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6 Download: 0

초, 중학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초, 중학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Authors
이선옥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중학교교사교직전문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경원
Abstract
교육의 기능이 사회가 복잡·비대화 됨에 따라 학교로 많이 옮겨 갔으나, 아직도 가정 및 기타 각종 사회기관에서 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교직이 전문직이라는 견해가 확실하게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즉 교직은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의 관여가 배제되는 직업이 아니고, 누구나 관심을 보이고 부분적으로는 관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육의 전문화는 하나의 중요한 과제이고, 그것은 곧 과학기술의 발달과 정치사회의 변화가 교육에 주는 시대적 요청이다. 교육의 전문화는 교직의 전문성과 연결되고, 모든 교육활동은 본질적으로 교원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교직의 전문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의 강화는 교직전문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것은 시대의 변화와 사회의 발달에 따라 교직전문성의 성격과 내용이 변화되고 또 성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것이 교직실천과 교직개선에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국민학교와 중학교 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국내외의 문헌을 통하여 전문직의 개념 특성·기준 및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하였다. 질문지 문항은 모두 25문항이며 이는 Richard Hall이 개발한 전문직태도 측정도구(Professional Inventory)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에서 박동준이 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원래 Hall이 개발한 하위변인은 (1)동료의뢰성, (2)공공봉사에의 신조, (3)자기규율성, (4)직업에의 소명감, (5)집단적 자율성등의 총 50문항으로 분류되었으나, 박동준은 이를 (1)교직사명감, (2)동료의뢰성, (3)전문직적 자율성의 총 25문항으로 축소·재분류하였다.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통계기법으로는 평균·표준편차·t검증·F검증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시내 14개의 초·중학교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14개교에서 348부가 회수되었고 회수율은 99.4%이었다. 이상의 조사연구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중학교 전체 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다. 그중에서도 교직사명감과 동료의뢰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교직 자율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되었다. 이는 당위적인 측면에서 교사들이 교직을 다른 직업보다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여 교직에의 소명감이나 헌신성은 높으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교사들에게 자율적인 권한이나 직무수행에서의 전문적 권위는 주어지지 않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교직전문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교사들은 교직사명감을, 국민학교 교사들은 자율성과 동료의뢰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즉 당위적인 측면에서 중학교 교사들은 국민학교 교사들에 비하여 교직을 중요하게 여기고 높은 헌신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관심을 갖고 직접 이에 참여한다든가 동료간에 협동을 하는 정도는 국민학교 교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교직전문성을 상대적으로 더 높게 지각하였다. 하위변인에서 초등 학교 여교사는 교직중요성 인식과 교직 소명감을, 중학교 여교사는 교직 소명감에 더 높은 반응을 보였다. 네째, 교직 경력이 높을수록 교직전문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특히 30년이상 경력의 교사들은 동료의뢰성과 교직자율성 관련변인들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하였다. 다섯째, 연령이 높을수록 교직전문성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에서는 60대 교사들이 중학교에서는 50대의 교사들이 높게 반응했고, 하위변인별로는 교직 중요성 인식 및 교직소명감과 헌신성등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학력별 교직전문성 인식의 경향은 학력이 가장 낮은 집단의 교사와 높은 집단의 교사들에게 높게 지각되는 양극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초등에서는 대학원 이상의 학력소유 교사들이 높게 반응한 반면, 중학교에서는 14년정도의 학력을 가진 교사들이 가장 높게 지각하였다. 일곱째, 학력 배경별의 인식 경향은 전체적으로 비사범계 출신의 교사들이 사범계 출신의 교사들보다 비교적 높게 지각하였다. 그러나 초등에서의 사범계 출신 교사들은 교직중요성 인식·교직소명감·집단자율에서, 중학교 사범계 출신 교사들은 윤리강령 준수를 비사범계 출신의 교사들보다 높게 지각하였다. 여덟째, 직급별로 볼 때는 교직사명감에서만 교사들이 주임교사보다 더 높은 반응을 보이고 동료의뢰성 및 자율성은 주임교사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