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채색을 통한 현대 여성의 인물화

Title
채색을 통한 현대 여성의 인물화
Other Titles
Portraits of Modern Women through Coloring
Authors
이미나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동. 서양을 막론하고 회화에 있어서 색채의 사용은 작가의 느낌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한국 전통양식의 회화는 현대 미술이라는 서양의 미술 교육에 밀려 그 발전이 정체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 전통 채색화 안의 채색 방법과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채색화의 전통은 삼국시대의 고구려 고분 벽화, 고려시대의 불화, 조선시대의 초상화와 민화에 이어져 내려오다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이후 왜색시비로 배척을 받아 그 의미가 축소되어졌고 아직도 일본화의 잔재라는 의식이 남아있다. 이러한 사실을 안타깝게 생각하여 채색화의 전통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우리나라 한국화의 발전에 중요한 한 부분인 채색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채색화의 역사적 배경과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발달과정과 색채관을 짚어보겠다. 한국 전통 채색인물화의 특징과 채색 기법 중 고구려 고분 벽화, 고려 불화, 조선시대 민화, 조선시대 초상화에 대해 연구해보고 동양의 인물화 중 중국 문화권인 한국, 중국, 일본의 작가와 작품에 나타난 여성 인물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여 한국 채색화의 전통을 바탕으로 재료와 기법에 있어서 어떤 방법으로 작업을 발전시킬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인물을 그리는데 있어서는 여성을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어떤 나라든지 외세의 침략을 많이 받았던 나라의 여성은 강하다. 많은 어려움과 힘든 역사 속에서 여성은 현실을 받아들이고 수용하면서 인내하는 방법을 터득했음이다. 하지만 인내하는 것에서 끝이 아닌 가난과 어려운 현실을 이겨내고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내고 창조한다. 역사 속에서 여성의 ‘외유내강(外柔內剛)’ 이미지는 현대 여성의 내면세계에도 이어져 내려왔고 여성의 부드러움 속에서의 강인함이 내제되어 있는 인물을 그리고자 하였다. 또한 배경 속에는 본인이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인물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요소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본인은 열심히 공간을 채워 넣는데 치중했었다. 물감을 두껍게 올리고 배경에 여러 인물이나 물체를 그려 넣지 않으면 왠지 허전함을 느끼곤 했다. 하지만 조선시대 초상화와 민화에 관심을 갖게 된 후 초상화 기법인 색을 묽게 여러 번 채색하는 표현과 인물의 외곽선을 진하지 않게 사용하는 방법이 여성의 인물화를 부드럽게 표현 하는데 적당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졌다. 또한 동양화의 여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복잡하고 많이 그려 넣는 작품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던 중 본 논문을 쓰게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채색화의 올바른 이해와 본인의 작업을 조금 더 성숙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를 소망한다;The use of colors in paintings in the East and West has been a crucial element in expressing the feeling and emotion of artists. Korean traditional painting that had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has not been developed well compared to Western art education, the so-called 'modern art.' However, the coloring methods and their meaning in Korean traditional colored painting have been significant. Colored painting has maintained its tradition from Goguryeo mural paintings in tumulu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Buddhist paintings in Korea Dynasty and portraits and Folk paintings in Joseon Dynasty; however,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8/15 Liberation, colored painting has been excluded due to the disputes of the presence of Japanese manners and its meaning has been reduced and some still believed that it was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regard, the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colored painting and its tradition, which has been an important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paint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colored painting and the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the present and a point of view on colors. Among the characteristics and coloring techniques of Korean traditional colored portraits, this study looked closely into Goguryeo mural paintings in tumulus, Buddhist paintings in Korea Dynasty and portraits and Folk paintings in Joseon Dynasty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female portraits shown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rtists among Asian portraits. Then, this study analyzed the work of this researcher and would like to think of in what aspects the work followed the tradition of Korean colored painting what could be supplemented. The said researcher believed that mixing colors and background work with much time and devotion would be the processes of a work. Such difficult processes would be represented as new colors through time and efforts and expressed as the colors of emotion in the work. The reason for selecting female subjects was that the women tended to be stronger when they were invaded by others and they knew how to accept realities and to endure unfavorable circumstances in difficult history. However, they did not simply endure things, but they created a new history. The image of female's 'being gentle in appearance, but sturdy in spirit (外柔內剛)' in history has passed down to the inner world of modern women. In this aspect,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wanted to draw such a tender, but strong female figure. In addition,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express the elements that could explain the figures and story to be told in the background. Therefore, a modern female figure was in harmony with the background of the painting. So fa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ncentrated on filling up the space because the research would feel something missed in case of not drawing paintings. However, the researcher has started to write this study since tender and calm paintings have been more appealing than such monotonous paintings to the researcher all of a sudde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give an opportunity to make the researcher to understand colored painting and to make the works of the researcher more mature than ever bef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