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국민학교 산수과 소수학습에서 구체물 자료 적용의 효과 연구

Title
국민학교 산수과 소수학습에서 구체물 자료 적용의 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Concrete Material Data at the Decimal Fraction Study of Arithmetic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김자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국민학교산수소수학습구체물 자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연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처음 소수 개념을 배우는 3학년 아동에게 알맞는 구체물 자료 중심의 소수 학습 단원을 개발, 실시하여 구체물 자료의 종류별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선행 연구 단원과 현 교육 과정을 접목하여 단원의 활동 목표와 내용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천 M 국민학교 3학년 세 학급에서 134명 아동으로 하였다. 수학 활동은 자습 시간과 정규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5차시동안 통제 집단인 한 학급에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소수를 지도하였고, 실험집단인 두 학급에는 소수의 개념적 특징을 강조한 구체물 자료 학습(단속적 자료를 사용한 학습, 연속적 자료를 사용한 학습)으로 지도하였다. 1992년 11월에 본 단원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반을 선정 예비 단원을 5일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정 보완된 단원은 2주간의 본 실험에서 실시되었다. 단원 평가는 지필검사의 방법으로 단원 실시 이전, 매차시 후, 사후에 실시하여 각 학습의 효과를 알아보았고, 아동 세 명과의 개별 면담으로 아동들이 어떻게 학습하는지 과정을 살펴보았다. 결과는 통제 집단과 실험반 비교에 대해서는 F 검증으로, 각 반 안에서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비교에는 t검증으로 알아 보았다. 개개인의 변화에 대해서는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아동들은 소수에 대해 어떻게 학습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총점에서 단속적, 연속적 자료로서 학습을 한 실험반이 통제 집단보다 정답자의 수가 더 많았는데 특히, 단속적 학습을 한 학급이 다른 학급에 비해 더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다른 학습에 비하여 구체물 자료를 사용한 학습이 하위권 아동에게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할 만한 결과는 얻지 못하였다. 개별 면담 결과, 학업이 부진한 아동의 학습은 반복되는 전진과 후퇴의 학습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 지며, 구체물과 언어의 사용은 아동들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소수의 개념적 특징을 강조한 구체물 자료 학습은 소수 학습에 있어 강의식 학습보다 효과적이며, 특히 단속적 학습이 아동들의 수 개념 사고 활동을 더욱 증진시킨다. 다른 학습과 마찬가지로 구체물 자료를 가지고 하는 방법은 능력이 상위에 있는 아동 보다 하위권 아동에게 더 의의있었다. 그리고 부진한 아동들은 이해의 작은 부분들을 연결함에 있어 체계적이고 직선적인 발전이 아닌 예측할 수 없는 불완전한 이해를 통해 서서히 개념을 형성한다. 따라서 앞으로 국민학교 3학년 소수 학습이외의 수학 학습-특히, 새로운 개념 학습-에서도 개념 특징에 맞는 이론 분석을 하여 아동들의 내면화 표상을 돕는 구체물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by the kind of concrete material data, by developing and executing the unit of decimal fraction study centering around concrete material,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teaching data which is suitable for the children at the 3rd grade who learn new decimal fraction concept. For the goal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executed the decimal fraction study on the children of 3 classes at the 3rd grade in Incheon M Elementary School, by composing the activity goal and contents of unit, after grafting the set of study precedent and present curriculum. During 5th time, this researcher instructed the decimal fraction with the teaching of lecture type in control group, and this researcher instructed with the study of concrete material data in experiment class. In the unit evaluation, this researcher examined, with the examination based on paper and pen and the individual interview. As for the result, this researcher examined with F verification, about the comparison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class. And, this researcher examined with t verification, about the comparison by ability level. And, this researcher examined with qualitative method, about individual change. To examine the result, in the post examina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earranged examination, experiment class rather than control group had more number of right respondents. Especially, the class in which the discrete study was made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other class. But this researcher failed to obtain the result to be able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maybe, the study to use the concrete material data will be more effective to the children of lower rank range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y. As the result of individual interview, this researcher came to obtain the result that the study of children whose study is inactive is made slowly through the repeating study of progression and retreat. The result obtained through study result is as follows: The study of concrete material data is more effective than the study of lecture type, in the decimal fraction study. Especially, discrete study promotes the thinking activity of number concept of children all lthe more. The study of concrete material data was more significant to the children of lower rank range than the children of upper rank range, similarly to other study. And, the inactive children form the concept slowly, through the imperfect understanding which is unpredictable in linking the small parts of understanding. Thus, in the mathematics study except decimal fraction study also, the concrete material data to help the internal tendency symbol of children will have to be developed, by analyzing the theory which is suitable for the feature of 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