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생활문제 지각에 나타난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세대차

Title
생활문제 지각에 나타난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세대차
Other Titles
(The) generation gap on the perceptions of the adolescents' daily behaviors :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he discriminative social representations
Authors
金玹廷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생활문제부모청소년자녀세대차사회적표상의사소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상민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일상생활 행동에 대해 청소년 자신과 부모가 서로 다르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 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부모와 자녀가 청소년 일상행동의 빈도와 문제성 정도에 대해 응답한 내용에서 차이점을 밝혀, 그러한 반응과 관련된 각자의 사고의 틀인, 청소년 일상행동에 대한 '사회적 표상'의 특성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부/모/자녀 각 집단이 가지고 있는 서로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방식, 가족 특성에 대한 지각을 살펴 보았다. 총 251명의 청소년과 164명의 아버지, 176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참조로 하여 작성된 설문지로 자료가 수집되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청소년의 일상행동에 대한 '사회적 표상'의 특성은 부모와 자녀 집단간에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모집단은 자녀집단에 비해 청소년 일상행동의 빈도를 낮게 보고하였다. 이러한 지각의 차이는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더 많이 보여질 수 있는 행동들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제시된 행동들이 어느 정도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부모집단이 대부분의 행동들에 대해서 자녀집단보다 더 심각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특히 '불성실한 학업태도'와 '자기위주/부모무시' 행동에서 보여졌다. 둘째,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행동에 대한 부모/자녀집단의 사회적 표상의 차이는, 부/모/자녀집단의 의사소통 유형과 특성에 대한 지각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부모/자녀 각 집단이 의사소통을 권위적으로 지각하는 경우에 청소년 일상행동에 대한 부모/자녀 집단의 빈도 보고는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경우에 더 지배적이며, 어머니의 경우는 회피적이거나 희생적인 특성도 영향을 주었다. 그런데, 행동들을 어느 정도로 문제시 여기는가에 대해서는 회피적인 의사소통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부모 모두는 자녀의 행동의 빈도를 지각하는 틀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행동의 문제성 정도를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 개방적으로 지각된 경우, 대부분의 행동에 대해 낮은 빈도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어느 정도로 문제시 여기는가에서는 의사소통을 개방적으로 지각한 경우에 더 심각하다고 보고되었다. 이는 학업관련 행동에서 두드러졌다. 부모와 자녀의 사회적 표상 차이는 '불성실한 학업태도'와 관련된 행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의사소통의 영향은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태도와 관련 행동이 집단간 문제성 정도 지각에서는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행동 범주였음을 생각할 때, 부모와 자녀간 인식의 차이는 가장 크지만 현재 상태로는 의사소통의 유형이나 특성 여하에 따라 개선될 여지가 없을 수도 있는, 청소년 일상행동 영역에서 가장 심각한 영역이라고 볼 수 있겠다. 세째, 청소년 일상행동에 대한 부모/자녀 집단간의 인식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은 가족특성에 대한 지각으로도 설명되었다. 서로 친밀감을 느끼는 경우 행동의 빈도는 낮게 보고되었고, 그 행동이 문제가 되는 정도는 높게 지각되었다. 여기에서도 성적과 학업 태도 관련 행동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 학업관련 행동에 대한 부모와 자녀의 사회적 표상은 어느 가족에서든지 서로 다르다는 것이 입증되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social representations on the adolescents' daily problematic behavior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the father-mother-adolescent triad. The respondents were 251 students, 164 fathers, and 176 mother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arents'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 on the adolescents' behavior were different from their adolescents'. Parents perceived the frequencies of adolescents' daily behaviors less than their adolescents. This perceptions were shown on the behaviors shared with their friends. But, as to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atic degree, parents made responses highly than their adolescents, expecially as to the insincere attitude to study and the ignorance of their parents. 2. The difference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s on the adolescents' daily behavior could be explained by the perceptions of the communication pattern in the relation of parents-adolescents. In case that the authoritative communication pattern was perceived highly, the frequencies of behaviors were greater. Fathers' authoritative communication pattern were significantly influencial to the perceptions of the frequencies of behaviors, on the other hand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 showed avoidable and sacrific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authoritative communication pattern. But, in case of the perceptions of the problematic degree of behaviors, the avoidable communication pattern were strongly influencial. So it's possible that parents perceive the problematic degree of behaviors in the obviously different way from the one of the perceptions of frequencies of the behaviors. As the communication in the parents-adolescents relations was perceived open, the frequencies of behaviors were reported less. But,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of the problematic degree of behaviors were shown greatly in case of the open communication.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frequencies of behaviors appeared more vividly on the insincere attitude to study. But, this behavior wasn't consistently influenced by the communication pattern. Then, the fact that the greatest differnce in the perceptions of the problematic degree of behaviors were in this insincere attitude for study makes us know that this is the most seriously problematic behavior among the adolescents' daily behavior that couldn't be improved. 3. The differences of the social representations on the adolescents' behavior could be explained by the perceptions of the family atmosphere. In case that the intimacy was perceived highly, the frequencies of behaviors were less. The behavior related grade and attitude to study weren't also significant, so it's proved that the discriminative social representations of parents and adolescents appear obviously in any fam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