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숙-
dc.contributor.author김주현-
dc.creator김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88-
dc.description.abstract맞벌이부부의 수가 증가하면서 방과후에 가정이나 거리, 학원을 전전하면서 방치되는 아동들의 정서 및 행동발달을 도모하고 문제를 예방하는 아동복지서비스의 하나로서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이 사회복지기관을 통해서 시행되고 있다. 방과후에 성인의 보호없이 혼자크는 아동 즉, 자기보호 아동은 유해한 환경에 노출될 우려가 높아 안전사고의 발생은 물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여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자기보호아동(Self-Care Child)이 성인보호아동(Adult-Care Child)과 비교해 볼 때 인성, 사회적응, 학업성취에서는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으나 정서나 행동의 문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한다. 이에 지난 '92년부터 맞벌이 부부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의 건전한 정서와 행동의 발달을 목적으로 하여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가에 관한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이 자기보호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로서 정착되면서 양적인 증가에 따르는 타당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방과후탁아를 경험한 아동과 경험하지 않은 자기보호아동간에 정서 및 행동의 문제를 조사, 비교함으로 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자기보호하는 아동중 방과후에 자기집에서 보내는 아동, 학원에서 보내는 아동, '놀이터나 거리'에서 보내는 아동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으며 방과후탁아집단간에 프로그램별로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우선, 문헌연구로서 자기보호가 아동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와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을 알아보고 실증적 연구로서 5개 사회복지기관의 방과후탁아아동과 맞벌이부부의 자녀로서 자기보호아동(Self-Care Child)의 학부모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표준화를 거친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단순빈도와, 백분율, T-test, One-Way Anova, Duncan의 방법으로 통계분석하였다. 분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참여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문제행동이 낮게 나타나 효과를 입증하였다. 하위척도별로는 남아의 경우, 사회적 위축, 신체적 증상, 강박-우울, 비행, 과잉행동에서 두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그 밖의 요인들에서도 참여아동집단이 문제행동을 낮게 나타내었다. 그리고 여아의 경우, 미성숙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밖의 요인들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방과후탁아집단이 일관성있게 낮은 점수분포를 보였다. 2. 방과후탁아집단, 자기집집단, 학원집단, 놀이터나 거리집단의 네집단을 비교할 때, 전반적인 문제행동에서 방과후탁아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기집, 학원집단이 그리고 가장 문제행동이 심한 집단이 놀이터나 거리집단인 것으로 드러났으므로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하위척도별로는 남아의 경우, 사회적 위축, 신체증상, 과잉행동, 성문제-정신병척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고, 그밖의 요인들에서도 문제행동을 적게 나타낸 순위는 방과후탁아, 자기집이나 학원, '놀이터나 거리'집단이다. 여아의 경우에는 두집단 비교시와 마찬가지로 미성숙척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며 그밖의 요인들에서는 방과후탁아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3. 다섯개의 방과후 탁아집단별로 차이를 조사할 때, 프로그램상황에 따라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문제행동이 적게 나타나는 집단과 가장 많이 나타나는 집단간에 구별되는 요인들을 비교한 결과, 교사의 전공, 훈련횟수, 교사 대 아동의 비율, 활동공간규모, 프로그램내용이었다. 위의 연구결과는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이 자기보호하는 아동의 정서 및 행동의 발달을 도모하고 문제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림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방과후탁아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개발하여 활성화하는 동시에 양적으로 자기보호하는 아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양적으로 확대, 실시하여 아동복지서비스로서 정착시키는 계기를 마련함이 중요하다.;As dual income families increase,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which prevent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promote their development are in operation through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s a way of child welfare service. Self care children who grow without adults' care after school show behavioral problems which is due to emotional problem as well as relatively high rate of safety accidents. According to a recent study, when self care chilren are compared with adult care children, they show meaningly differences not in the field of personality, social adaptation and academic accomplishment, but in the field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 study effectiveness about tact that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do their role to development of Child's emotion and behavior. So, this study aims to measure its effectiveness by examining and comparing the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between children who have experience i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and who have not and to provide validity for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which expands its welfare services for self care children. As a way of this study, I have classified self care children into three categories. For the first category, the children who spend their time at home, second, at private institutes, third, at playgrounds or on streets. First of all, as a documentary Study, I have conducted a precedent study abou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n which self care has an effect and found out the purpose and contents of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Secondly, as a experimental method, I have surveyed 193child who take part i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who Self-care Child who have working couples as a parent. As a measuring tool, Child Behavior Check list(CBCL) which was in the course of Korean standardization is used and the collected data is statistically anali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 Way Anova, Duncan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 Generally,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showed less behavioral problem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This result support the fact that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have effectiveness. In subscale, social withdrawal, somatic camplaints, obsessive-depressive, delinquency, hyperactive were significant. Besides in the other subscales, program participating child groups showed a low rate of behavioral problems. 2 . A Comparison among the four groups of after school nursery group, my-home group, private institute group, playground group shows that afterschool nursery group has the least behavioral problems and subsquently my home group, private institute group and playground group. And playground group show the hightest degree in problem behavior. In subscale, meaningly result appear in social withdrawal, somatic camplaints, hyperactive, sexual problems-psychotic. Order which is from the lowest score to the hightest score is After-School Child Care, home, private institute, playground group. 3. when I made inquries to 5 after school nursery groups, meaningly differences is not found among 5 social welfare agencies. But the differences of problem behavior score depended on the teacher's major, the number of training times, the percentage of children to teachers, space and the contents of programs. The result above is to prove that afterschool nursery programs effective in prevent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he self care children. So, improving the factors which decide the quality of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expanding their capacity for self care children is importa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및 내용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령기 아동의 정서 및 행동의 문제 = 6 1.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 7 2. 정서 및 행동의 문제의 분류 = 9 3. 정서 및 행동의 문제에 관한 이론 = 10 B. 자기보호와 아동의 정서 및 행동의 문제와의 관계 = 11 1. 자기보호와 아동의 정서 및 행동의 문제 = 12 2. 선행연구 = 14 C. 자기보호아동을 위한 방과후 탁아 프로그램 = 17 1.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의 목적 = 19 2.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의 내용 = 20 Ⅲ. 연구방법 = 22 A. 조사대상자 선정 = 22 B. 측정도구 = 24 C.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28 Ⅳ. 조사결과 및 분석 = 30 A. 방과후 탁아프로그램 참여아동집단과 비참여아동집단의 일반적 특성 = 30 B. 방과후 탁아프로그램 참여아동집단과 비참여아동집단의 정서 및 행동문제 비교 = 33 1. 두집단 전체 문제행동 비교 = 33 2. 남아의 두집단 하위척도별 비교 = 34 3. 여아의 두집단 하위척도별 비교 = 39 C. 프로그램 참여아동집단과 비참여아동집단 (방과후 시간을 자기집에서 보내는 아동집단, 놀이터나 거리에서 보내는 아동, 학원에서 보내는 아동)의 정서 및 행동문제 비교 = 40 1. 네집단 전체 문제행동 비교 = 41 2. 남아의 네집단 하위척도별 비교 = 42 3. 여아의 네집단 하위척도별 비교 = 47 D. 방과후 탁아프로그램별 운영상황 및 참여아동간에 총점수 비교 = 48 1. 5개 방과후 탁아프로그램 상황비교 = 48 2. 5개 참여아동집단간 문제행동 비교 = 50 Ⅴ. 결론 및 제언 = 52 A. 결론 = 52 B.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94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지역-
dc.subject자기보호아동-
dc.subject방과후-
dc.subject탁아프로그램-
dc.subjectLatchkey child-
dc.title도시지역「자기보호아동」(Latchkey child)을 위한 방과후 탁아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Self-Care Children in Urban Area-
dc.format.page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