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육행동, 아동의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육행동, 아동의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S,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ing and Children's Friendship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uthors
송신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양육행동, 그리고 아동의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의 남녀아 237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김혜신(2003)이 Olson과 Barnes(1982)의 Quality of life와 Radloff(1977)의 CES-D를 참고로 수정ㆍ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한편, 어머니의 양육행동 측정을 위해서는 박성연ㆍ이숙(1990)과 이미정(1998)의 도구를 사용하여 합리적 지도, 애정, 지시/통제, 거부/적대 행동을 측정하였다. 아동의 친구관계는 친한 친구의 수를 물었고, Dubow와 Ulman(1989)의 사회적 지지 척도(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SSAS) 중 친구에 관한 문항을 사용하여 친구의 지지를 측정하였다. 또한 민병수(1991)의 척도를 수정해 교사, 학습, 규칙, 행사에 대한 아동의 학교적응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각 변인들의 기술적 통계치와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통해 각 변인들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어머니의 양육행동, 그리고 아동의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한 결과 두 가지 경로가 나타났다. 첫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을 통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우울 수준이 낮으며, 이렇게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이 높을수록 아동은 학교에서 적응을 잘한다. 둘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을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이러한 양육행동은 아동의 친구관계를 통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즉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수준은 높으며 이에 따라 어머니는 아동을 합리적으로 지도하고, 애정적으로 대하며 지시/통제, 거부/적대적 양육행동은 덜 한다. 어머니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양육행동은 아동이 가진 친구 수와 아동이 지각하는 친구의 지지에 정적인 영향을 주어, 아동이 학교적응을 잘하도록 도와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친구관계를 통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밝힘으로써 학교적응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경험적인 자료 및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용적 의의가 있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SES,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ing and children's friendship related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237 children enrolled in the 5, 6th years in elementary school was the subject of the study. Children reported on their friendship and school adjustment. The questionnaires for demographic variables,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behavior were completed by their mothers. The data were analyzed vi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oeconomic status estimated by parental educational level and a total of income of family was positively related to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parenting.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ll categories of parenting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positive parenting and children's friendship were correlated with the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path analysis of antecedent variables influencing on child school adjustment revealed two different patterns: One of the paths is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d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The other one is that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effected by socioeconomic status contributes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positive parenting and children's friendship. Focusing on matern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implication for promoting child school adjustment was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