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4 Download: 0

具象과 抽象의 調和에 關한 硏究

Title
具象과 抽象의 調和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armony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Authors
姜信善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구상추상조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에 이르러 다시 內容을 중시하는 구상계열의 회화가 새롭게 등장했다. 추상적이고 개인적인 관념의 세계를 추구해온 모더니즘의 내적 논리에 대한 회의로부터 출발하였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70년대 후반 이후 형상성에 대한 요구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적인 自然主義의 사물의 再現이라는 문맥과는 다른 개념으로서, 구상적인 모습을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疏通이 가능한 또다른 具象繪畵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비대상회화가 가지지 못하는 구상의 설득력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대중적 疏通에 관심을 갖으면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동시대 회화는 구상 또는 추상의 일방적인 방법만이 통용되는 것이 아닌 抽象性과 具象性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의 多元主義(pluralism)라는 폭 넓은 입장을 취한다. 본인의 의도 또한 '疏通'을 위한 구상적 요소와 본인의 개성과 주관적 느낌을 표현하고자 하는 추상적 요소의 調和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 화면 위에서 구상성과 추상성의 조화로운 공존을 피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또한 이에 대한 理論的 體系化를 꾀하고자 하였다. 西歐 繪畵史에서 서로 대립적으로 다루어진 구상과 추상의 用語的 意味를 알아봄은 이 둘을 좀더 객관적으로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본고는 과거 서구 재현회화에서 출발하여 재현의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케 하는 寫眞技術의 發明과 현대회화로의 문을 연 印象主義를 거쳐, 비대상회화 즉 추상회화로, 그후 위에서 언급한 구상에로의 복귀로 인한 내용과 형식이 相互 補完關係에 있는 새롭고 자유로운 회화의 탄생으로 이어진 회화사를 통해 구상과 추상의 흐름을 연구 분석하였다. 20세기 현대미술의 無限한 造形의 可能性 探究 結果는 화면상 內容의 豊富라는 긍정격 결과를 낳았으나 비판적 결과 또한 낳았다. 본 고에서는 그 결과에 대해 연구해 보고 그 원인은 무엇인가 알아보았다. 위와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구상과 추상의 조화를 화면상에 표현한 본인의 작품을 分析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작품제작에 도움을 받고자 한다.;The representational paintings which think much of a matter have showed up recently. It differs from the past traditional naturalism which revives things. It means another thing which expresses symbolically something through a figuration, therefore, it makes everyone can understand a painting. The study was started with being concerned about the popular understanding mentioned above. The new representational paintings take the stand that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harmoniz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it is in a same position with the pluralism of various method. The author's idea can be summarized that the factor of concreteness for the understanding harmonizes with that of abstraction for individuality and subjective feeling in a paint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the harmonical coexistence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on a screen and the theoretical systematization about that. The investigation of terminological meaning about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which are dealt with contrast 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becomes to look into the both with objective eyes. In terms of analyzing the histroy of painting, that is, from the Western revival paintings to the invention of photograph to the impressionism to the abstract paintings to the new representational paintings mentioned above, the author studied the current tendency of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The author tried to study the controversial points and solutions of 20 century Korean modem art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Western art. On the basis of theory studied above, the author analyzed its paintings and tried to have help for the future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