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74 Download: 0

흐리기를 통한 낯선 일상의 재현

Title
흐리기를 통한 낯선 일상의 재현
Other Titles
Representation of uncanny ordinariness with variety
Authors
신수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인의 작업은 일상에서 익숙한 사물과 풍경들을 새롭게 체험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본인의 경험은 일상적인 사물이 낯설게 보임으로 인해서 사물에 잠재되어 있는 또 다른 모습을 느끼고 상상을 통해 일상적인 사물과 정서적 교류를 하게 되는 것이었다. 일상은 매일매일 되풀이 된다는 그 의미로 인해서 사람들에게 익숙함을 주고 그것은 일상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본인은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서 일상 속 그동안 지나쳤던 가능성을 생각하게 되었고 이것을 작업으로 연결하게 되었다. 프로이트는 익숙함에서 비롯되는 이러한 낯설음을 ‘언캐니(uncanny)'로 설명하고 있는데 잠재된 원초적인 무의식이 의식 가까이로 떠오르면서 경험되는 것이라 말하고 있다. 그의 견해를 통해 본다면 본인이 생각하는 사물 속의 생명을 가진 듯한 또 다른 모습은 정령 사상적 무의식이 사물을 통해 깨어남으로 체험되는 낯설음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본인에게 낯설게 보이는 일상적인 사물의 풍경은 본인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변형되고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상상을 통해 일상적인 사물은 단지 낯설어진 사물이 아니라 본인과 정서적으로 교류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물과의 이와 같은 정서적인 교류는 본인으로 하여금 일상적인 사물을 특별하게 여기도록 해주었다. 본인은 앞서 말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상적인 사물의 풍경을 다른 모습이 숨어 있는 듯한 낯선 모습으로 만듦으로써 관람자의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작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재현’의 개념 안에서 설명될 수 있는데 오늘날의 회화에 있어 재현은 대상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재현하는 사람의 시각을 강조하면서 실제의 이미지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형은 작가의 사상, 개념 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작가의 사상 뿐 만 아니라 관람자의 해석이 개입될 수 있는 여지를 극대화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에서는 사물을 생명을 지닌 듯한 또 다른 모습이 머물러 있는 곳으로 생각하는 본인의 시각과 관람자의의 상상력을 자극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일상을 새롭게 재현하고 있다고 하겠다. 작업의 과정은 사진기의 초점을 흐려 일상 사물의 풍경을 찍는 것으로 시작 된다. 이 방법으로 사물의 윤곽이 흐려지는데 이것은 마치 본인이 사물에서 느끼게 된 보이지 않았던 생명력의 흔적처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사진들을 또 다시 캔버스에 옮기는데, 사진 속 흐려진 사물의 윤곽을 조금 더 명확하게 만드는 방법과 색채에 변화를 줌으로써 일상 풍경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변형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회화는 일상을 어렴풋이 암시하게 되지만 실제와는 다른 변형된 모습으로 인해서 상상력을 더욱 자극하게 된다. 본인은 본인의 사진은 사진에서 흐려진 사물이 무엇이었는지를 중심으로 상상력을 한정 짓지만 이것을 다시 그린 회화는 더욱 다양한 상상력을 가능하게 해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진을 회화로 옮기는 작업을 하게 되었다. 본인은 이러한 과정으로 제작된 변형된 일상의 모습이 ‘마치~장면 같다.’, ‘마치~같다.’를 상상하도록 하는, 즉 다양한 상상을 자극하는 촉매제로서의 작품이 되기를 바란다. 본인은 익숙함으로 가려져 있었던 일상적인 것들을 다르게 보려는 시도를 통해 그동안 알지 못하였던 일상의 새로운 요소들과 상상력이 극대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알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본인의 작업은 일상의 재현을 통해 상상력을 자극하는 일상의 모습을 작품 속에 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My work began with renewing experiences in familiar objects and scenery from the daily life. My experiences perceived the potential distinct beings of everyday things and scenes by looking at them differently and interchanging emotionally with them by imagination. As daily life repeats, people feel familiar and finally get indifferent to everyday routines. However, through these trifle experiences, I realized the possibility that I have passed by and connected it with the work. Freud explained such unfamiliarity originated in familiarity as ‘uncanny,’ which occurs when potential original unconsciousness rises up close to consciousness. From his view, the distinct beings of things that I have perceived can be considered the unfamiliarity that is experienced as phenomenal unconsciousness comes to life. These everyday things and scenes that are seen unfamiliar to me stimulate my imagination, change themselves and tell new stories. Through the imagination, routine objects are not just unfamiliar things any longer but those which I can emotionally interchange with. Also, such emotional interchange with objects enables me to consider them special. Based on the experiences mentioned-above, I endeavored to create the work that can maximize spectators’ imagination by making an unfamiliar figure that seems to hide in the everyday things and scenes. The process can be explained as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and in today’s drawings, representation does not mean imitating the objects as is, but the reproducer emphasizes his/her view and transforms the actual image. This transformation implies the artist’s ideology and concepts and also allows spectators to interpret their own. With the purpose of expressing my own view that the objects are where the distinct beings remain and to stimulating spectators’ imagination, I reproduced the everyday life. The process of the work began from photographing routine scenery evading the focus of the camera. This way, the outline of things became dim and it looks like a trace of invisible beings that I perceived from the object. These photos are transferred to the canvas, and the dimmed outline in the photos is made clear and changed in colors, which transforms a little bit more from the daily routine scenery. The processed drawings slightly imply the daily routine; however it stimulates the imagination even more by the transformed figure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 restrict my imagination considering what the original object was in the photo, but when it is the reproduced drawing, it is possible to imagine variously, which is the reason I started to transfer the photos to the drawings. I hope my work plays a role as a catalyzer to stimulate imagination that enable spectators to imagine ‘this is as if ~,’ or ‘this looks like~,’ through the reproduced everyday life. I realized the new elements of everyday life that I have not known and the possibility of maximal imagination through the trials to perceive differently the daily routine things. That is, my work implies the daily routine aspects that stimulate imagination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e everyday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