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학습동기 유발에 미치는 효과

Title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학습동기 유발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FOR LEARNING MOTIVE
Authors
김혜령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진로탐색집단상담학습동기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에게 진로탐색 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학습동기 및 성취동기 유발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를 다음 4가지 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1.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생은 통제 집단 학생 보다 학습동기가 더 높아질 것인가? 2.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생은 통제 집단 학생 보다 일반 성취동기가 더 높아질 것인가? 3.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생의 학습동기, 성취동기의 변화는 남녀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학생의 학습동기, 성취동기의 변화는 지능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피험자들은 사전 광고를 통하여 집단 상담에 참가하기를 희망한 부천 시내 P중학교의 남녀 학생 각 7명으로 구성되었다. 통제 집단은 같은 학교, 같은 학년에서 광고를 통하여, 학습 습관 검사와 욕구 진단 검사를 받아 보고자 희망하는 학생을 선착순으로, 남녀 각 7명 씩 모집하여, 검사를 실시해주고, 4개월 후 다시 검사를 실시하여 자연적인 성숙에 의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려 주겠다고 약속하는 방법으로 표집했다. 본 진로탐색 집단상담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경기도 교육 연구원에서 펴낸「진로 교육의 길잡이」에 실린 '진로 탐색 프로그램'(1992), 서울 대학교 사범대학 상담 교육 연구실에서 제작한 중등교사 연수 자료용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1991), 정 태일, 이원구의 「인간 관계 교육 프로그램」(1991)에서 내용을 선별적으로 발췌하여, 본 연구 피험자들의 성숙 단계와 실험 여건에 맞추어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진로탐색 집단상담에서 사용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크게 다음의 3 단계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 1단계 : 자아 탐색 (나의 장점 20가지 찾기 등......) 제 2단계 : 자기 이해 (진로 적성 검사 등......) 제 3단계 : 진로 탐색 (희망 직업 목록 작성, 직업 정보 수집 등......) 본 진로탐색 집단상담은 주 1회, 2시간씩 12회로 구성되었으며, 10회의 자기평가 종합은 2주에 걸쳐 4시간 이상이 소요 되어 총 26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통제 집단은 같은 기간 중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학습동기 측정을 위한 김기석의 「학습 습관 검사」와 성취동기 측정을 위한 황정규의 「욕구 진단 검사」 2가지이며, 자료 처리는 실험-통제 집단 별, 남녀별, 지능 변인별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각 검사 점수의 변화량을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동기 점수가 의미있게 높아졌다. 2.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성취동기 점수가 의미있게 높아졌다. 3. 실험집단 남, 녀 학생 간의 학습동기, 성취동기 점수의 변화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4. 지능 변인에 따른 학습동기, 성취동기의 유발 정도는 변량이 적어 변화량을 변별할수 없었다. 그러므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중학교 2학년생에 대한 본 진로탐색 집단상담은 학습동기, 성취동기 유발에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have influence on the teaming motive and achievement motive of middle school student. The issue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attending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will learning motive be improved meaningfully to the experiment group mor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after attending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will achievement motive be improved meaningfully to the experiment group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after attending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will there be difference between girls and boys in the change of learning motive, achievement motive. Fourth, after attending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will there be difference with I.Q. variation in the change of learning motive, achievement motive. Subiects in this study were seven boys and seven girl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Puchon, who attended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The control group was also seven boys and seven girls in the same grade, same school. They were invited, through advertisement, to 「The learing habit test」 and 「The need diagnosis test」 by their hope, by order of arrival. They were promised the notice of effect of the tests and they were told to have the same tests after four months and were promised the notice of the change of their learning motive and achievement motive by their maturity. The tool of this study is the program for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It is sellectively examined and recomposed to the experiment enviroment and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subjects. And that is based on the 「Guide of career education」, Kyong Ki education institute; 「The program of career search」, The Seoul University Secondary Teacher Trainging Institute; 「The program on the education of human relation」, Yi Woˇn-gu, Choˇng Tae-il. The program of this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substage. The first stage: Self-Search (Looking for my 20 merits, etc.) The second stage: Self- Understanding (Career aptitudes test. etc.) The third stage: Career-Search (Making up the desirous vocation list. Collecting the vocation information. etc) This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was composed of 12 meetings, 2 hours a time, 1 time a week. It took 26 hours to have all the meetings, including four ours of the 10th meeting which was to synthesize 'self-estimating.'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ll subiects were tested on learning motive and achievement motive. The tool of measurement was 「the learning habit test」, Kim Ki-sok and 「the need diagnosis test」, Hwang Chong-gyu. The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during the expriment period. The analysis of variables in regard to learning motive and achievement motive is used in the process of data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attending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the learning motiv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improved meaningfully. But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not. Second, after attending career search group counselling, the achievement motive went meaningfully higher with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of the experiment group on the extent of the change. Therefore, concluding the result of this study,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is supposed to be efficient for improving learning motive and achievement mo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