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기옥-
dc.contributor.author金善娥-
dc.creator金善娥-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4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제 5차 교육 과정의 목표와 내응에 입각하여 편찬된 8종의 「문학」 교과서의 체제에 대만 고찰과 수록된 시조 작품의 비교 분석을 동하여 시조를 교과서에 편찬한 과정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시조 교육의 의의를 수행하기 위한 교과서 편찬연구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제Ⅰ장은 서론으로서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다루었다. 제Ⅱ장은 문학 과목의 목표와 교육 내용을 통하여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가 갖는 의의가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시조 교육의 의의는 역사적인 흐름속에서 전개된 시조를 통하여 다양한 인간의 삶을 알고, 내면화시켜 풍성하고 아름다운 삶을 구현한다는 것이다. 제Ⅲ장은 현행되고 있는 8종의 「문학」 교과서의 편찬 방침과 교과서의 구성 체제를 살폈고, 각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시조의 분석은 작품별, 종류별, 시대별, 작가별, 계층별 그리고, 주제별로 다루었다. 제Ⅳ장은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시조 교육의 특징과 문제점을 다루었다. 우선 시조 교육의 구성 및 목표에 따른 문제점으로 문학성 강조 체제와 전문성의 문제, 감상과 이해 교육의 한계에 대한 문제, 고전·현대 문학 통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 민족 문학 특질 교육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시조 작품 수록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록 작품 수의 차이, 1종의 교과서에만 수록된 작품과 연시조 수록의 한계점 등을 다룬 시조 교육의 적정성 문제 그리고, 각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의 다양한 비교 분석을 통한 문제를 제기했다. 제Ⅴ장은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며, 시조 교과서의 효율적 방향 연구를 강조하였다.;This thesis is to study「Munhak」of eight kinds grounded on purpose of the fif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haracter and the problem of Sijo compilation course by the comparision and the analysis of Sijo. Therefore, this thesis is to propose the importance of the text-book compilation research for the meaning of Sijo Education. As an introduction, chapter Ⅰ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and a methology for it. By the purpose of the literary education chapter Ⅱ is to purpose the meaning of Sijo that「Munhak」prints. Meaning of teaching Sijo is to knowing various lives through Sijo appeared in historical flow and to internalizing them to students' own mind so students could find abundant and beautiful life. In chapter Ⅲ, I'd studied about the way of compilation and contents in literary textbooks currently using in school and studied Sijo which is appeared in 8 different textbooks using by comparative analysis method. I devided Sijo in terms of arts, sorts, periods, authors, classes and themes. In chapter Ⅳ, I'd studied specialties and problems of Sijo in literary textbooks. First, I've worked for the problems of structural method and the goal of teaching Sijo such as the system of literary emphasis, specialism, the limit of understanding and being felt Sijo, the problem caused by unifying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and educational problem of traditional literature. Also, I Pointed out the problems which was occurred in progress of consisting Sijo in 8 textbooks. In other words, I could find different consisting numbers of Sijo in 8 textbooks and propriety; i.e. some Sijo is in only one textbook, the limitation of absorption whole one Yensijo into textbook. I've worked for the problems that occured by various comparative analysis for Sijo in textbook. For chapter Ⅴ, I've summarized above studies and emphasized where we should continue our studying for more efficient method of teaching Sijo in textboo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緖論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4 Ⅱ.「문학」교과서에 포함된 시조교육 = 6 A. 문학 과목의 목표와 교육내용 = 6 B. 교육 도구로서의 문학 교과서 = 10 C.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교육의 의의 = 17 Ⅲ. 「문학」교과서의 구성 방향과 체제 = 20 A. 각 교과서의 편찬 방침과 체제 = 20 B. 수록된 시조 작품의 비교 분석 = 30 Ⅳ. 문학교과서에 나타난 시조 교육의 특징과 문제점 = 44 A. 교과서 구성에 따른 시조 교육의 문제점 = 44 1. 문학성 교육과 문학 교육의 전문성 문제 = 44 2. 구성 방식에 따른 교육 효과의 격차 문제 = 46 3. 고전·현대 문학의 통합에 따른 문제 = 49 4. 민족 문학 교육과 역사성의 해체 문제 = 53 B. 시조 작품 수록의 문제점 = 54 1. 작품 수록의 적정성 문제 = 55 2. 문학성과 교육성의 조화 문제 = 57 Ⅴ. 結論 = 61 참고문헌 = 66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517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문학 교과서-
dc.subject시조 교육-
dc.subjectTeaching Sijo-
dc.subject어학교육-
dc.title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시조 교육의 분석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isis of Teaching Sijo in Literary Textbooks-
dc.format.page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