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병욱-
dc.contributor.author李炅姬-
dc.creator李炅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26-
dc.description.abstract우리 民法 제 913조는 "親權者는 子를 보호하고 교양 할 권리의무가 있다"고 親權의 내용을 親權者것 權利義務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는 달리 제 909조 1항은 "未成年者인 子는 父母의 親權에 服從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父母와 子의 관계가 마치 父母는 명령자이고 子는 복종자인 일방적인 支配服從 관계인 것처럼 해석될 수 있다. 이렇게 모순적으로 보이는 民法上의 親權규정은 바로 親子關係에 대한 우리 사회의 家父長的인 전근대적인 價値觀과 현대적인 가치관의 혼돈된 모습의 반영이 아닌가 한다. 오늘날 親權은 父母를 위한 親權에서 子를 위한 親權으로 옮아가고 있다. 특히 子에 관계된 사안에 있어서는 子를 中心으로하여 그의 利益을 우선하고 또한 어른과 같은 積極的인 權利享受主體로서의 子를 발견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단지 개별적인 국가의 國內法에서만이 아니라 國際的 條約에 의해서도 결실을 맺고 있는데, 1989년 유엔의 "兒童의 權利에 관한 協約(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이 바로 그 한 예이며 우리나라도 이미 이를 비준하여 효력이 발생되었다. 이 論文에서는 이러한 오늘날의 親權法의 경향과 관련해서 우리 親權制度를 검토해 보았다. 우선 親權制度의 歷史를 알아보고 英國의 判例를 통해 子에 관계된 사안의 支配的 原則으로 확립된 "子의 福利原則(the Welfare Principle)"을 살펴보았고, 이 原則이 親權과 관련해서 어떤 중요성을 가지며 또한 그 한계는 무엇인가 검토해보았다. 다음으로는 어린이를 保護하기 위한 理論으로 "어린이 權利(the Children's Right)"에 관한 理論과 유엔의 "兒童의 權利에 관한 協約"의 내용중 親權과 관련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여겨지는 것들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앞에서 본 "子의 福利原則"과 "兒童의 權利에 관한 協約"과 관련해서 民法上 親權制度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親權이 現代的 親權으로서 어떤 性格을 가져야 할 것이며 우리 親權規定을 이에 맞게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그리고 앞으로 변해갈 방향이 무엇인가 모색해 보려고 했다.;The Korean Civil Code stipulates in Article 913 that "One who exercises parental authority shall have rights and duties to protect and bring up the child." Article 909 ①, however, provides that "Minors shall be subject to their parents' authority." It can be constructed from the latter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is an ex parte one in which parents order and children simply obey, when the former clearly shows that parental authority is a concoction of both rights and duties. This inconsistency in law can be explained in the mixed-up perspective of our society to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namely, of modern and pre-modern viewpoints. In modern world, the emphasis in parental authority is on the child. The interests of the child is placed before everything when the matter is concerned with a child, and continu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iscover children as positive right-holder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f the UN in 1989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results of those efforts. The Convention has been signed and ratified by R.O.K. in 1991 and came into effect that same year.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amine parental authority - what it is, who can exercise it, how should it be exercised, how should it be changed, etc. - in regards to the above-mentioned modern trend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Chapter 2 looks at the evolution of parental authority, the welfare principle which has come to present status as a first and paramount consideration through case law in England, the implications it has on parental authority and the limitations on its applicability. Chapter 3 is concerned with children's right theories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examines their controversial points. Chapter 4 reviews the institution of parental authority in the Korean Civil Code with respect to "the welfare principle"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explor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In chapter 5, some concluding offers on what characteristics modern parental authority should have are ma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 槪要 = ⅶ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범위 = 2 Ⅱ. 親權制度의 發展과 子의 福利 = 3 A. 序說 = 3 B. 親權制度의 變遷 = 5 C. 子의 福利槪念의 등장 = 9 1. 福利原則의 성립 = 10 2. 福利原則의 판단기준 = 13 3. 福利原則의 限界 = 17 Ⅲ. 어린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 = 19 A. 어린이의 權利에 대한 理論 = 19 1. 序說 = 19 2. 어린이 解放主義와 保護主義 = 20 3. 結 = 22 B. UN의 兒童의 權利에 관한 協約 = 23 1. 序說 = 23 2. 兒童의 權利에 관한 協約의 基本的 特徵 = 25 3. 주요조항 검토 - 親權과 관련하여 = 26 C. 어린이 權利에 관한 주요쟁점 = 29 1. 序 = 29 2. 福利에의 權利 = 29 3. 意見表明權 = 32 4. 結 = 35 Ⅳ. 우리나라의 親權制度에 대한 再檢討 = 37 A. 親權槪念의 變化와 그 趨勢 = 37 B. 親權의 性質 = 39 C. 親權者와 親權行使 = 47 1. 親權行使 = 47 2. 親權의 당사자 = 48 3. 共同親權行使의 原則 = 52 4. 親權行使者의 指定과 變更 = 58 D. 親權과 養育權, 面接交涉權 = 66 1. 養育權 = 66 2. 面接交涉權 = 70 Ⅴ. 結論 = 73 參考文獻 = 75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894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친권-
dc.subject현대적 성격-
dc.subjectParental Authority-
dc.subject.ddc300-
dc.title親權의 現代的 性格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Parental Authority-
dc.format.page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