받침함으로서, 그 본질적 의미에 더 가까이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작가의 내적(內的), 외적(外的) 표현이 사의성(寫意性)의 의미를 갖고 실현되는 것인데, 그 맥락은 동양적인 사유(思惟)에 의한 추상성과도 같은 것으로서 개념적 속성을 벗어난 본질추구라는 점에 의거 하고 있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전통미의식을 기조(基組)로 하여 감성의 발현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본인의 심정적인 측면이 외부지향적인 펼침의 성향이 아니라, 자아에 대한 재인식으로서의 내향적 정감(情感)에 동기를 두기 때문이다. 따라서 머리속에 완성된 그림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가슴속에 있는 감성(感性)이 발효과정을 거치듯이 숙성(熟成)되는 단계를 갖게 되는데 이는 주관적 배후에 존재하는 추상성을 추구하면서, 결과적으로 본인이 갖고 있는 서정적 요소의 잠재 이미지(image)를 감성의 절대공간으로 추출하고자 한 것이라 하겠다. 제작과정에 있어서는 묵(墨)과 채색(彩色)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연결되는 지를 살펴볼 수 있는데, 수묵(水墨) 기법으로 자유롭고 우연적인 흐름을 주고, 그 위에 내면언어의 심리반영으로서의 감성적색조를 필연적으로 조화되게 하므로서, 묵과 채색이 서로의 성질을 최정선까지 수용하고 화합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우연(偶然)과 필연(必然)의 과정을 통해 한층 더 자기 언어화되어가는 지각 공간으로서의 구체적 확립을 입증하고자 하였으며, 무의식이 예술의 창조성(創造性)에 어떠한 영향을 주게되는지도 가변적인 심성의 문제에 주목하여 조명해 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본인은 예술과 민간과의 관계에 있어 감성이라는 주관적 표현으로의 전개를 투영(透影)해보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앞으로의 작품에 대한 새로운 인식정립의 기초를 제시하는 장(場)으로 삼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