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동열-
dc.contributor.author민윤경-
dc.creator민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3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7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BA & M)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assumes that the more two authors are cited together, the clos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uthors whose works are generally seen to be related, and are repeatedly cited as such in later documents, tend to cluster together on the map, while authors who are rarely or never cited together are relatively far apart. This positioning is based on the composite judgment of hundreds of citers, rather than on any one person's judgment. In this study, the raw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major Korean journals on the subject of BA & M published from 1978 to 1992. Among these citation data, 42 authors cited more than 6 times were selected as the core authors. Then the co-citation frequency counts for all author pairs were calculated and assembled in a square matrix, with rows and columns labeled by cited authors' names. This raw co-citation matrix was converted to a matrix of proximity value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matrix. It was used as input data for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multidimensional scaling, cluster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42 authors were mapped in two dimensions based on the similarities of co-citation frequency. Two authors who were frequently co-cited and ha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closely placed on the map. 2. Authors who were closely placed on the map seemed to have subject similarity. So the intellectual structure among Korean authors were identified through examining the bibliographic phenomena in Korean BA & M literature. 3. In two dimensions, authors were arranged along a horizontal continuum reflecting a research specialty. The vertical dimension separated theoretical approaches from quantitative research. 4. Five author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these clusters reflected the research specialty. 5. Correlation matrix for each pair of authors were factor analyzed to confirm the groupings produced by cluster analysis and to investigate sub-research areas. Eleven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se factors reflected sub-research areas. Also the factor loadings demonstrated the breadth of 42 authors' scholarly contribution. Finally,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1. The study to examine the change of intellectual structure over successive time periods on the subject of Korean BA & M will be carried. It will identify the major research area and the core authors by each time period. 2. This study selected only Korean authors. So the analysis with not only Korean but also foreign authors will be useful. But in this case, careful attention must be paid not to exclude so many Korean authors. 3. For a more reliable analysis results, the producing of general citation index for Korean literature will be needed. If the further research such as suggested above are carried continuosly, the research results would be utilized in the business libraries for advanced information service and collection development.;학문분야의 지적구조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그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생산된 문헌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그 분야 연구자들이 생산한 문헌에는 그 분야의 주제영역, 연구방법, 학파, 주요개념 및 정보이용 행태 등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량적인 분석방법 중 최근에는 저자동시인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학문의 지적구조를 규명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계량서지적 분석방법인 저자동시인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경영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2차원의 공간상에서 규명하여 보고, 둘째, 공간상에 작성된 저자지도를 통하여 서지적 현상 속에 숨겨진 국내 저자들간의 지적 관계를 살펴보며, 셋째, 군집분석을 통하여 형성된 저자군집이 경영학 분야의 하위주제영역을 나타내는지 조사한 후, 넷째,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하위주제영역의 주된 골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영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경영학연구』, 『경영논집』, 『경영논총』에 1978년부터 1992년까지의 15년동안 게재된 논문 중 국내 저자의 문헌을 최소한 한종 이상 인용한 논문의 서지사항과 그 논문에 인용된 저자 및 인용문헌으로 분석문헌 데이타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데이타에서 6회 이상 인용된 42명의 저자를 선정하여 이들이 다른 41명의 저자들과 동시 인용된 빈도를 추출하였다. 이 동시인용빈도를 각 저자들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상관계수행렬로 변환하였으며, 이를 입력물로 하여 다차원축척기법, 군집분석, 요인분석 등의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학 분야의 국내 저자 42명이 그들의 동시인용빈도에 의한 유사성에 근거하여 2차원 공간상에 매핑되었다. 이 때 상관관계가 높은 저자들은 서로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자지도상에서 가깝게 위치한 저자들은 주제면에서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술문헌의 서지적 현상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저자들 간의 지적관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2차원의 저자지도에서 횡축은 저자들의 연구주제를 나타내고 종축은 연구유형을 나타냈다. 즉 저자지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면서 재무관리, 회계학, 생산관리, 마아케팅, 인사관리 및 조직론 등의 하위주제영역이 나타나고, 중축인 경우에는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위로 올라갈수록 계량적인 분석방법을 사용하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넷째, 저자들의 유사성에 따라 5개의 저자군집이 형성되었으며, 이들 각 군집은 경영학 분야의 하위주제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형성된 5개의 저자군집은 재무관리, 기업구조론, 회계학, 생산관리, 경영학일반 등이다. 다섯째, 군집분석 결과 나타난 5개의 군집을 경영학자들이 분류한 하위주제 영역과 비교해 보면 재무관리, 회계학, 생산관리 분야는 하위주제영역으로서 체계적으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마아케팅, 인사관리 및 조직론, 국제경영학 등은 독립된 영역을 형성하지 못하고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나타났다. 이는 이들 영역에서의 연구자들이 이론이나 방법론을 서로 공유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여섯째, 두 명의 경제학자들이 경영학 분야의 학문지도에 나타남으로써 경영학이 경제학 분야와도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요인분석에 의하여 군집분석으로 형성된 5개의 저자군집을 확인하는 한편 보다 세분된 하위주제영역을 파악하였다. 또한 여러 요인에 중복 적재된 저자들을 조사해 봄으로써 한 연구자의 연구영역의 범위를 알 수 있었다. 추출된 요인은 11개로써 이들이 나타내는 세분된 하위주제영역은 경영학일반 · 인사관리 및 조직론, 재무관리, 회계학, 기업구조론, 생산관리, 기술개발, 국제재무, 국제경영학, 마아케팅, 기업론, 경영정보시스템 등이다. 여덟째, 요인분석 결과 나타난 11개의 하위주제영역은 일반적으로 경영학자들이 분류하는 하위주제영역을 모두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 중 인사관리 및 조직론 분야는 독립된 영역으로 확립되지 않고 경영학일반 분야와 통합되어 나타났다. 아홉째, 11개의 하위주제영역 중에서 경영학일반 · 인사관리 및 조직론 분야가 전체변량 중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다른 분야에 비하여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하여 특정한 주제분야인 국내 경영학 분야의 전반적인 지적구조를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하여 이 분석방법이 특정 주제분야에 대한 개관적인 지적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임이 확인되었다. 이 분석방법이 학문의 지적구조를 연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더욱 유용해지고, 또한 국내 경영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적구조의 변화를 조사하는 연구와, 둘째, 국외 저자도 포함시키는 연구의 실시가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신뢰성 있는 분석 결과를 위하여 국내 문헌에 대한 인용색인지의 작성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러한 작업이 수행된다면 그 결과는 경영학 분야 전문도서관에서의 정보서비스와 장서개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Ⅱ. 동시인용분석 = 4 A. 문헌동시인용분석 = 4 B. 저자동시인용분석 = 7 Ⅲ. 경영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한 분석단계 = 15 A. 저자의 선정 = 15 B. 저자동시인용빈도행렬 작성 = 17 C. 상관계수행렬 산출 = 19 D. 다변량분석 = 21 Ⅳ. 경영학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결과 = 27 A. 저자동시인용행렬 = 27 B. 다차원축척에 의한 저자지도 = 30 C. 군집분석에 의한 저자군집 = 34 D. 요인분석에 의한 주제구조 = 40 Ⅴ. 결론 및 제언 = 51 참고문헌 = 55 부록 분석문헌 데이타 = 61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17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저자동시인용분석-
dc.subject경영학-
dc.subject지적구조-
dc.subject도서관-
dc.title저자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경영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dc.format.page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