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석영-
dc.contributor.author최수정-
dc.creator최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8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20-
dc.description.abstract누구나 한번쯤은 나무를 보면서 심리적으로 느끼는 안정감, 친근감, 아름다움으로 인해 자연에 동화되어버린 자신을 문득 발견하게 된다. 이렇듯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자연을 느끼며 자연은 인간의 창작 활동의 원동력으로 모든 예술의 근원적인 힘으로 작용했다. 예술가는 자연에서 느낀 미적체험을 예술이란 형식을 통해 질서를 부여하고 그것을 형상화, 표현하고자 한다. 즉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적 현상의 세계와 볼 수 없지만 느낄 수 있는 현상을 함께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술가는 가시세계로 부터 분리된 현상들을 내면세계의 여과를 거쳐 조형활동을 통해 표현해낸다. 자연의 수많은 표현 소재중 나무는 여러 이미지의 연상과 더불어 생명력과힘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스러움은 상징이며 생명의 힘을 느끼게 하는 나무를 조형요소의 재구성을 거쳐 표현하는데 있다. 본론에서는 먼저 나무의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나무의 개념과 자연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얻어진 생태적 특징, 형태적 구조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예술은 자연의 단순한 모방이 아닌 지각적 체험을 통한 자연의 주관적 조형화라는 측면에서, 본인은 나무의 조형적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예술표현의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나무를 소재로한 작품사례를 통해 예술표현 대상으로서의 나무가 작가의 개성과 주관에 의해 다양하게 조형화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성형방법은 전작품 모두 석고형을 이용한 이장주입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첫째, 나무의 사실적 표현과 텍스츄어의 효과적인 표현을 용이하게 하였고, 둘째, 나무의 변형된 모습을 생동감있게 나타내 주었으며, 세째, 복제를 통한 반복적 나열 효과를 가능하게 하였다. 표현방법은 텍스츄어의 대비를 위해 나무의 형태를 절단하거나 변형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단순화, 왜곡의 과정을 통해서 나무를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태토는 각 작품의 특성에 따라 밀양백토와 고려도토의 자기토 그리고 질감의 표현을 위해 Mullite토 20%와 자기토 80%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전 작품 모두 분무법으로 시유하였으며 0.7㎥ 석유가마에서 8시간 걸쳐 850℃까지 올려 1차소성하고 2차소성은 10시간 동안 1.5㎥ 가스가마에서 마감온도 1230℃로 산화소성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자연으로서 나무가 주는 생명력과 본연구자가 갖는 예술표현 대상으로서의 나무에 대한 상상력이 결합하여 나타낸 나무의 표현이다. 그리고 이것을 조형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도자표현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자연에는 무궁한 표현소재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과 이러한 소재를 조형화하는 과정은 대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에 의해 대상을 재구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자연은 작품표현에 있어서 중요한 모체가 된다는 것 또한 파악하게 되었다. 예술표현의 대상으로서 자연의 나무는 그 조형적 아름다움과 생명력으로 인해 본 연구자에게 다양한 표현의 대상이 되었고 나무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조형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풍부한 표현의 가능성 확대를 찾아 볼 수 있었다.;When we see the trees in nature, more often than not we come to find ourselves psychologically assimilated with the nature by stability, familiarity and beauty the trees give us. Like this, nature has played the role of the motivity in creative activities of human and role of fundamental power in all kinds of arts. Artists have always intended to order, to form and to express the aesthetic feelings we experience in the nature. That is, they have attempted to depict not only the visible image of nature but invisible phenomenon of i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rtists express the images separated from the visible nature through the inward filtering of their minds. Among the many kinds of materials for art, the tree shows us especially the life energy and the power of nature with other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sists in expressing the tree which is the symbol of nature and life energy, by restructuring the formative elements. In the main part of this study, firstly through the general investigation I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tree, the formative structure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survival in nature. And in the aspect that art is not the simple imitation of nature but the subjective formation. I took the formative beauty and life energy of the tree as an object of artistic expression. And also by showing some examples of the artistic expression I paid careful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the tree made by my personality and subjectivity. This thesis is the study of expressions of my own emotion and imagination evoked by the tree. The ship casting technique using the gypsum mold was used for producing ceramic form. First this technique made it easy to express the texture effectively. Secondly it showed the animate transfiguration of the tree. And thirdly it made the repeating effect possible by copying. For the contrast of texture, cutting and transfiguring were used and for the variety of expression, simplifying procedure was used. As for the clay body,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each work, the white ceramic clay of Mill-yang ceramics company and the ceramic clay of Koryo Doto ceramics company chosen. Especially for the expression of texture, the mixture of 20% mullite clay and 80% ceramic clay was used. And on the glazing operation step, spraying technique was for all works. The primary firing process was carried out in a 0.7㎥ kiln using gasoline fuel.,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850℃. The secondary firing was done in a 1.5㎥ kiln using gas fuel, the temperature reached 1,230℃ in oxidizing firing and finishing process for ten hours. And I tried to represent them in producing ceramic form by the restruction of formative element. Through this procedure, I learned that aesthetic objects exist limitlessly in nature and that the artistic formation of these natural materials is not the simple repressentation of the objects but the restruction of the images through the personal subjectivity. As an object of artistic expression, the tree could be a good material because of its own formative beauty and life energy and it showed me a possibility of the expansion in expression objects restructuring formative ele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4 A. 나무의 일반적 고찰 = 4 B. 나무의 예술성 연구 = 6 1. 표현대상으로서의 나무 = 6 2. 나무를 소재로한 작품사례 = 9 Ⅲ. 작품제작 및 해석 = 18 A. 작품제작과정 = 18 B. 디자인과정 = 19 C. 작품해석 = 32 Ⅳ.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006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나무-
dc.subject도자표현-
dc.subject도예-
dc.title나무를 통한 도자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ERAMIC EXPRESSION OF THE TREE-
dc.format.page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