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2 Download: 0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구비문학 작품 수록 양상과 적정성 분석

Title
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구비문학 작품 수록 양상과 적정성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Aspects of Oral Literature Works Contained in High School Korean Textbook
Authors
黃海淑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고등학교국어과 교과서구비문학수록 양상적정성 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태옥
Abstract
Oral literatures are National and People's literature that reflect people's belief,Custom,Structure of thought and the View of value. These are "The Fountain" that spring out several Forms of the Written literatures. For thousands of years,the Wisdom of life was acculmulated to the Community & Experience in the form of the oral literature. So the oral literature has brought light to the People's living & wisdom. The oral literatures have not only educational roles but also the Role of sustaing National homogenity. Therefore the education of the oralliteratur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field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because of the needs of the times. In this Research, I have tried to may find a solution to the right teaching method of the oral literature through examining the Textbooks that guide the education of the oral literature. Chapter Ⅰ In chapter 1, I suggested the necessity & object of this research,and reviewed the existing history of research. Then I suggested the extent of research & the Research Method. In Chapter 2, I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al literature & the Educational necessity And,through them,I presented the object & the Significance & purpose of the education of the oral literature. In Chapter 3, I tried to find out where the location of the oral literature education stands in the literatural educa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through discussing the case of Korean textbooks & literatural textbooks. In the case of Korean textbook the number of the oral literature is much less than the written literature. But in the aspect of the Gangre of Korean literature & the volumes that is collected in textbook,it is fairly acceptable. But-here I is not pointed out the problem:The selection of the oral literature's ganre is not diverse. Thus,I proposed the selection of the Folk song & folk tale. In the case of literatural textbook,the number of the oral literatures of today has been increased,compared to the number of the oral literatures at the 3 & 4" Educational period. And for the first time,the Exocist's song has been accepted. In the case of the eight-literatural-textbooks in spite of differences in selecting works of literature,the major ganre of the oral literature is printed evenly thus providing the foundation of bringing the education of oral literature into existence systemayically in the world of literature education. In Chapter 4, In view of praxis,I analyzed the adaptability of each work that is recorded in textbook. And looked through the effective ways of teaching each ganres. In order to get the validity of analyzing process,I have get the criteria of seslection of text,in various aspects of the format theory,moral theory and acceptable theory. As a result,there seemed to be no problem,that is commonly used. We can point out the inefficiency of "The view of textbook in open structure". However the aim of "The view of textbook in open structure". The causes are the theory of the education of the oral literature not being established,and text being published based on the past text,rather than of new source,therefore each textbook comes out alike,considering the level in high school & searching for new materials in progressive & opened text,the Education of multi-sided view can be put into practice. In Chapter 5, I summurized the discussion that already has been mentioned. With all the insuffciency, I wish contents mentioned in this study give light to the text books in the next educational curriculum and play an important role to make various and advanced text books and to establish progressive and effective oral-literature-education.;구비문학은 민중들의 신앙, 관습, 의식구조, 가치관을 반영한 민족, 민중 문학으로 여러 형태의 기록문학을 산출한 연원이다. 그리고 문자 생성 이전부터 집단의 생활과 경험 속에서 우러나온 삶의 지혜가 축적되어 그곳에 융해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 교육 이전부터 수천년 동안에 걸쳐서 민중들의 삶의 도리와 지혜를 깨우쳐 주었다. 그러므로 구비문학은 교육성을 지닌 동시에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시켜 주는 구실을 하므로 구비문학 교육은 문학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시대의 요구에 따라 그 중요성이 점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구비문학 교육을 선도하는 일차적 매체가 교과서라는 인식아래 구비문학 교육의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으로 우선 구비문학 제재를 수용한 교과서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제Ⅰ장 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기존의 연구사를 검토한 후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구비문학의 성격과 교육적 당위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구비문학 교육의 목적과 의의를 정립하였다. 제Ⅲ장에서는 현 교육 상황에서 구비문학이 문학교육 영역에서 어느 정도 중요한 위치를 점위하고 있는 지에 대하여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를 토대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국어 교과서의 경우는 기록문학에 비하여 작품의 편수 면에서 부족하지만 국문학 장르면과 수록된 분량면에서는 별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구비문학 장르 설정이 다양하지 못하였으므로, 민요나 설화 제재의 선정을 제안해 보았다. 문학 교과서의 경우에는 제3차, 제4차 교육과정기에 비하여 구비문학 작품의 수가 증가하였고 무가가 처음으로 수용되었다. 8종 문학 교과서의 경우 각 교과서마다 수록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구비문학의 주요 장르가 고르게 수록되어 구비문학 교육이 본격적인 문학교육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제Ⅳ장에서는 구비문학 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 교과서에 선정된 각 제재의 적정성을 분석하고 각 장르에 따라 효율적인 교육방안을 간략히 모색해 보았다. 분석 과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재 선정 기준을 형식론적 측면, 도덕론적 측면, 수용론적 측면으로 설정하여 적용한 결과 선정된 제재들이 문학사의 평가를 견딘 가장 보편적인 것들이기 때문에 별 문제점이 지적되지는 않았으나 현행 교육과정에서 취하고 있는 '열린 구조의 교재관'의 취지를 충분히 살리지 못한 점이 지적되었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구비문학 교육에 대한 이론이 제대로 축적되지 못하였고 새로운 교재를 발굴하기 보다는 과거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들을 대부분 답습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각 교과서마다 제재 수용의 중복 사태가 심하게 빚어졌다. 풍부한 구비문학 작품들 속에서 고등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고, 새로운 교재관의 취지에 알맞도록 진보적이고 개방된 자세로 제재를 발굴한다면 구비문학 교육이 다각적인 관점에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제Ⅴ장 결론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여 정리하고 마무리 지었다. 구비문학의 교육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구비문학 교육이 본 궤도에 오를 것을 바라면서 본 고에서 논의된 문제점들이 차기 교육과정에서 채택될 교과서에 반영되어 구비문학 교육에 보탬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