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초등학교 교사의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인식의 관계

Title
초등학교 교사의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인식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Concern for Promotion and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uthors
이유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differenc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de to their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and their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what correlational relationship there was among those factors and how their concern for the promotion system affected their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Few extensive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the needs of teachers for promotion, and just a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into their concern for promotion, part of needs for promotion. A lack of studies of this approach seems to have the educating sector overlook the fact that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are one of strong motivations to beef up the commitment of teachers, and that also seems to make it hard to take advantage of promotion, which is practically tied into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a psychological element, which is another motivation factor. That is, a rational and fair promotion system could exert a decisive influence on raising the morale of teachers, and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by stirring up their job motivation. So there is a necessity for looking into the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and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of teachers and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a move to mull over ways to make the good use of their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in elevating their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0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 population that was made up of 17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program.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to figure out their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and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and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correlational analysis was mad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see how their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influenced their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Scheffe test was conducted as a posttest.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When the concer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promotion system was assessed, it's found that they didn't have lots of interest in that, and it could be regarded as evidence that the teacher community was depressed. The followings were about their concern for the promotion system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position, career, educational level and marital status: First, by gender, the male teachers were better cognizant of promotion regulations, career rating and additional point rating than the female teachers, and the former was more concerned about training/ research activities and the promotion system than the latter. Second, by position, the head teachers were better aware of promotion regulations, career rating, performance appraisal and additional point rating than the lay teachers, and the former was more interested in training/research activities and the promotion system. Third, by teacher career, the teachers whose career was 20 years or more were better cognizant of career rating and performance appraisal than the others. The teachers whose career was between 10 and less than 20 years took more interest in training/research activities and the promotion system, and those whose career was less than five years were more concerned about additional point rating than the others. Fourth, by educational background, the teachers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had more interest in the promotion system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s of education. Fifth, by marital status, the married teacher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 promotion system than the unmarried ones in general, but the gap between them was not significant. Regarding the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ir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was at a high level. Specifically, they rated highest in classroom management, and lowest in curriculum building and manage- ment. The relationship of their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to their personal variables, including gender, position,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rital status, was as follows: First, by gender, the female teachers excelled the males in academic education, guidance, relations with parents and outsiders and training, but the latter outstripped the former in curriculum building, curriculum management and support for school operation. Second, as for position, the teachers who had a position surpassed the lay teachers in guidance, classroom management, curriculum building, curriculum management, relations with parents and outsiders, support for school operation and training. In overall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the former outdid the latter. Third, by career, the teachers whose career was longer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in academic education, guidance, classroom manage- ment, curriculum building, curriculum management and aid for school operation. In contrast, those whose career ranged from 10 to less than 20 years took more training courses than the others, and those with a 10-year or more career had a bette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outsiders. Fourth, as to education, the teachers who received graduate-school or higher education outdid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guidance, curriculum building, curriculum management, relations with parents and outsiders, support for school operation and training. The former outstripped the latter in entire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as well. Fifth, by marital status, the married teachers surpassed the unmarried ones in academic education, guidance, classroom management, curriculum building, curriculum management, relations with parents and outsiders and aid for school operation. The former also excelled the latter in whole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Finally, the relationship of their concern for the promotion system to their self-perceived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was explored. As a resul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own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when they were better cognizant of promotion regulations, career rating, performance appraisal and additional point rating and when they were more concerned about training/research activities and the promotion system. The five subcategories of concern for the promotion system had the following impact on seven self-perceived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subcategories: First, their training/research activities exerted a bigger influence on their own academic education than their view of performance appraisal did. Second, their research/training activities affected their own guidance more than their gender did. Third, their gender, position and concern for the promotion system exercis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lassroom management. Fourth, their management and compilation of school curriculum was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their position. Fifth,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outsiders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gender, position and concern for the promotion system. Sixth, their position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ir support for school management, followed by research/training activities, additional point rating awareness and performance appraisal awareness. Seventh, their training activities was most affected by their awareness of promotion regulations, followed by their awareness of additional point rating and gender. Human desire knows no limits. It's proven that in the teaching community, the concern for promotion system of teachers had a favorable impact on their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which is the basis of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 promotion system should be placed on the right track to encourage them to direct their valuable energy into enhancing their fulfillment of duties. Their successful self-perceived job performance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better educating community, and then they will be able to find it rewarding to exert themselves. A impartial and rational promotion system will exercise a critical influence on boosting the morale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ng community, providing strong motivation to them, and stepping up the development of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개인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인식 수준은 어느 정도이고, 이들의 상관관계는 어떠하며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직무수행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지금까지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관련하여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구들의 부족은 교사들의 직무 충실감을 강화하기 위해 크게 기능할 수 있는 교원의 승진제도라는 것을 간과하게 만들고, 나아가 동기요인 중 직업 자체에서 도출된 인간 내적 혹은 심리적인 것과 실제 직무와 관련될 수 있는 승진이라는 요소를 긍정적으로 활용함에 걸림돌로 작용하리라 본다. 즉,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운영되는 승진제도는 교사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교사들의 직무동기를 자극하여 교육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따라서 현장에 있는 교사들의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인식의 정도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또한,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봄으로써 교사들의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을 통하여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17개의 초등학교를 모집단으로 초등학교 교사 43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자료의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인식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직무수행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수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그다지 높지 않았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는 침체된 교직 사회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초등교사의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을 개인별 일반적 특성 즉, 성별, 직위, 교직경력, 최종학력, 결혼 유무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분석 결과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승진규정 인식과 경력평정 인식, 연수 및 연구활동, 가산점평정 인식, 그리고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둘째, 직위에 따른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분석 결과 보직교사가 평교사보다 승진규정 인식과 경력평정 인식, 근무성적평정 인식, 연수 및 연구활동, 가산점평정 인식, 그리고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셋째, 교직경력에 따른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분석 결과 교직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경력평정 인식과 근무성적평정 인식이 높았으며, 10~20년 미만인 교사는 다른 교사보다 연수 및 연구활동과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5년 미만인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가산점평정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넷째, 학력에 따른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분석 결과 대학원 이상 교사가 교육대학 졸업 교사와 사범대학 졸업 교사보다 높았다. 다섯째, 결혼 여부에 따른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은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보다 높았으나 결혼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수행인식 수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직무수행인식 중에는 학급경영이 가장 높았고, 학교 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이 가장 낮았다. 또한, 초등교사의 직무수행인식에 대한 개인별 일반적 특성 즉 성별, 직위, 교직경력, 최종학력, 결혼 유무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직무수행인식 분석 결과 수업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학부모 및 대외관계, 연수활동 영역에서는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직무수행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과 학교 경영 지원 영역에서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직무수행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위에 따른 직무수행인식 분석 결과 보직교사가 평교사보다 생활지도와 학급경영, 학교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 학부모 및 대외관계, 학교 경영 지원, 연수활동 영역에서 직무수행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직무수행인식 역시 보직교사가 평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수행인식 분석 결과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수업지도와 생활지도, 학급경영, 학교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 학교 경영 지원 영역의 직무수행인식이 높았다. 반면, 10~20년 미만인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연수활동이 높았고, 교직경력이 10년 이상인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학부모 및 대외관계에 대한 직무수행인식이 높았다. 넷째, 학력에 따른 직무수행인식 분석 결과 대학원 이상인 교사가 교육대학 졸업교사와 사범대학 졸업 교사보다 생활지도와 학교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 학부모 및 대외관계, 학교 경영 지원, 연수활동 영역에서 직무수행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적인 직무수행인식 역시 높았다. 다섯째, 결혼 여부에 따른 직무수행인식 분석 결과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보다 수업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학교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 학부모 및 대외관계, 학교 경영 지원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인 직무수행인식 역시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과 직무수행인식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승진규정 인식과 경력평정 인식, 근무성적평정 인식, 연수 및 연구활동, 가산점평정 인식, 그리고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직무수행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기 위해 선정한 다섯 가지 하위 영역이 직무수행인식 일곱 가지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지도에는 연수 및 연구활동이 근무성적평정 인식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활지도에는 연수 및 연구활동이 성별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급경영에는 성별과 직위, 그리고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에는 직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학부모 및 대외관계에는 성별과 직위, 그리고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학교 경영 지원에는 직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연수 및 연구활동, 가산점평정 인식, 근무성적평정 인식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연수활동에는 승진규정 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가산점평정 인식, 성별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인간은 끊임없이 욕망이 일어나는 존재이다. 교직의 경우 교사의 승진제도에 대한 관심이 교육 경쟁력 향상의 밑바탕이 되는 교사 직무수행인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에너지를 값있게 소모함으로써 교사가 직무수행을 높게 인식하여 본연의 업무에 더욱 적극적으로 임하고 행복한 교육현장을 만들며 힘든 노력이 보람으로 승화될 수 있도록 승진제도라는 것이 제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운용되는 승진제도야말로 교직 구성원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일 될 수 있고, 교사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정도를 향상하여 교육을 발전시키는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