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美軍政期 社會生活科(Social Studies)의 導入過程에 관한 硏究

Title
美軍政期 社會生活科(Social Studies)의 導入過程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Social Studies during the Americal Military Occupation Period in Korea
Authors
鄭朱玹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미군정기사회생활과Social studies사회과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introduction of social studies from U.S.A., in view of the acceptance of the 'democracy' education. To approach it, documentary review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he research problems which I have detailed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intention which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troduced social studies of an integrated subject from America on the purpose of the 'democracy' education for the elementary-school child? Second, what was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studies and the new educational movement? Third, the next problem is to compare the textbook of civics of a sectional subject with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by the content analysis. Fourth, what a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which the introduction of social studies had in the 'democracy' education? The analysis-results could be summarized: First, social studies was introduced on the political purpose that the United States transplanted american democracy into Korea. It was introduced on the model of social studies of Colorado and was actively accepted by the pro-American educational elites who take part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Second, the new educational movement advocated a child-centered education and practical life-centered education, which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ogressive educational theory of America. And it was developed about the time which social studies was introduced from America and it put firs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These facts implied the intention to produce satisfactory results of the 'democracy' education through effective guidance of social studies for such a short time. Third, in view of the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the content of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had the weakening of national identity and pride in comparison with the content of the textbook of civics. This is due to judgement of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that the traditional and national inclination might disturb the transplantation of american values to Korea. Fourth, social studies, the new educational movement and the progressive educational theory were used as a means to realize american 'democracy' education in Korea. Thus,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period, the 'democracy' education in Korea was introduced through form of the progressive education theory. Social studies which brought into being first was accepted by the suggestion of Amrican person on the purpose of pro-American political socialization. When one accept foreign theor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fix in due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of one's own country. Though social studies started with dependence upon the American educational theory, it is necessary to make a study continuously about the suitable function as social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civil society.;본 연구는 미군정기에 교육과정 개혁 중의 하나로 나타난 국민학교에서의 사회생활과 (Social Studies, 社會生活科) 도입이 미국식 민주주의 교육 수용에 있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하여, 문헌연구방법으로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미군정은 소련 중심의 공산주의 세력이 팽창하는 것을 억제하고 미국식 민주주의를 남한에 이식하려는 미 행정부의 대한정책을 토대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한국 민족의 통일된 민족국가 수립에 미국이 일차적인 관심을 가질 수가 없었다. 당시 상황은 북한에 소련군이 진주하여 공산주의의 위협을 직접적으로 받았고 남한 내에서도 좌익세력이 활동을 하고 있었으므로, 미군정의 중요한 과제는 이러한 좌익세력을 차단하고 남한 내에 친미적인 민주주의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국민에게 미국에 대한 우호적 인식을 갖게 하고 미국식 민주주의를 내면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였고. 구체적인 접근 방법 중 하나로 민주주의 교육을 목표로 하는 교육정책이 모색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 군정청은 미국식 민주주의 이데올로기를 보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학교교육에 비중을 둘 수 밖에 없었고, 특히 교과교육의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어 전면적인 교과과정 개혁을 시도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과과정 개혁으로 새롭게 등장한 교과목이 통합교과의 성격을 갖는 사회생활과였다. 사회생활과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 도입되었지만, 서둘러서 먼저 통합교과로 도입이 추진된 것은 국민학교였다. 미군정기 교육 민주화 작업은 주로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교육재정 면에서도 초등교육에 큰 비중을 둔 것으로 보아, 미 군정청이 초등교육을 매우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미 군정청은 군정 초기부터 민주주의를 교육하기 위한 교과목으로서 사회생활과를 미리 지목하여, 민주주의 교육과 사회생활과에 관련된 서적류를 미국에서 입수하여 번역·간행하였다. 통합교과인 사회생활과는 미국 콜로라도(Colorado)주 사회생활과의 틀을 거의 그대로 모방하였는데, 사회생활과를 도입하자는 미국측의 제안이 없었다면 기존의 사회과 계통의 과목들인 공민, 지리, 역사 등이 분과적으로 가르쳐졌을 것이다. 왜냐하면 교육심의회가 제안했던 교육과정에는 기존의 분과주기 과목들로 구성이 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문교부 관계 편수관들이 분리 원칙에 입각하여 사회과 과목들을 논의하고 있었을 때 미국인 고문관이 사회생활과를 제안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제안은 몇몇 사람들이 강력하게 반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친미적 성향을 가진 일부 문교부 관계 교육주도세력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사회생활과가 미국식 민주주의를 교육하기 위해 도입된 만큼 단기간에 효과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지도방법이 절실하였다. 이렇게 해서 사회생활과 도입 시기를 전후로 하여 활발하게 전개된 새교육 운동은 주로 국민학교를 중심으로 새로운 학습지도법의 개선에 주력하였고, 이 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된 것은 듀이(Dewey) 중심의 진보주의 교육 이론이었다. 전통적 교육에 반대하여 일어난 새교육 운동은 미국 진보주의 교육이론의 영향을 받아 아동중심교육과 생활중심교육을 표방하였다. 당시에 민주주의 교육을 수용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듀이 중심의 진보주의 교육이론을 받아들이는 것과 동일시되었고, 새로운 학습지도법에 의하여 사회생활과를 효과적으로 교수하는 것이 민주주의 교육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각 과목의 교수요목이 결정되기도 전에 미국 진보주의 교육 이론에서 강조되는 교수방법을 성급히 계몽하려 하였던 당시 새교육 운동은 문교부와 극소수 교육자들이 주도한 하향식 교육개혁 운동이었다. 미국식 민주주의 제도를 한국에 이식하여 정착시키는데 있어 요구되었던 과정 중의 하나는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기존의 전통적 가치와 이념에 대한 부정을 통하여 민족주의를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미군정의 의도는 사회생활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나타났다. 사회생활과 교육을 실현할 교사의 자질 문제와 함께 사회생활과 교과서 간행의 지연문제는 사회생활과의 실현에 제한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미군정기 동안 발행된 사회생활과 실현에 제한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미군정기 동안 발행된 사회생활과 교과서는 6학년용 『우리나라의 발달』과 교수용 『사회생활』에 불과하였으므로, 사회생활과는 교과서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교수요목에 의존하여 지도되는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단기적인 차원에서 볼 때 미군정이 실시되던 기간 동안 사회생활과의 실현은 미국 측이 의도하였던 만큼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없었다. 하지만 미군정이 끝난후 친미적인 정권이 수립되고 미국의 교육 이론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의존하는 현상이 나타났던 만큼, 민주주의를 교육하기 위한 목표를 지닌 사회생활과를 도입하여 그 중요성과 운용법에 대하여 계몽하는 일에 들인 노력이 장기적으로는 미국식 민주주의의 이식이라는 미군정의 의도를 충족시키는데에 기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미군정기에 한국의 사회과로서 최초로 성립된 사회생활과는 미국식 민주주의를 이식하기 위한 친미적인 정치사회화라는 미군정의 의도 하에 도입되었다. 한국 사회과의 출발이 미군정의 정치적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입되었다해도 40여년이 지난 지금, 사회과는 한국의 실정에 맞는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과교육으로서 정착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사회과가 정권유지를 위한 정치사회화의 역할을 해왔던 사실을 돌이켜볼 때, 그 연원을 미군정기 사회생활과의 성격에서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앞으로도 한국 시민사회에 적합한 민주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사회과로서 진정한 교과교육의 자리매김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