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준미-
dc.creator정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59-
dc.description.abstract드로잉은 흔히 소묘라고도 하는데 선으로 어떤 이미지를 그려내는 거울이란 뜻으로 존재하는 것뿐 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 까지도 그려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그림의 밑그림으로 뿐만 아니라 그림의 기초 연습, 습작을 의미하며, 그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회화로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인 개념의 드로잉은 선을 위주로 하여 그리는 행위로서 주로 단색의 선에 의해 극히 간소하게 그려내는 페인팅을 위한 전단계 작업을 가리킨다. 그러나 오늘 날 드로잉의 개념은 단순히 페인팅의 사전단계 그림을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작가의 내면세계로부터 표출되고 이끌려나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위 자체를 포괄하는 보다 광범위한 의미를 담고 있다. 작가의 내면에서 표출된 최초의 행위는 역시 ‘선을 긋는 행위’이며 이러한 ‘한번 긋는 행위’에 담겨진 선의 예술은 동양회화에 근간을 이루고 있다. 동양회화에 있어 선이란 서양회화에서 점, 선, 면으로 꼽히는 표현요소에 있어 기본이 되는 ‘최소 표현으로서의 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동양의 선은 면, 양감, 질감, 그리고 운동감까지도 나타낼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이고 본질적인 표현요소로서 해석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에 와서 드로잉은 현대 미술의 한 양상으로서의 그 주요한 특성을 이루고 있으며 그러한 특성이 동양의 서예적인 요소와 직, 간접으로 관련을 맺고 있으며 현대 드로잉이야 말로 어쩌면 현대회화의 가장 본질적인 양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드로잉’이란 개념이 동양과 서양에서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각각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설명함으로서 드로잉의 특성을 점검하고자 하였고 동양회화의 선묘적인 조형성과 그 정신성에 대하여 탐구한 후 그러한 특성이 동양회화의 드로잉적인 성격에 결정적 관련성이 있음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현대 드로잉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서 간략히 고찰한 후 현대 드로잉에 대한 동양적 해석과 현대 미술에 있어서 드로잉적인 특성의 의미와 내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모색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배경으로 한 본인의 작품 표현에 있어서는 드로잉적인 운필에 의한 형태의 요약과 변형, 과감한 생략을 특징으로 하는 감필법, 그리고 다양한 운필과 선묘에 대한 연구와 화지의 변용에 의한 표현 효과로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본인의 작품을 살펴봄으로서 작품제작 과정을 통하여 경험한 효과와 성찰을 통해 본인의 회화관을 재점검하고 보다 참신한 작품세계를 구축해나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Drawing is widely known as a terminology for expressing a mirror image, meaning in terms of both visible and invisible to one's eyes. Furthermore, it is not only works as an underdrawing, but also as paintings' basic practice and etude; thus a drawing itself stands as a form of an independent fine art and acquires its own meaning. The general concept of a drawing is based on the action of laying lines. These lines are normally in monotone that are drawn in the simplified way. Drawing is a prior step to a painting. However, contemporary definitions and concepts of a drawing have evolved from its original meanings to a wider range of action. Not just limiting its definition to the prior step of a painting, drawings now include various actions of exposing and extracting artists' inner world. The prime act of an artist's exposure of his or her inner self is by 'drawing a line', and this art of 'drawing one line' is the core value of eastern paintings. The meaning of a line in eastern paintings is not equivalent to the definition of western paintings, where a point, line, and a face are the three basic factors of 'minimum expressions of lines'. This is because the eastern line by itself expresses face, mass, texture, and even liveliness at the same time. And this has yet been translated as an extremely detailed and an ultimate way of expression. Along with the changes in definitions, drawing has become aspectual to contemporary art, and these newly formed characteristic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link to the eastern calligraphy. This close link might well mean that contemporary drawings are the essential aspect of the contemporary fine arts. Therefore, this thesis will remain its view on the historical aspect of the eastern and the western drawings,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se analysis, the thesis will also focus on the eastern art's delineative formativeness and its mentality, and their critical relationship with the eastern paintings' characteristics of drawings. Furthermore, the thesis will briefly view on the general trend followed by the eastern translation of contemporary drawi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meanings, and implications. Finally, through reviewing my works and their procedures, this will provide a chance to re-check my philosophy in works and further increase my capability to constitute more original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vi I.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II. 본론 3 1. 이론적 연구 3 (1) 드로잉의 개념 3 (2) 동·서회화의 선의 역사와 표현 8 (3) 동양 예술의 선묘와 드로잉적인 성격 13 (4) 현대 미술에 있어 드로잉의 특징 17 2. 작품제작 표현과정 24 (1) 감필을 통한 공간 구성 24 (2) 운필과 선묘 연구 26 (3) 재료의 변화에 따른 표현효과 28 III. 작품 분석 30 IV. 결론 47 참고도판 49 참고문헌 54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77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운필선묘와 드로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ielding the Brush Delineation and Drawing-
dc.creator.othernameJeong, Jun mi-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