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고용수-
dc.contributor.author최양임-
dc.creator최양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2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2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청소년 자아정체감형성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청소년 특히 고등학생 교육의 과제를 제시함과 동시에 대응책 수립을 위한 시사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1.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은 계열별, 성별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실업계(상업고등학교)보다 인문계학생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아정체감형성에 있어서 가정환경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이다. 3. 자아정체감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변인보다 가정의 심리적환경인 가정분위기 변인과 부모-자녀대인관계 변인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4. 자아정체감 점수는 각 종교에 따라, 종교의 유무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하는 인문계 고교생 459명과 실업계(상업고) 고교생 392명으로 총849명을 선정하였는데 그 중 남학생은 414명, 여학생은 435명이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1. 가정환경진단검사(이재창 등이 Sheldon & Glucek, Carson의 자료를 참고하여 제작한 것임)와 2. 자아정체감검사(서봉연이 Dignan의 Ego Identity Scale을 문항 분석절차를 거쳐 우리 현실에 맞게 개작한 것임)이다. 조사자료는 K대학 전산실에 의뢰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가설 1을 검증하기위해 t검증을, 가설 2와 가설 3을 검증하기위해 Pearson의 단순상관계수를, 가설 4를 검증하기 위해 평균과 F검증을 하였다. 검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들의 가정환경은 인문계 집단이 실업계(상업고)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p< 0.01),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0.05). 2.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은 인문계 집단이 실업계(상업고) 집단보다.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0.05). 3.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r=0.2121, p< 0.001). 4. 자아정체감형성에 있어서 가정환경과의 상관성은 인문계 집단과 남학생 집단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5. 고교생 계열 선택에 있어서 가정환경의 사회경제적지위변인이 다른 가정환경변인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p< 0.01). 6. 자아정체감은 가정분위기변인, 부모-자녀대인관계변인과 더 큰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p< 0.001). 7. 자아정체감 점수는 각 종교에 따라, 종교의 유무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환경과 청소년 자아정체감 형성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해 주었다. 또한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 형성에 있어서 인문계와 실업계(상업고),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뚜렷한 차이와 더불어 종교교육의 문제점도 지적해 주고 있다. 이것은 청소년 자아정체감 형성에 있어서 가정환경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며, 가정환경과 나아가서 학교교육, 종교교육의 개선을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하여 청소년 교육에의 과제 해결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며, 가정 분위기를 친애적, 민주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겠다. 이를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2. 청소년 특히 청소년 중기(16-18세)의 자아정체감 혼란을 부추기는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를 개선해 나가야 하겠다. 3. 실업계 교육에 있어서 교육 정책의 개선이 요구된다. 단순히 기술 교육만 아니라 도덕교육, 인격교육을 보완해야 하겠다. 4. 청소년들을 환경을 극복하는 의지적 존재로 성숙시켜야 하겠다. 5. 청소년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다양한 청소년 환경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6. 성차별의 사회 문화적 구조적 모순의 제거와, 이에 대한 여성의 의식개혁이 요구된다. 7. 종교교육이 신앙과 삶의 일치를 추구하고, 훈련하는 교육에로 나아가야 하겠다.;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Envionment and the adolescent's formation of ego-identity, Presenting the task of the education of the adolescent, especially the high school student, and gaining the suggestions for the measure to cope with it at the same tim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1.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environment and ego-identity, depending on department, and sex of the high school student. 2. The stduent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would be more greatly influenced by the home environment in forming their ego-identity than the students in the vocational (commercial) high school, and further the female student would be more greatly influenced by the home setting than the male student. 3. The student's ego-identity would be more greatly influenced by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home such as the hone setting factor and the factor of the personal relations between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an the socio-economic factor of the home. 4. The score of the student's ego-identity would show a sigh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religion, and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absence of religion. 459 students and 392 students as the target of study, totalling 849 students, were selected in the academic high school and the vocational (commericial) high school respectively, which is located in Seoul. of them the number of the male students accounted for 414, and that of the female students claimed 435. The testing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ome environment diagnosis test(produced by Lee Jae-Chang et at in reference to the data of Sheldon & Glucek, Carson) 2. The Ego-identity test(by Suh Bong-yeon to adapt the Dignan's Ego-Identity Scale to our reality) The research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as commissioned to the computer center of K University, and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For purpose of statistical analysis, a t-test was made of Hypothesis 1, a test was made of Hypotheses 2 and 3 using Pearson's simple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Hypothesis 4 was tested by means of mean and F-test To refer to the results of the tests in the concrete, the following points could be obtained: 1. The group of the student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showed higher scores in their ego identity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the vocational (commercial) high school in relation to the adolescents' home environment(p<0.01), and the group of the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at of the male students(p<0.05). 2. With respect to the adolescents' ego-identity, the group of the student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displayed higher scores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the vocational(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group of the male students did so than the group of the female students(p<0.05). 3.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and ego-identity(r=2121, p<0.001). 4.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great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and the home environment in both the group of the student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and the group of the male students 5. The socio-economic status factor was shown to have a greater effect on the choice of the department by the high school student than other home environment factors(p< 0.01) 6. It was verified that ego-identity had a great correlativity with the home atmosphere factor and the factor of the human relation between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p< 0.001). 7.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scores of ego-identity in accordance with each their religion, and o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relig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es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And the findings pointed out the problem of religious education as wel1 as the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in the academic high school and those in the vocational (commercial) high school and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in relation to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formation of ego-identity.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home environment in the adolescent's formation of ego-identity, and thu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home environment, and further more school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are required to impro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정환경의 개념 = 5 B. 자아 정제감의 개념 = 10 C. 가정환경과 자아정체감 = 17 D. 가설 = 21 Ⅲ. 연구 방법 = 22 A. 대상과 표집 = 22 B. 측정도구 = 23 C. 통계 자료 처리 = 29 D. 연구의 제한점 = 30 Ⅳ. 결과 및 해석 = 32 Ⅴ. 결론 = 59 A. 요약 및 발견 = 59 B. 제언 = 63 참고문헌 = 66 부록 = 72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13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가정환경-
dc.subject청소년-
dc.subject자아정체감-
dc.subject상관성-
dc.title家庭環境과 靑少年 自我正體感 形成간의 相關性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and Adolescent's Formation of Ego-Identity-
dc.format.page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