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석두-
dc.contributor.author문경민-
dc.creator문경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3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7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longitudinal trends through the quantitative and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literature. The data of this study consists of 589 theses and 303 articles which appeared in 3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articles and the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ategory covering their author, subject, methods, sample group, type of library investigated and us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most salien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e rapid, almost explosive increase in the output of research papers during 1980-1991. 2. The authors of journal articles were mostly professors. On the other hand, articles written by librarians were fewer. 3.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topics was various. Because theses were concentrated in library/information service activities and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theses which were practice-oriented. Meanwhile, journal articles were more theoretical. Profession, library & book history, systematic bibliography and cooperative system tended to decrease. Classification and indexing, information retrieval, automation,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bibliometrics tended to increase. 4. In journal articles, documentary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 research method. In theses, survey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 research method. It is particularly showed that two research methods, survey and bibliographical method, were heavily used in master theses of education. The ratio of research paper using experimental research, evaluation research or operation research was comparatively low. In theses, these new research method was used earlier than in journal articles. Historical methods and documentary research tended to decrease, survey, experimental research, case study, operation research, evaluation research, system analysis and design and bibliometrics tended to increase. 5. The most frequent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historical source analysis(in journal articles) and questionnaire(in theses). Observation was used vary rarely. Combinig of several data collection method in one research tended to increase. 6. The biggest trend of research papers were those lacking statistics but tended to decrease. Research papers using various statistics tended to increase. The ratio of dissertations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was the highest. The ratio of master theses of education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ly was the highest. 7. Librarians and professionals were the persons most frequently researched as samples. 8. University library was the typ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Public library and school library were not particularly investigated. 9. In user studies, professional users, especially natural science professionals,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The ratio of child and juvenile users tended to drastically decrease.;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말이래 1991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문헌정보학의 연구동향을 다국면적이고 수량적으로 파악하여 문헌정보학의 연대별 추세 및 발전 방향을 규명해내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된 논문은 석사 및 박사학위논문 589편과 3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 303편이며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연구되는 기관, 이용자 등에 대한 분류기준을 설정하였으며 각각 수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연구량이 80년이후 거의 폭발적인 증가를 보여 문헌정보학 연구는 80년이후 새로운 발전기를 맞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학회지의 저자는 점차 다양화되는 경향이지만 교수집단에 크게 편중되어있고 사서들의 연구활동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연구주제는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으나 학위논문은 도서관/정보봉사 및 활동과 정보축적 및 검색에 관련된 주제에 좀더 관심을 보여 실무지향적이며, 학회지의 연구주제는 보다 이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 교육, 분석서지학, 도서관/정보 봉사 및 활동에 관련된 주제들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었으며 전문직, 도서관사 및 전적사, 체계서지학, 협동체제 등은 감소하는 경향의 주제들이다. 또 분류 및 색인, 정보검색, 자동화, 정보 유통 및 배포, 계량서지학, 기타관련분야 둥은 증가경향의 주제로 나타났다. 네째, 연구방법별 경향은 학회지에서는 주로 문헌연구, 학위논문에서는 주로 서베이연구를 집중 이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에서는 서베이와 서지학적 방법이 2/3이상을 차지해 특히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 평가연구, 운영연구등은 이용이 낮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도입하고 적용하는 측면서는 학위논문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적 연구와 문헌연구는 감소하는 경향이며 실험, 서베이, 사례, 운영, 평가연구, 시스팀 분석 및 설계, 계량서지학적 방법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다섯째, 자료수집방법으로는 학회지에서는 史料 분석이, 학위논문에서는 질문지법이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었다. 관찰법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다수의 자료수집방법을 함께 이용한 비율이 최근에 더 많이 나타나 자료수집에 있어서 완전성을 기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료분석방법의 경향은 통계를 이용하지 않은 논문이 가장 많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이고 기술통계나 추리통계를 이용한 논문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특히 박사학위논문에서 추리통계의 이용률이 높았으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에서는 기술통계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나 기술적인 연구가 많고 인과관계를 밝히고 가설검증이 가능한 추리통계의 이용은 저조하였다. 일곱째, 연구대상자는 사서와 전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사서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나 점차 다양한 사람들이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여덟째, 관종별 연구는 실무지향적으로 나타난 학위논문에서의 비율이 더 높고 그 중에서 대학도서관이 가장 선호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을 배경으로 한 연구는 저조하였다. 아홉째, 이용자 연구에 있어서는 전문인 중에서도 자연과학분야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고 아동 및 청소년에 관한 연구는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Ⅱ. 문헌정보학의 과학적 연구 = 5 A. 연구영역 및 특성 = 5 B. 연구방법 = 10 C. 선행 연구 = 19 Ⅲ. 문헌정보학 연구동향의 분석 = 24 A. 연구동향 조사 = 24 B. 연구 주제별 동향 분석 = 29 C. 연구방법별 동향 분석 = 38 D. 연구대상자별 동향 분석 = 56 E. 관종별 연구의 동향 분석 = 58 F. 이용자 연구의 동향 분석 = 61 Ⅳ. 요약 및 결론 = 64 참고문헌 = 70 부록 = 75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891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문헌정보학-
dc.subject연구동향-
dc.subject도서관-
dc.title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dc.format.page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