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주부의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주부의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and enviromental management behavior of Housewives
Authors
노남숙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주부환경관리지식 인지도환경관리행동가족관리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and behavior and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enviromental management behavior of housewives are composed of five activities-clothing, eating, housing, buying, family management, The independant variables are composed of objective variable and subjective variabl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uswife's awareness of the enviromental management knowledge according to the objective variable and the subjective variable ? 2. How much are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the awaren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uswife's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objective variable and subjective variable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 4. How much are the effects of related variables on the housewife's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 For these purpose, a theoretical fremework was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and applied to empirical test.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aire those repondents were 477 housewives in Seoul. It was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GLM, F-test,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awaren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housewife's age, husband's job, family number, education experience of environment, frequencies of contracting mass media, the perceived adequacy of resources, social-altruistic orientation. 2. Among all of these variables affecting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the perceived adequacy of resources has the highest effects and the next were family number, social-altruistic orientation, type of residence in order. 3. Total Enviromental' management behavior of housewives had sign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housewife's employment, housewife's job, education experience of environment, frequencies of contracting mass media,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the perceived adequacy of resources, biospheric orientation, social-altruistic orientation, egoism orientation, the awaren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The clothing, eating, housing, family management behavior had the high level, the buying management behavior had the average level. The clothing, eating, housing, buying, family management behavior had sign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the perceived adequacy of resources, biospheric orientation, social-altruistic orientation, egoism orientation, the awaren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In particular, the clothing, eating, housing, buying management behavior had sign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such as education experience of environment. And the housing, buying management behavior had sign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 such as frequencies of contracting mass media. 4. Among all of theses variables affec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the most influence variables was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and the next were influence of housewife's job, biospheric orientation, the satisfaction of household labor, education experience of environment, frequencies of contracting mass media, egoism orientation in order. Among all of theses variables affecting the clothing, eating, housing, buying management behavior, the most influence variable was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But among all of theses variables affecting the family management behavior, the most influence variable was housewife's job.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housewife's environmental management behavior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knowledge, influence of education experience of environment had the highest effect and frequencies of contracting mass media may more influencial than the other variables. And Concrete and systematic knowledge and techniq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requisit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de be attributed to develop the effici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More emphasis should be given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 long range environmental policy. In particular, environmental education be effectively related to environmental behavior, life-educaction and systematic support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further study of environmental problem is needed for an application of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and research method.;본 연구에서는 가정관리 측면에서 환경관리행동을 살펴보고, 그 하위영역으로서 의생활 관리, 식생활 관리, 주생활 관리, 경영·구매 관리, 가족 관리행동으로 구분하여 행동상의 특성 및 실태를 파악한다. 또한 객관적 변인, 주관적 변인에 따라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며, 매개변인인 환경관리지식 인지도가 환경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의 환경관리지식 인지도는 객관적 변인과 주관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에 미치는 객관적 변인과 주관적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세째, 주부의 환경관리행동은 객관적 변인과 주관적 변인,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네째, 환경관리행동에 미치는 객관적 변인, 주관적 변인,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규명을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측정도구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검정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의적 표본추출방법에 의하여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주부 477명을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분산분석(GLM), F검증, T검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중 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관리지식 인지도는 약간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주부의 연령과 남편의 직업, 가족수, 환경교육경험 유무, 매체접촉빈도, 자원적정지각도, 사회이타주의 성향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주부의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에 대한 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원적정지각도가 높을수록, 가족수가 많을수록, 사회이타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환경관리지식 지식 인지도는 높았으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환경관리 지식 인지도는 낮았다. 세째, 주부의 환경관리행동의 전체 수준은 높았으며 주부의 취업 유무, 주부의 직업, 환경교육경험 유무, 매체접촉빈도, 가사노동만족도, 자원적정지각도, 생태주의 성향, 사회이타주의 성향, 이기주의 성향,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관리 영역별로는 의, 식, 주, 가족 관리행동의 수준은 높았으며, 경영·구매 관리행동의 수준은 보통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의, 식, 주, 경영·구매, 가족 관리행동은 주관적 변인인 가사노동만족도, 자원적정지각도, 생태주의 성향, 사회이타주의 성향, 이기주의 성향과 매개변인인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환경교육경험 유무는 가족 관리행동을 제외한 의, 식, 주, 경영·구매 관리행동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매체접촉빈도는 주생활과 경영·구매 관리행동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주부의 연령과 주부의 취업유무는 의, 식생활 관리행동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주부직업은 식, 경영·구매, 가족 관리행동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월평균가계소득은 의, 식, 가족 관리행동에서, 가족수는 의, 식, 경영·구매 관리행동에서, 남편직업은 의생활 관리행동에서, 주택형태는 주생활 관리행동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네째, 주부의 전체 환경관리행동은 제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환경관리지식 인지도가 높을수록 환경관리행동을 잘 수행했으며 주부직업이 생산직일때 관리행동을 잘 수행하지 못했다. 생태주의 성향과 가사노동만족도가 높을수록, 환경교육경험이 있을 때, 매체접촉빈도가 많을수록, 이기주의 성향이 적을수록 환경관리행동을 잘 수행하고 있었다. 관리영역별로 살펴보면 의, 식, 주, 경영·구매 관리행동에서는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가족 관리행동에서만 주부직업 중 생산직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즉 환경관리지식 인지도가 높은 주부일수록 의, 식, 주, 경영·구매 행동을 잘 수행했으며 주부의 직업이 생산직인 경우에는 가족 관리행동을 잘 수행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환경관리지식 인지도나 환경관리행동은 환경교육경험유무와 매체접촉빈도에 의해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 그 중요성이 규명되었다. 그러므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의 개발, 효과적인 교육방법 등의 질적 수준 향상과 함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환경교육이 요구된다. 또한 매스컴을 통해 환경정보를 전달하여 환경지향적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환경관리행동은 가사노동만족도, 자원적정지각도, 가치성향, 환경관리지식 인지도가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자원적정지각도와 가사노동만족도는 환경관리행동에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므로써 환경관리행동이 가정관리행동에 포함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환경관리지식이 많을수록 환경관리행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었으므로 환경관리행동의 각 하위영역별로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환경관리지식에 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널리 홍보한다면 보다 나은 생태학적인 생활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