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복-
dc.creator이영복-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7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1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eachers' problem recognition in the course of 10th grade Technology / Home Economics(HE)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new textbook development in genera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personal backgrounds or traits do HE teachers have? Second, what kind of problems do teachers recognize in the 10th grade HE textbooks? Third, what kind of problems do HE teachers perceive in their teaching? Fourth,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due to 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or traits? Fifth, what are the desirable contents that are necessary to be included in the 10th grade HE textbook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58 HE teachers, out of 192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whose mail address were accessible were objected for this survey. Among 135 questionnaire sheets(54%) recollected, distributed through post mail or email, 133 sheets were taken into an account, ignoring 2 un-heartedly answered sheets. As for the analyzing process, the research adopted SPSS WIN 10.0 program for the data analysis with frequency, %,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And as the post-verification of one way ANOVA, Duncan test was operat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number of HE teachers who answered the survey ranges from 41 to 50 years old, with more than 21 year-old teaching career, and followed by 31 - 40 years old with 16 - 20 year-old teaching career. Their average class hours per week is between 16 and 18, with only 35.7% of the school taking Home Science subject, leaving the rest 64.3% untaken. The degree of subject contentment is relatively average high or more, and their recognition on social contribution of the HE subject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Second, HE teachers show considerable amount of discontentment with currently used HE textbooks, however, highly depending on those books for class lessons; most teachers refer to more than 2 kinds of school textbooks for their class preparation. Third, problems HE teachers perceive in their course are shown in the order of following sectors; supplement materials, textbook contents, experiment-practice, curriculum operation. The problem in the sector of supplement materials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lack of various materials or appendix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to class activities. As for textbook contents, instead of instrumental and technical knowledge based contents or out-dated contents, more practical contents are required with a view to students' forming of analytic attitude toward fast changing society' or for 'career discovery and its ethics'. In experiment-practice related sector, insufficient contents for principal practices which possibly apply to social change wer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tents for experiment which account for the procedure and principles rather than result itself are in short as well. Also, the fact that excessive numbers or amount of the textbook contents was perceived as a main problem in the curricular operation of [Home life and its reality], leaving HE teachers heavy-loaded in short of time due to the lessened class hours. Fourth, the result from HE teachers' personal traits or background analysis shows that 'age difference' is attributed to one of the meaningful variations on the recognition on the problems in HE teaching. Also, 'the number of class hours per week' is accounted for the most significant variation with regard to the supplement material problem. Whether teachers' having taken Home Science previously or not does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text contents and the contentment with the HE subj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HE subjects is considered as a meaningful factor on how HE teachers recognize problems in curricular operation, text contents, aid materials, and so on. Teaching profession career and HE subject social contribution, however, does not operate as a meaningful factor. Fifth, new contents for the lesson of "Cultural Change in Home Life" in the HE textbooks are most highly demanded. Specially, contents in terms of "Family Problems and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 Dietary and Healthy life," "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are also on high demand. For the lessons on 'Marriage and Child Care', "Pregnancy Plan and Contraception," " Abortion Problem," "Advantage of Breast-feeding," "Importance of Attachment and Trust Building," "Significance of desirable basic habit formation" are also highly required. In short, new contents organization, which interests students to enhance their knowledge and capability that helps them recognize, analyze and solve upcoming problems for the sake of healthy family and social life in the future, is strongly necessary. Also, to make HE classes more effective, actual curricular amendment in insightful perspective, absolutely with more HE class hours, is on high demand.;본 연구는 10학년 기술ㆍ가정 교과 중 가정 교과에 대한 인식 및 교과 내용 구성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가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가정과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10학년 가정 교과서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10학년 가정 교과 지도 시 문제점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가정과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정 교과 지도 시 문제점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새로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10학년 가정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는 어떠한가이다. 조사대상자는 교육인적자원부 통계연감에 나와 있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192개 고등학교의 가정과 교사와 전자우편 주소 획득이 가능한 58명의 가정과 교사이다. 일반우편과 전자우편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135부(54%)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2부를 제외하고 총133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고, one way ANOVA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답한 가정과 교사는 41~50세, 31~40세의 순으로 많고, 교직경력은 21년 이상, 16년~20년의 순으로 많다. 사범계가 비사범계보다 많고, 교과 담당 과목은 가정이 기술ㆍ가정보다 많다. 주당 수업 시간은 16~18시간으로 가장 많고,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가정 과학 선택은 35.7%, 선택이 안 된 학교는 64.3%로 선택이 안 된 학교가 더 많았다. 가정 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높거나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가정 과목의 사회 기여도는 과반수이상이 기여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가정과 교사는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에 대한 불만의 정도가 높으며, 교과서 의존도는 많이 의존이 26.5%이다. 교사가 수업에 참조하는 교과서의 수는 대부분의 교사가 2종류 이상을 참조하고 있다. 셋째, 가정 교과 지도 시 교사들이 인식하는 문제의 영역은 보조 자료, 교과내용, 실험ㆍ실습, 교과운영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조자료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내용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부족’, ‘다양한 부록 내용 부족’이었으며, 교과내용은 ‘사회 현상과 변화에 대하여 실천 비판적인 태도 형성을 위한 내용 부족’, ‘단편적인 지식 위주의 교과 내용과 도구적이고 기술적인 교과 내용’, ‘일, 진로, 직업윤리에 대한 내용 부족’, ‘사회 변화의 속도에 뒤떨어진 교과 내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ㆍ실습에서는 ‘사회 변화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적인 실습 내용 부족’, ‘결과보다는 과정과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실험 내용 부족’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다. 교과운영상의 문제는 ‘수업시수 감소로 실습할 시간이 부족한 교육현실에서「가정생활의 실제」단원의 내용과 쪽수의 과다’를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다. 넷째, 가정과 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가정 교과 지도 시 문제점 인식을 분석한 결과 연령은 교과운영, 주당수업시간은 보조자료, 가정과학 선택여부는 교과내용에 대한 문제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이다. 가정과목 만족도는 교과운영, 교과내용, 보조 자료에 대한 문제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이다. 그러나 교직경력, 전공대학, 교과 담당 과목, 가정 과목 사회 기여도는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지 않는다. 다섯째, 가정 교과서의 단원별 내용구성 요구도에서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은 매우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특히 ‘현대사회에서의 가족문제와 의사소통’, ‘식생활과 건강’, ‘저 출산율과 노령화의 문제’에 대한 내용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혼과 육아 단원에서는 ‘계획적인 임신과 피임’, ‘부모 됨의 의미와 역할’, ‘낙태의 문제점’, ‘모유의 우수성’, ‘애착형성과 신뢰감의 중요성’, ‘기본 생활 습관의 중요성’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 이상과 같이 가정 교과는 단순한 지식전달과 기능위주의 내용 구성보다는 현대 및 미래의 건강한 가정과 사회생활을 위하여 다양한 문제를 인식하고 비판하며 해결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의 형성을 위한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가정교과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절대적인 수업 시수의 확보와 더불어 좀더 학교 현장의 현실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정과 이에 따른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가정 교과의 내용 구성 5 1. 교과서 이해 5 2. 가정 교과서의 내용 체계와 요구 8 B. 가정 교과의 문제점 13 C. 선행 연구 고찰 17 Ⅲ. 연구 방법 20 A. 연구 대상 및 표집 방법 20 B. 조사도구 22 C. 자료 분석 방법 26 IV. 연구결과 및 해석 27 A . 가정 교과서에 대한 가정과 교사들의 인식 27 B. 가정교과 지도 시 문제점 29 1. 가정 교과 지도 시 문제점 인식의 정도 2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 교과 지도 시 문제점 인식의 차이 32 C. 가정 교과서의 단원별 내용 구성에 대한 요구도 35 1.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에 대한 요구도 35 2. 가족생활 주기와 생활설계 단원에 대한 요구도 37 3. 결혼과 육아 단원에 대한 요구도 38 4. 초대와 행사의 계획과 준비 단원에 대한 요구도 40 5. 직물을 이용한 생활 용품 만들기 단원에 대한 요구도 42 6.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에 대한 요구도 44 V. 결론 및 논의 46 참고문헌 55 부록 60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0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가정교과 지도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과 교과서 내용 구성에 대한 요구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n Analysis of the problem recognition in the courses of current high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ts Demand on the new textbook contents-
dc.creator.othernameLee, Young Bog-
dc.format.pagev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