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7 Download: 0

사회적 지지 자기 지각과 자아방어기제 불안과의 관계

Title
사회적 지지 자기 지각과 자아방어기제 불안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Ego Defense Mechanisem and anxiety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and Self-Perception
Authors
김정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사회적지지자기지각자아방어기제 불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self-perception (psychological resourc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environmental resources) have on trait-state anxiety and mature defense styles on ego defense mechanisms. Subjects on this study were in total 388 college students: 166 males, 222 females. The methodologies used for the research wer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Self-Perception scale. EHWA Defence Mechanism test and State-trait Anxiety test. The data has been analized by -of t-test, profile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ad as follows: < Study 1 > 1.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ture hierarchical model of ego defense mechanism according to the high or the low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at is, results showed the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individuals used for mature defense mechanism and the lower individuals used for immature defense mechanism. And this result was significant over tangible support, imforma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support which are the sub-scal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2.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in mature hierarchical model of ego defens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ositive or the negative self-perception. < study 2 > 1.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rait anxiety levels and state anxiety levels according to the high or the low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at is, the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individuals showed lower trait-state anxiety and the lower perceived social support higher one. And this result was significant over tangible support, imforma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support which are the sub-scal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2.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in trait-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positive or the negative self-perception. < stuey 3 > 1. The collected data of total subjects analyzed b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perception differntly explained the variance of anxiety according to the kinds of anxiety. Trait anxiety(24.8%) was mostly predicted by self-esteem support and state anxiety( 16.5%) by self-perception, comparing to other variables. 2. The collected data of total subjects analyzed b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perception and trait-state anxiety differntly explained the variance of mature defense styles on ego defense mechanisms. The self-intoxication defense styles(5.4%) was mostly predicted by state anxiety and self-esteem support, the immature defense styles(24.0%) by trait anxiety, neurotic defense styles(7.8%) by trait anxiety and self-perception, the mature defense styles(28.3%) by self-perception and the total ego defense mechanism(12.5%) by trait anxiety and self-perception, comparing to other variables.;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적응-부적응에 영향을 주는 적응자원 중 중요한 두 변인인 자기 지각(심리적 자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환경적 자원)가 특성-상태 불안과 자아방어기제 성숙단계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 166명과 여자 대학생 222명, 총 38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 자기 지각 척도, 이화 방어기제 검사, 상태-특성 불안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t-검증,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의 한 종류인 profile 검증, 단계적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1> 1.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고 낮음에 따라 자아방어기제의 성숙단계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성숙한 단계의 방어기제를 더 많이 사용하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미성숙한 단계의 방어기제들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차원인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자존감 지지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자기 지각이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성숙단계들간에서도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2> 1.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고 낮음에 따라 특성 불안 수준과 상태 불안수준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특성 불안과 상태 불안이 낮았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특성 불안과 상태 불안이 높았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인 물질적지지,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자존감 지지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자기 지각이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에 따라 특성 불안, 상태 불안의 수준 각각에서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됐다. <연구 3> 1.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불안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안의 종류에 따라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 지각의 불안변량에 대한 설명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성 불안에 대해서는 자존감 지지(24.8%), 상태 불안에서는 자기 지각(16.5%)이 투여된 다른 변인에 비해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전체 피험자를 대상으로 자아방어기제에 대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방어기제의 성숙단계의 종류에 따라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기지각, 불안의 자아방어기제 변량에 대한 설명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방어기제의 자아도취 단계(1단계)에서는 상태 불안과 자기지각(5.4%), 미성숙 단계(2단계)에서는 특성 불안(24.0%), 신경증적 단계(3단계)에서는 특성 불안과 자기 지각(7.8%), 성숙 단계(4단계)에서는 자기 지각 (28.3%), 자아방어기제의 전체에서는 특성 불안과 자기 지각(12.5%)이 투여된 다른 변인에 비해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높을 수록 그리고 자기 지각이 긍정적일수록 적응적인 성숙한 단계의 방어기제를 많이 사용하며, 특성-상태 불안이 낮았다. 그리고 특성불안에 대해서는 자존감 지지가, 상태불안에 대해서는 자기 지각이, 자아방어기제의 성숙단계에는 자기지각이, 미성숙 단계에는 특성 불안이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의 장면에서 불안이 높거나 부적응적인 방어기제를 주로 사용하는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자기 지각을 하도록 도와주고, 타인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특히 자존감 지지를 지각하도록 함으로써 내담자가 보다 건강하고 적응적인 삶을 살도록 돕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