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귀인훈련이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및 과제 지속성에 미치는 효과

Title
귀인훈련이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및 과제 지속성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F AN EFFECT ON THE ATTRIBUTION OF SUCCESS AND FAILURE, AND TASK PERSEVERANCE FROM THE ATTRIBUTIONAL RETRAINING FOR THE MILDLY MENTAL RETARDED STUDENTS
Authors
박현주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귀인훈련경도 정신지체 학생귀인과제 지속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준만
Abstract
귀인훈련은 학습자의 귀인과 동기의 문제를 변화시키므로써 효과적인 학습을 돕고자 하는 교수 방법의 하나이다. 특별히 정신지체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귀인과 동기의 문제로 인하여 수행에 결함을 보인다는 이유로 귀인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과제에서의 수행에 근거하여 귀인훈련을 실시하고, 이러한 훈련이 학생들의 귀인과 성취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고찰하므로써 정신지체 학생들의 귀인과 동기의 문제을 중재하는 데 있어서의 귀인훈련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학중이며 한자릿수 덧셈이 가능하고 정신연령(MA)이 7세 이상인 경도 정신지체 중등부 학생 24명을 선정하였다. 이들 대상 학생들에게는 사전에 귀인 검사와 과제 지속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검사 결과 유사한 점수를 보이는 학생들을 짝짓기하여 각각 12명씩 귀인훈련을 받는 실험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는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과제는 45개의 한자릿수 덧셈 문제였다. 학생들이 5문항을 풀 때마다 실험 집단에게는 성공을 능력과 노력에, 그리고 실패를 노력 부족에 귀인시키도록 훈련을 제공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단순히 수행 피드백만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30분씩 6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실험 후에 즉시 귀인 검사와 과제 지속성 검사를 다시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의 처리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사후 귀인 검사 점수와 과제 지속 시간 평균치의 차에 대한 차의 검증을 SAS 패키지를 사용하여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갈다. 첫째, 귀인훈련을 받은 실험 집단과 수행 피드백만을 받은 통제 집단을 내적 책임감 정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귀인 검사의 내적 책임감 항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둘째, 귀인훈련을 받은 실험 집단과 수행 피드백만을 받은 통제 집단을 성공에 대한 능력과 노력 귀인, 그리고 실패에 대한 노력 귀인의 정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귀인 검사의 성공에 대한 능력과 노력 귀인, 그리고 실패에 대한 노력 귀인 항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셋째, 귀인훈련을 받은 실험 집단과 수행 피드백만을 받은 통제 집단을 실패에 대한 능력 귀인 정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귀인 검사의 실패에 대한 능력 귀인 항목에서 유사한 점수를 받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귀인훈련을 받은 실험 집단과 수행 피드백만을 받은 통제 집단을 과제 지속 시간의 정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과제 지속성 검사에서 더 오랫동안 과제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습 과제의 수행에 근거하여 제공한 본 귀인훈련은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성공에 대한 능력과 노력 귀인 그리고 실패에 대한 노력 귀인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키며 동기화의 결과인 과제 지속 시간을 증가 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학습 과제 수행에 대한 성공과 실패의 원인 지각과 동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 전략으로서 귀인훈련이 유용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a short-term attributional retraining can positively change for the problems of the attribution and task perseverance which mental retarded students show. For this purpose, 24 mildly mental retarded students over 7 in terms of mental age and showing the problem of attribution were selected from the Middle Grade of Spedcial Day School in Seoul and de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rained to attribute their success to ability and effort, and their failure to the lack of effort. In the meantime, the controlled group were forced to receive only performance feedback such as "well-done" or "badly-performed" while they were solving the arithmetic addition problems. Intellectual Achievement Responsibility Scale of Crandall, Katkovsky, & Crandall (1965) and Test for simple-task perseverance of Jae Sung Lee(1991) were applied for the review of training effec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spectively. T-test was also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respect of internal responsibility for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task performance. That is, it wa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felt more responsible for thei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led group did. 2. A grea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respect of attribution of successful performance to ability and effort, and that of failure to effort.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attributed the success more to their ability and effort and their failure more to lack of effort than the controlled group did. 3. No difference was found in respect of attribution of failure in task performance to ability. That is,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ttributed the failure just to their inability. 4. Another great difference was found in respect of the period of time for task perseverance. That is, the period of time for task perseverance increased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experi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led group. Judging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attribution retraining for the mildly mental retarded students positively change the desirable attributions of their success and failure, and increase the period of time for task persever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