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순경-
dc.contributor.author이제진-
dc.creator이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49-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상업고 여학생의 노동 준비과정을 통해 고졸사무직 여성들의 직업태도가 형성되는 배경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고졸 사무직 여성들은 업무에 적극적인 의욕을 보이지 않으며, 성차별적인 조건을 수용하고, 결혼과 더불어 퇴직하는 경우가 많다. 이화 같은 현실은 여성은 직업의식이 없다는 통념을 유지시킴으로써 노동시장 내의 성차별을 정당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졸 사무직 여성들이 지닌 업무태도의 형성 원인을 탐구하는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면서 상업고 여학생들의 노동 준비과정을 통해 고졸 사무직 여성들이 차별적인 노동조건에 순응하게 되는 배경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상업고등학교를 참여관찰하였고, 교사와 학생들을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 글의 연구대상인 상업고등학교에서는 기능인 양성이라는 목표보다 취업률 중심의 직업교육을 실시한다. 특히 여학생을 직업인이기 이전에 여성으로 규정함으로써 평생직업인이 아닌 결혼전 단순, 임시 노동자로 길러낸다. 외모는 여학생들의 취업에 중요한 조건인데 학교측은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 뿐 아니라 '여성은 아름다워야 한다'라는 인식에 동의함으로써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또한 학교는 성별에 따라 교과목, 교사, 학급 등을 분리함으로써 전통적인 성역할을 전수하며, 여성성에 의거하여 여학생을 통제한다. 한편 많은 수의 상업고 여학생들은 '공부하기 싫어서-어차피 좋은 대학 못갈바에야-취직해서 돈이나 벌자' 라는 논리에 바탕하여 상업고에 진학하였으며 취업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시 위주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상고생으로서의 열등감을 느끼며, 교사들의 학생들에 대한 낮은 정가는 여학생들의 열등감을 강화시킨다. 선생님들의 여학생에 대한 낮은 평가는 학력에 근거할 뿐 아니라 단순 보조 노동자라는 규정에서 비롯되며, 따라서 여학생들의 낮은 존중감은 여성이라는 위치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상업고 여학생들이 지닌 극도의 열등감은 자기비하와 자신감 결여로 이어지고, 결국 외부로부터의 부당함에 소극적인 태도를 지니게 한다. 이들은 취업이나 내신성적 등을 보상기제로 삼으며 상고생으로서의 열등감을 떨쳐버리려고 하지만 의식적인 노력일뿐 열등감을 극복하지 못한다. 또한 상업고 여학생들은 불만토로, 딴전 피우기, 금지된 여성성 표면 등의 방식으로 반항심을 나타내지만 적극적인 저항으로 표현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이들의 반항은 자신을 탓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상업고 여학생의 자신감 결여, 자기비하 등의 태도와 그에 따른 반항방식은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저항하지 못하고, 차별적 조건을 수용하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 상업고 여학생들은 주입되는 성역할을 그대로 내면화하지는 않으며, 각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자신에게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방향으로 여성 역할을 수용 혹은 거부한다. 여성역할을 거부하는 여학생들은 우리 사회가 성차별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감지하지만 이를 개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인식한다. 한편 이들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이미 그들이 담당할 업무의 성격을 파악하고, 사무직 노동이 평생할 일이 못된다고 생각한다. 상업고 여학생들에게 평생일이란 보람을 느끼고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가치로운 일이다. 이들은 또한 직업을 가진 여성이 감당해야 할 이중 노동의 현실을 감지하고 있으며, 사무직 노동은 이와 같은 현실을 감당하면서까지 계속해야 할 가치로운 일로 평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업고 여학생들은 얼마간 돈을 번 뒤에는 그만 둘 것이라고 생각하며 사무직 노동자로 취업한다.;This study is for the clearance of process which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make the work attitude through commercial education. Most clerical women who graduate high school aren't positive toward affairs and accept sexual discriminative condition and retire with marrige. This fact supports the commen idea that women don't have work identity, so it is justified that the discrimination between women and men in the labor market. But there are few studies that seriously explain why clerical women do so. With attention to this fact, this study tries to make clear background that make clerical women to adapt to discriminative conditions by observing the preparation process for clerical work in commercial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participates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interviews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erizied as follows: First, the commercial high school carries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rate of employment rather than the training of skilled laborer. Especially, the commercial high school regards girls as women rather than wokers, so the commercial high school trains girls not as wokers for life but as simple-temporary-wokers before the marriage. The appearance is major condition for girls' empolyment, the commercial high school actively accepts the condition by agreeing to the perception that women should be beautiful for high rate of employment. In addition, the commercial high school inherits conventional sex role by separating teacher, subject and class by sex and controles girls according to the femininity. Next, Many girls enter into the commercial high school on the basis of this logic that 'because they dislike to study - anyway, they can't go on to good university - let's be employed and make the money', and have a firm will about the employment. But they have a sense of inferiority, and teachers' underestimation of students intensifies a sense of inferiority of girls. Teachers' underestimation of girls resultes from not only scholarship but also prescriptions as simple assistance wokers. The low self-esteem of girls is closely connected with a position as women. Because the sense of inferiority of girls bring forth self- depreciation and the lack of self-convidence. After all the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act passively on an unfair treatment by the outsider. The girls regard employment and grade as compensation, though they intentively try to eliminate a sense of inferiority, they don't overcome the sense of inferiority. On the other hand, the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take a defiant attitude by uttering discontent, neglecting teachers and regulations, making irrelevant acts and expressing forbidden feminity. However their defiance is expressed in a way self-condemned rather than positive. The attitude of girls as self-depreciation and the lack of self-convidence and defiance way make girls not to resist in labor market and to accept discrimination. the girls don't wholly internalize crammed sex role, but accept or reject woman role in direction, they think, that is advantageous for themselves on the ground of their experience. Girls who reject woman role sense that our society is constructed in a way sexually discriminative, but they regard it as the problem that should be overcomed individually. They grasp the character of their affairs in the process of the commercial education therefore they regard the affairs that they will take charge as temporary work. They sense the fact that career woman have to fulfill the dual-labor. But they don't estimate clerical work valuable as much as they put up with the dual-labor. Accordingly, the commercial high school girls is employed as clerical workers, planning that they make the money for a while and reti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들어가는 글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내용 및 의의 = 3 3. 관련 연구 검토 = 4 4. 연구과정 = 10 Ⅱ. 연구대상 학교의 개관 = 18 1. 상업고등학교의 변천과정과 현황 = 18 2. 연구대상 학교의 특성 = 26 Ⅲ. 사무직 노동 준비과정과 제도적 성차별 = 29 1. 상고진학 이유 = 29 2. 취업률 중심의 노동 준비과정 = 32 1) 교육현실 = 32 2) 직업교육 = 34 2-1) 급수 취득 = 34 2-2) 실습과 예절교육 = 36 3) 취업준비 = 41 3-1) 취업과정 = 41 3-2) 취업의 조건 : 외모와 선생님 눈에 들기 = 43 3-3) 취업원리 : 일단 많이 넣고 보자 = 48 3. 성별분리 운영과 교육 = 50 1) 성별 상고진학 요인 = 51 2) 성별에 따른 특혜 = 52 2-1) 남학생 유인책으로서의 정보처리과 = 52 2-2) 성적의 분리와 장학금 = 54 3) 직업인이기 이전에 여성으로의 규정 = 63 3-1) 성별에 따른 교과목과 교사, 학급 분리 = 64 3-2) 통제방식의 차이 : 여성다움과 남성다움 = 67 3-3) 결혼전 임시 노동자 = 72 Ⅳ. 여학생들의 적응 과정에 나타나는 체념과 저항 = 74 1. '목표없는 상고생'으로의 적응 = 74 1) 소외된 집단으로의 열등감 = 74 2) 열등감 강화 = 76 3) 보상기제 = 78 3. 수용과 거부 = 80 1) 의사표현 방식 = 80 1-1) 수다떨기 = 80 1-2) 딴전 피우기와 무시하기 = 82 1-3) 반항무기로서의 여성성 = 84 2) 여성 역할의 수용 혹은 거부 = 88 2-1) 여성다움으로 얻는 이점 수용 = 88 2-2) 성차별 구조 감지 : 결혼 거부 = 90 3) 사무직 노동에 대한 태도 = 92 3-1) 평생할 수 없는 일 = 92 3-2) 건널 수 없는 강으로서의 학력차 = 94 3-3) 평생일과 구분되는 취업 = 95 Ⅴ. 종합논의 및 제언 = 99 1. 종합논의 = 99 1) 직업교육 없는 직업 준비학교 = 99 2) 열등감 내면화와 차별적 현실 감지의 결과 = 100 3) 남성과 내용 다른 직업의식 = 104 2. 제언 = 105 참고문헌 = 109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104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상업고 여학생-
dc.subject사무직노동 준비과정-
dc.subject적응-
dc.subject소외-
dc.subject.ddc300-
dc.title상업고 여학생의 사무직노동 준비과정을 통해본 적응과 소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MERCIAL HIGH SCHOOL GIRLS' LEARNING TO CLERICAL WORK-
dc.format.page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