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8 Download: 0

해체주의 관점에서 보는 조형언어적 개념과 실내환경디자인에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해체주의 관점에서 보는 조형언어적 개념과 실내환경디자인에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ormative concept and approach method of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deconstruction
Authors
양세은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해체주의| 조형언어적 개념| 실내환경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길홍
Abstract
현대는 규격화, 획일화, 집중화, 중앙집권화 등의 성격을 띄는 산업사회에서 벗어나 탈규격화, 개성화, 세분화, 분권화 등의 다양화된 성격을 띄는 탈산업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의 변화는 가치관의 변화를 초래하며 가치관의 변화는 미의식의 변화를 가져온다. 그리고 미의식의 변화에 의해 인간은 새로운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것"들을 만들어낸다. 그러므로 당대의 디자인은 그 사회의 특성 및 움직임을 반영한다. 현대에 있어서 조형사조의 변화는 정적, 결정론적 가치관에서 동적, 상대론적 가치관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장하고 있는 과학에 영향을 받은 바 크며, 균질한 사회는 소멸하고 다양성을 띠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당연한 현상이다. 이러한 변화 앞에 한국건축환경적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극적 입장에서 주체적으로 서구의 가치관 및 건축, 조형사조의 무절제한 수용으로 인한 시대적 상황의 불확실성, 가치관의 혼란, 무질서의 현상을 정확히 이해하는 동시에, 다양성과 상이성을 추구하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향을 같이해야 한다고 인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있어서의 문제는 현재까지의 삶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망각되고 누락된 부분을 다시 건져올려 미래의 삶의 질서를 새롭게 하는 실내환경 디자인을 창출하는 것에 있다. 현대 사회의 특성 및 가치관,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의 대처방안, 토지의 절대부족 현상을 빚고 있는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쾌적한 도시환경 제공의 문제 등을 고려해볼 때 미의식의 변화에 입각한 실내환경디자인의 창출요구에 대한 해결안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것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려는 움직임 중 하나를 해체주의적 사조라고 보고, 그 특성 및 특징을 규명하여 실내환경디자인에의 적용방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구성주의적 조형이념, 구조주의 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패러다임의 변화 및 해체주의 이론을 디자인 방법의 틀로 하여 실내환경디자인에 해체주의적 조형이념 및 디자인 원리를 표현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조사와 디자인 창출 및 분석으로 하였고, 분석 대상은 부산 광안리 바다가에 위치한 문화공간으로 하였으며 해체주의적 조형원리에 의하여 나타난 시각적 특성 및 효과를 분석 하였다. 구체적 적용방법은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한 미의식의 변화에 관하여 고찰함으로서 새로운 가치관에 입각한 실내환경디자인의 창출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구성주의의 조형이념, 구조주의의 이론에 관하여 고찰함으로서 해체주의 조형개념 형성의 토대를 마련한다. 세째, 환경의 조정에 의하여 인간행위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가정을 토대로 하여, 해체주의적 조형접근과정에서의 분석적, 객관적 틀을 제시하였다. - 인공환경의 구성에 있어서 자연과의 조화 안에서의 계획이 인간의 본질적 미적 욕구에 부응하며 보다 향상된 생활을 영위하게함을 살펴보았다. - 환경의 다양하고 풍부한 표현을 통한 적정 수준의 시각적 복잡성은 높은 수준의 환경의 질서화를 형성함을 살펴보았다. - 인간은 상징형식을 통하여 사물의 의미나 관념을 이해한다. 형태미술의 범주로 분류되는 건축 및 실내환경 역시 상징체계를 지니고 있으며, 의미전달기능으로 시작되는 상징화의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현 시점에서 우리 나라의 상황은, 전통에 머물러 있다가 갑작스럽게 20, 30년대의 서구 모더니즘을 추종하였으며, 다시 급격한 도시화, 사회변화의 의식 속에서 모더니즘을 넘어서 모더니즘과 21세기의 정보화와 환경을 인용하는 문화다원주의로서의 급격한 변화를 요구받는 시기에 처해 있다. 이 시점에서 과거를 반성하고 문화의 Identity로서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보편성과, 한국이라는 삶의 장에서 미래번영과 발전의 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조형 및 전통을 계승발전시키고자 하는 학문과 디자인의 당위를 부합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통합하여 이 시대가 요구하는 문제에 부응할 수 있는 조형적 언어체계로서 모형을 설정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적용한 결과 하나의 작은 대상의 모형제시에 불과하지만 디자인 방법론과 절차이론을 따라서 단계별 결과에 도달하였으며, 검토 및 자기평가단계에 이르러서는 창조 및 재창조의 과정을 거쳐 미학적, 기능적, 심리적, 물리적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주제와 연구방법, 새 시대의 상황하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나타난 현상적 결과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선의 사용으로 이해 역동적인 형태들이 표현되었다. 2. 수직, 수평적 공간개념을 배재한 변화속에서 통일된 이미지와 질서를 추구하였다. 3. 긴장감 있는 추상성이 표현되었다. 4. 공간 성격의 가변성으로 인한 유희적,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었다. 5. 중력에 대항하며, 건축의 위계질서를 뒤바꿈으로서 상대론적 입장을 표명하였다. 6. 개방적인 공간구성을 통하여 한국 전통사상에 입각한 자연과 건물, 인간의 공존, 상호작용을 반영함으로서 인간의 생존 및 더 나은 단계로의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였다. 이와같이 해체주의 조형이념적 접근을 통하여 형성된 공간은, 가치관 및 미의식의 변화에 입각하여 다양성과 상이성을 강조하는 현대사회의 특성 및 현대인의 요구에 부합하는 형태로 표현되었다.;Modern society is changed into post-industrial society representing post-standardization, individuation, subdivism, and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from industrial society showing standardization, unformity, concentration, and centralization. The change of society brings the change of the sense of value causing the change of concept of beauty. Human beings make diverse creatures fitting for new demand of the changed concept of beauty. Design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of the society. Changed trend of formative arts was greatly affected by the science insisting paradigm that is transformed into dynamic relative sense (of value) from static, decisive sense of value. It is natural to change in considering modern society is diverse, not uniform.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situations of Korean architectural environment is to understand precisely, positively, subjectively the phenomena of uncertainty, confusion of the sense of value, anomy caused by unrestrained acceptance of western sense of value, architecture, and the trend of formative arts. At the same time, it needs to follow new paradigm according to demend of society seeking for diversity and difference. Therefore, the point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interior environment design reconstructing the order of future life to recover forgotten, missed parts on the process of life. Especially in Korea suffering from the absolute lack of land, its need increases when considering the offering the optimal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find methods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e trend in interior environment design. This contains formative ideology and design principle of disconstruction on the theoretical ground of constructive formative ideology structuralism. The method is researching written materials, creating design, and analizing, whose object is cultural space, Kwanganri Beach, vidual characteristics and effect causeal disconstructive formative principles. There are concrete methods of application. 1. It offers the need of creating interior environment design showing new sense of value though considering the change of concept of beauty. 2. It forms the grounds of disconstructive formative concept by means of considering strutral formative ideology, and (the theory of) structralism. 3. It shows analytic, objective frame in the process of deconstructive formative approach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trol of environment can lead human behavior. - The plan harmonized with nature satisfies natural aesthetic demand of human beings and enables human beings to live improved lives. - Visual complexity of optimal level forms regularizing environment of high level though diverse, abundant expression of environment. - Human beings understand meaning and idea of objects though symbolic has symbolic form. Also, architecture and interior environment, one of formal arts has symbolic system and mechanism of symbolization starting from communicative function. Also, it is our situation at this point of time that requirs a radical change from modernism into the pluralism of culture which employes the Western modernism having once pursued in 1920s and 1930s and informationalization in the 21st century, in the awareness of rapid urbarnization and social change as well. At such point of time, il is required that science and design be grafted, based the science that intends to succeed and develop Korean formativeness and tradition that the era of future prosperity and development require in the universality required by the era necessary to reflect the past as for the identification of culture and in the stage of Korean life. With this in mind, the present thesis establishes a model as for a formative, linguistic system which can respond to the problems which are required by this era, in the intergration of univisality and pecuriality, and then suggests the plans to respond to them. In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such a model, even though it is only a modle for a little object, results in each step respectively could be reached by means of the theology and procedural theory of design. In the step of examination and self-elitism, it was deemed to be proper to the standards of aesthetics, function, psycology, and physics, through creation and recreation. A study was progressed under such a subject, study method, and the situations of anew era, and phenomomenal results are as follows: 1. Dynamic forms were expressed by using oblique lines. 2. Unified image and order were sought in the change excluding vertical, horizontal space concept. 3. Strained abstration was shown. 4. Sportive, symbolic meaning was given by changeableness of space concept. 5. Relative position was announced by resetting the order of architecture against gravity. 6. Improvement of life was searched though reflecting coexistence and interaction of nature, building, and human beings by means of open construting space considered Korean tradition. Above all, the space formed though the approach of disconstructive formative ideology was able to be match for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the need of modern man emphasizing diversity and difference considering the change of sense of value and beauty 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