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서-
dc.contributor.author장미야-
dc.creator장미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0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0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전개되고 있는 전문환경운동단체의 환경운동을 조사하여 환경운동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환경오염의 원인을 어떻게 규정하고, 어떤 사람들이 활동하는가를 분석하여 환경운동의 현실적인 성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환경운동에 관한 조사는 사회운동을 바라보는 기존의 이론으로는 파악되지 않는 면이 많이 나타남으로써 신사회운동의 이론으로 분석하는 것이 적합하다. 최근에 와서 환경오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매우 높아졌고 이를 반영하듯 환경운동단체들이 계속적으로 결성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확산은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으로 서구에서는 이미 활성화되어 기존 정치제도에 반영시키고 있다. 서구의 사회구조적인 배경에서 발생한 신사회운동은 1960년대 후반에 신좌파운동에서부터 환경, 여성, 반전, 반핵, 평화운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어왔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서구의 녹색운동이고 한국에서는 환경운동이다. 환경운동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가치체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신사회운동적 성격을 띠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운동단체중에서 전문환경운동단체로 한정하여 조사한 것으로 전문환경운동단체들은 1980년대 초부터 결성되기 시작했으나 활성화되지 못하다가 1980년대 후반부터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성과로 성장되면서 최근에 이르러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다. 이때부터 각 단체들이 기능분화와 통합을 거쳐 새롭게 재구성되어 현재에는 각 지역에까지 조직이 결성되어 전국적인 차원에서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전문환경운동단체는 환경처의 자료와 실제 환경운동단체의 활동전문가들을 통해 선정한 8개 단체로 제한하여 조사하였다. 이 8개 단체는 가장 활동이 많고 몇 차례의 분화 및 통합과정을 거쳐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이다. 이 단체의 연구방법은 각 단체들의 공식적인 자료와 비공식적인 자료를 통한 문헌연구, 그리고 조직을 대표하는 실무자와 개별면담 및 각종 행사에 참여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운동단체의 활동을 신사회운동의 이론적 틀에 기초하여 다음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 조직과 자원, (2) 이데올로기와 가치, (3) 직접 참여가 바로 중심 분석틀을 형성하는 개념이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운동에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 느슨한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행동결정은 활동가들이 모여 민주적으로 의사를 결정하고 있다. 또한 자원은 회원들의 회비와 각종 환경관련 사업으로 충당하고 있다. 둘째, 각 단체의 이데올로기와 가치는 독특하나 공통된 가치는 생명을 존중하고 전인류를 위한 탈물질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세째, 소집단으로 친밀한 인간관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표제를 부정하고 직접 참여를 특성으로 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process of environmental movememts in Korea. The study will analyze the organizations for environmental movements as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causes and problem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strategic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may be clarified. The environmental movements which are recently development in Korea may not be adequately analyzed by the conventional theories of social movements: thus, this study employed the new social movements approach. In Korea, the citizens' concern for the environmental issues is rising and many organizations launched for the environmental movements. Of course, the enviromental movements are world-wide phenomenon, and it become even politicized in European countries in order to influence the political lnstitutions of policy formations for the improev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 Since 1960, the approaches of new social movements have been adapted by the movements for women's liberation, anti-war, anti-nuclear, peace cause. The prime example for such new social movements is the Green Movement in Germany. As the environmental movement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general, it is considered a new social movements. This syudy limits to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s which were organized in Korea since 1980. They were not so active in the beginning but became very active during the latter part of 1980s when Korea became democratized. As Korea became further democratized, the environmental movements could develop the nation-wide organizations. In this study 8 professional nation-wide organzations, for the environmental movements were analyzed. The official documents and publications of these organizations were initially collect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interviews with the movements' staffs and activist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ree basic analytical terms: (1) organization and resources, (2) ideology and values, and (3) direct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movements in Korea are rather loosely organzied, yet, highly democratic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Resources, human as well as material, are available through the membership dues and voluntray bases. Second, the common values and generalized beliefs are based on the value of human life and de-material ism. Third, the organizations adapt the direct participation pattern instead of the representational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방법 = 4 Ⅱ. 이론적 논의 = 5 A. 사회운동에 관한 제 이론 = 5 B. 신사회운동 이론의 쟁점 = 11 C. 환경운동의 신사회운동적 접근 = 24 Ⅲ. 환경운동의 발전과 실태 = 30 A. 서구의 신사회운동으로서 환경운동 사례 = 30 B. 한국 환경운동의 대두 = 40 C. 한국 환경운동단체의 활동 = 44 Ⅳ. 전문환경운동단체의 활동과 분석 = 54 A. 배다환경클럽 = 57 B. 자연사랑낙동강1300리회 (자연사랑) = 63 C. 환경운동연합 = 67 D. 한살림 모임 = 72 E. 한국교희관경연구소 = 76 F. 관경과 공해연구회 = 80 G. 관경을 살리는 여성들 = 85 H. 환경정책연구소 = 88 Ⅴ. 요약 및 결론 = 91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86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환경 연구-
dc.subject사회학-
dc.subject환경운동-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 환경운동의 실태와 그 성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Nature and Charar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Movements in Korea-
dc.format.page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