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4 Download: 0

이브 클렝의 작품에서 제시된 '비물질성'

Title
이브 클렝의 작품에서 제시된 '비물질성'
Other Titles
La signification de l'immateriel revele dans le monochrome d'Yves Klein
Authors
이정실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이브클렝비물질성모노크롬작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Ce travail vise a` e´tudier la signification de l'immate´riel re´ve´le´ dans les oeuvres d'Yves Klein. La peinture monochrome a paru au de´but du XXe sie`cle avec Male´vitch et Rodchenko, qui sont devenus en conse´quence chacun I'originaire du monochrome me´taphysique et mate´rialiste. Ce travail a pris le point de depart a` partir de la re´flexion sur la tendance globale du monochrome kleinien en ce qui concerne ces deux penchants. On a souvent conside´re´ le monochrome d'Yves Klein faisant partie de la facon de Male´vitch, c'est-8-dire me´taphysique, mais on ne peut pas totalement exclure la possibilite´ de l'attribut mate´riel, manifesle´. chez Klein. Le monochrome de Klein comprend aussi Line certaine signification plus e´largie de "l'esprit de monochrome", de´passant ainsi une simple caracte´ristique picturale, puisqu'il s'agit, dans sa vision artistique, de saisir, au-dela` de la dimension visuelle, la substance immate´rielle invisible. Klein appelle cette substance comme "la sensibilite´ picturale pure". Le but de ce travail consiste a` re´ve´ler, a` travers les recherches approfondies sur la signification de cette substance, la place incontestable et particulie`re du peintre clans l'histoire du monochrome, et aussi a` tenter une re´flexion sur la position qu'il occupe dans la tendance de l'immate´rialisation de l'art du XXe sie`cle. Sur le plan ge´ne´ra1, le mode artistique du XXe sie`cle manifeste une tendance qui implique le caracte`re immate´riel dans les oeuvres et se dirige ainsi vers une investigation du domaine consacre´ a` un concept me´taphysique. Il semblerait en effet que I'oeuvre de Klein comprend ces deux initiatives. Si l'on conside`re le monochrome comme e´tant appartenu a` la dernie`re tendance, on pourrait aussi trouver, dans un contexte plus e´tendu vis-a`-vis du monochrome, les e´le´ments immate´riels applique´s de fac¸on directe dans la peinture. Ces e´le´ments immate´riels, dans ce cas, se repe´sentent comme des composants essentiels de l'univers, c'est-a`-dire eau, feu, terre et air. Le monochrome est ne´ dans la que^te de la couleur pure. Klein a voulu saisir le monde unifie´ et concis de fac¸on a` suivre le dogme de "Rose-Croix" auquel il s'e´tait passione´ et a acce´de´ ainsi a` une sorte de peinture "wholistic" que ne conc¸oit pas une se´paration entre la forme et le fond. C'est une peinture faite d'une seule couleur et, pour Klein, il s'agit d'un interme´diaire physique qui sert a` un saisissement et a` une cristalisation de la sensibilite´ picturale. Klein a choisi entre autres monochromies le bleu afin d'e´viter le danger de la composition qui pourrait se produire lorsque l'on met plusieurs monochromies sur le me^me mur. C'est parce que le bleu est une couleur qui corresponderait a` son esprit a` travers sa signification symbolique repre´sentant l'univers infini immate´riel. Mais le monochrome bleu prend, a` cause de la mate´rialite´ du pigment et de sa nature aux trois dimensions, l'attribut en tant qu'objet situe´ dans un espace re´el. De plus, son oeuvre prend une dimension plus e´largie de fac¸on a` de´passer le domaine pictural accueillant le travail sur les objets variables. En fait, Klein a voulu manifester, a` travers l'objet mate´riel, le domaine spirituel. Le bleu a fait parai^tre l'or et le rose, et ces trois couleurs montrent un monde symbolique. parfait en quelque sorte, re´ve´lant ainsi sa trilogie. L'immate´riel re´ve´le´ par monochrome se de´veloppe plus encore et se mainfeste dans ses oeuvres de fac¸on plus directe et audacieuse. Dans les Anthropome´tries, il utilise toujours le monochrome bleu en tant qu'interme´diaire et essaie de saisir aussi la vitalite´ humaine a` travers le corps humain lui-me^me. Dans les Cosmogonies, Klein y a adapte´ directement les e´le´ments immate´riels en prenant les quatre e´le´ments essentiels de l'univers. Il a conside´re´ sa peinture du feu comme une l'expression ide´ale qui totaliserait son esprit du monochrome. Et son exposition du "Vide" est un exemple qui pre´sente clairement l'air en tant qu'e´le´ment immate´riel et une certaine manifestation du concept nouveau qui mate´rialise l'espace vide. D'autre part, on peut conside´rer aussi les e´le´ments immate´riels comme le feu ou l'air en tant qu'e´le´ments a` la fois substantiels et mate´riels qui sont inclus dans les objets me^mes , comme l'indique Bachelard. Le monochrome de Klein a donne´ beaucoup d'influence sur d'autres peintres dans le domaine spirituel et formel, et surtout clans la tendance de l'immate´rialisation dans l'art moderne. Il a suivi les re´gles du formalisme moderne mais aussi en me^me temps, refuse´ l'art abstrait sans signification suffisante prenant une distance vis-a`-vis de la vie re´elle. Il a souhaite´ que I 'on conside`re non seulement ses oeuvres plastiques mais aussi ses paroles, gestes et sa vie me^me comme une oeuvre significative et d'e´tablir une nouvelle conception de l'art qui pourrait transcender l'ide´e de distinction ou de se´paration entre la forme et le contenu ou le mate´riel et l'esprit. L'immate´riel dont Klein est en que^te dans ses monochromes devrait e^tre compris non pas comme une proposition oppose´e du mate´riel, mais quelque chose inclu dans le mate´riel ou qui pourrait e^tre acce´de´ travers le mate´riel.;본 논문은 이브 클렝의 모노크롬에서 제시된 "비물질성"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모노크롬 회화는 20세기 초에 말레비치(Kasimir Malevich)와 로드첸코(Alexandre Rodchenko)에게서 시작되었고 각각의 정신적, 물질적 모토크롬의 두 기원이 되었다, 이 두 모노크롬의 주류 중 클렝의 모노크롬은 어느 편의 흐름에 속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그의 모노크롬은 주로 말레비치 계열에 속하는 형이상학적 모노크롬으로 평가되어 왔지만 그의 작품에서 표현되는 물질적 속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클렝의 모노크롬은 단순한 회화적 특질을 넘어서서 '모노크롬 정신'이라는 확대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의 예술의 대상은 시각적인 차원을 초월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실체를 포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체를 클렝은 '순수 회화 感性'이라고 표현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실체의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모노크롬 역사 속에서 그가 차지하는 독자적인 위치를 밝히는 것이다. 더불어 20세기 미술의 비물질화 경향에서 차지하는 그의 위치에 관해서 고찰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20세기 미술의 비물질화 경향은 비물질적인 요소를 작품에 수용하거나 정신적인 개념의 영역을 탐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클렝의 작업에는 이 두 속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노크롬이 후자의 경향에 속한다면 모노크롬이 확장된 작업들에서는 비물질적 요소를 직접 사용하기도 했다. 이 때의 비물질적 요소는 우주를 이루는 기본 4원소인 물, 불, 대지, 대기 중의 하나이다. 모노크롬은 순수한 색채의 탐구에서 시작되었다. 클렝은 자신이 심취했던 장미 십자회의 교리에 따라 분화되지 않은 단일한 세계를 추구하여 형태와 바탕의 구분이 없는 全面的 회화에 이르렀다. 그것은 단색으로 이루어진 회화이며, 그에게 있어 단색은 회화적 감성을 포착해서 결정화 시키는 물리적 매체이다. 여러개의 단색이 공존할 때 전체적으로 어떤 구성이 형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는 한가지 색을 선택하기로 했고 그중에서도 푸른색 만을 택했다. 푸른색은 비물질적인 무한의 세계를 나타내는 상징성으로 인해 클렝의 사상에 부합되는 색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푸른색 모노크롬 회화는 안료의 물질성과 더불어 조각적인 3차원적인 속성으로 인해 실제 공간에 놓인 '오브제와 같은 속성을 갖게 된다. 그는 이러한 속성을 더 발전시켜서 회화의 영역을 넘어선 다양한 오브제 작업으로 학대시켰다. 이같은 사실들은 물질을 통해 정신을 표현하고자 했음을 드러내 준다. 한편 푸른색은 금색과 핑크색의 모노크롬을 파생시켜서 삼위일체로서의 보다 완벽한 상징 체계를 보여 주기도 하였다. 모노크롬에서 제시된 비물질성은 그 영역이 확장되어 더욱 직접적이고 과감한 작업들로 이어졌다. 인체측정에서는 여전히 푸른색 모노크롬을 매개로 하고 있지만 인체라는 또 다른 매개물을 통해 인간의 생명력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우주계측에서는 비물질적 요소를 직접 수용했는데, 이것은 우주의 기본 사원소를 이용한 회화이다. 특히 그는 불의 회화를 자신의 '모노크롬 정신'을 종합하는 이상적인 표현 형태로 생각했다. 그리고 <공허>展을 대기라는 비물질적 요소를 제시한 예로 볼 수도 있고, 또한 빈 공간을 작품화한다는 개념 자체의 제시이기도 하다. 여기서 불이나 대기같은 비물질적인 요소는 바슐라르가 지적한데로 사물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원소로서 넓은 의미의 '물질'로 볼 수 있다. 클렝의 모노크롬은 정신적 측면과 형식적 측면에 있어서 그리고 비물질화 경향에 있어서 다른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미국 작가들의 모노크롬 작업과도 비교 가능하다. 그는 모더니즘의 형식주의 규범을 따르면서도 의미가 결여되고 실제의 삶으로부터 고립된 추상 미술을 거부하였다. 그는 자신의 물리적 작품 이외의 모든 행위와 발언, 나아가 삶 자체까지도 의미있는 작품으로 간주되길 원했으며, 형식과 내용의 또는 물질과 정신의 구분을 초월하는 새로운 미술의 개념을 세우고자 했다. 따라서 클렝이 모노크롬 작업에서 추구한 비물질성은 물질성의 반대 명제로서가 아니라 물질에 내재된 또는 물질을 통해 도달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