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학교자체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비교

Title
학교자체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비교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utloo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n School Self-Evaluation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uthors
박진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ately, a global trend in school reform is to reinforce school-based management to improve school performance. School-based management denotes that each school fulfills its accountability in proportion to the given autonomy. The accountability is closely bound up with an activity to evaluate the fulfillment of duties and ensuing results. When it comes to school evaluation, that should be done by school members as well as outsiders. School members should work on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on their own and look back on themselv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who were respectively the suppliers of education and clients, about school self-evaluation and to seek out workable reform measures on 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teachers and 300 par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Inche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awareness of school self-evalu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investigated believed that school self-evaluation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 for school management. That was conducted by every teacher, and the focus of it was placed on curriculum. A survey was prevailing, and only teachers were informed about the results. The teachers set almost an average value on the adequacy of the content and method of school self-evaluation, relevant communication, the honesty and activeness of teachers and feedback. Specifically, not many of the teachers viewed school self-evaluation favorably, as they found it not to be of great use for their job and role performance. It indicated that the teachers had little regard for that. Second, a lot of the parents didn't know well about what school self-evaluation was, who made that evaluation and even whether it's ever been conducted. Third, both the parents and teachers consented to the necessity of school self-evaluat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views of the two groups about problems with that,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and who ought to make that evaluation. The parents suggested that parents and students should also join in it. The teachers singled out a lack of diverse evaluation methods as a problem with it, and proposed that every school be given a more autonomy. But not many of the teachers insisted on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students as evaluators. Fourth, there was no broad gap between the outlooks of the two groups on the content, method and feedback of school self-evaluation. Yet the teachers wanted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be made public only to the staff of school, and parents hoped that the information should be released to not only parents and local community but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school self-evaluation: First, the object of school self-evaluation should be enhancing school performance and consequently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 the coverage of school self-evaluation should be extended without merely being confined to the category of curriculum. Third, each school should be given autonomy in conducting school self-evaluation. Each schools should determine the purpose, the method, the evaluator, the feedback of school self-evaluation. Fourth, parents should be allowed to be more involved in school self-evaluation. Fifth, evaluator of school self-evaluation should be aided to channel more efforts into their own performance and expertise. For instanc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them. Sixth, a wide array of school self-evaluation methods should be studied and supplied. Seventh,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should be assessed as part of school evaluation. Eighth, not only parents and students but local community should be informed about evaluation output, and it's needed to get enough feedback from it within the realm of possibility. To make these happen, how to tide over current unfavorable situ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Ninth, principals should try to ensure a smooth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in times of school self-evaluation.;최근 세계적인 학교 교육 개혁은 학교 효과성 증진을 위한 단위학교책임경영체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되어왔다. 단위학교책임경영체제는 자율에 상응하는 책무성을 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책무성은 수행 주체의 책무 이행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학교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는 경우 외부기관에 의한 학교 평가도 중요하겠지만 학교의 구성원들이 스스로 학교의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계획을 실천하며, 이에 대해 자체적으로 평가·반성하는 학교자체평가 활동이 단위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자체평가에 대한 교육의 공급자인 교사와 교육의 수요자인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300명, 학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학교자체평가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자체평가는 학교경영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되며, 전체교원이 참여하여 교육과정 영역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주로 사용하고 결과는 학교 내부 교원까지 공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자체평가시 내용과 방법의 적절성이나 의사소통정도, 교사들의 솔직성과 적극성, 결과의 피드백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모두 ‘보통’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자신의 업무 개선과 역할에 도움을 준다고 긍정적으로 대답을 한 교사가 적어 학교자체평가에 대한 관심이 미흡한 것을 드러냈다. 둘째, 학부모의 경우 학교자체평가의 내용과 참여자 뿐만 아니라 실시여부조차도 인지하지 못하는 학부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자체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부모와 교사가 모두 긍정적으로 대답하였다. 그러나, 학교자체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점 그리고 참여구성원의 문제에서는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학부모는 학교자체평가의 문제와 개선점 모두에서 참여의 문제를 지적하고, 학부모와 학생이 참여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교사는 학교자체평가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문제로 지적하였으며, 학교단위의 자율성이 높아져야 함을 개선점으로 제안하였다. 교사는 학부모와 학생이 참여해야한다고 선택한 비율이 적었다. 넷째, 학부모와 교사는 적절한 학교자체평가의 내용, 방법, 결과 활용 면에 대해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결과의 공개부분에서 교사는 내부 교직원까지 공개를, 학부모는 학부모를 포함하여 외부 지역사회와 교육청까지 공개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학교자체평가의 발전적 정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학교자체평가의 목적은 학교 경영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데 있어야 하며, 자체평가의 내용은 교육과정 영역을 넘어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자체평가에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의 참여 증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자체평가 주체의 전문성과 참여의식 고취를 위한 연수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자체평가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 지원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교평가의 내용에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포함되어야 한다. 일곱째, 평가 결과는 학부모,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까지 공개되어야 하며, 결과 활용이 극대화 되어야 하지만,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다. 여덟째, 학교장은 학교자체평가시 학교 구성원간의 원활할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