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희영-
dc.contributor.author이윤정-
dc.creator이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3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7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03-
dc.description.abstract전후 현대미술은 50년대의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에서부터 80년대의 신 표현주의 (Neo-Expressionism) 등에 이르기까지 색다른 사조의 연속이었으며, 이것은 빠른 속도로 차례 차례 교체되어 뒤를 이어갔다. 70년대를 기점으로 다원화된 경향의 미술이 등장하였고, 80년대 후반은 어떤 미술 이념을 정확히 규정 지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닌, 또 어떤 특별한 미술 사조에 의거한 것도 아닌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어 가고 있다. 이 새로운 상황의 전개가 포스트 모던(Post Modern)^(*))이며, 이것은 삶의 경험속에 내재하는 총체적 예술의 또다른 형태를 모색하는 양식으로 부터 자유롭고 동시에 자유로운 양식이다. "양식이란 제거되고 재순환되어 인용되고 의역되며, 많은 작가들에게 있어서 이것은 더 이상 필연성이 아니라 불확실한 것이 되었다". 불 확실성속의 현 시대속에서 본인은 어떤 특정한 양식을 구하기 보다는 다양한 미술운동에서 수반되어 보여지는 주관적 이미지 창조의 태도에 주목하였다. 주관적 이미지의 창조라는 예술가의 태도는 각자의 삶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예술적 형식(form)에 대한 추구와 그 조형적 가치에 대한 모색이다. 본인은 일상적 생활 속의 실제적 경험과 그에 수반되는 새로운 정서의 환기를 촉발케하는 대상을 모티브(Motif)로 하여, 주관적 공간인식을 통한 독자적이고 개성적인 시각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관적 시각에 의하여 일상생활속의 대상을 통해 얻어지는 경험적 이미지는 사진이란 매체를 통해 인식된 공간속에 재구성되어 표현된다. 이에, 70년대 전반까지 사진을 작업의 기초 드로잉(Drawing)에 이용한 데이비드 호크니 (D. Hockney, 1937~)와 신구상 작가인 쟈끄 모노리 (J. Monory,1934~) 그리고 추상 미술이 가지는 표면 효과에 일상적 대상을 기하학적 공간과 결합시키고 있는 레오나르도 크레모니니 (L. Cremonini, 1925~)등을 참고작가로 선정하여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제작논문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내용적 연구, 방법적 연구, 본인 작품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적 연구에서는 회화로 전이된 일상적 경험, 일상적 모티브, 조형적 공간 그리고 방법적 연구에서는 회화와 사진 및 복합 화면 연구로 나누어 고찰 하였다. 마지막으로 석사과정에서 이루어진 작품들 중 7점을 선정하여 각각을 제시·분석함으로써 표현적 성과의 점검과 함께 조형의 문제점을 확실히 인식하고, 본인의 제작태도를 반성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계속되어질 작업을 위한 중간 평가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Post-war Modern Art was the succession of different trends from Abstract Expression of 1950's to Neo-Expression of 1980's, which was replaced one after another and Succeeded rapidly. Various types of art has been showing in the seventies and in the end of eighties new trends that could not identify the art concept exactly and did not be long to a certain trend also began to emerge. This new situation of development is post modern. It is free from the mode in pursuit of another style of the general art in life-experience and a liberal type at the same time. Formality was removed, reappeared, quoted, translated and regarded as an uncertainty rather than requirement by many authors. In the present uncertain era, I pay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subjcetive image that can be seen in the various art movements rather than to seek a definite formality. Artist's attitude that has a creation of subjective image seeks for various artistic form resulted from the individual life experience and pursuit for formative value. I was trying to seek for the visual expression method that is unique and individual through subjective space recognition and motif that derives from real experience in daily life and it's new feeling. The experimental image which is earned in the objects of every day life through subjective viewpoint is restructed in the photo-media perceiving space and expressed. Therefore, I made an effort to find an answer in my works by selecting a few reference artists. Those are, until the beginning of seventies, D. Hackney(1937~ ) who used a photograph as a basic drawing of work, new nouvelle figuration, J. Monory (1934~ ) and L. Cremonini (1925~ ) Who combined daily object with geometrical space. This thesis has the characteristic as product-thesis and consists of content research, method research, explanation of my own respectively. Subjective analysis is including daily experience, daily motif and formative space and method analysis is including painting, photograph and composite image analysis. Seven works that were done during master course were selected to check an expression result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formation problem and to reflect my attitude and finally to evalute for my future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문제의 내용과 방법 = 2 Ⅱ. 본론 = 4 A. 내용적 연구 = 4 1. 회화로 전이된 일상적 경험 = 4 2. 일상적 모티브(Motif) = 6 3. 조형적 공간 = 9 B. 내용적 연구 = 12 1. 회화와 사진 = 12 2. 복합화면 표현 연구 = 14 참고작품 = 18 C. 본인 작품 분석 = 20 Ⅲ. 결론 = 34 참고문헌 = 35 ABSTRACT =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877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미지-
dc.subject조형공간-
dc.subject경험-
dc.subjectimage-
dc.title경험적 이미지(image)에 의한 조형공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PLASTIC SPACE BY EXPERIENTIAL IMAGE-
dc.format.page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