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동열-
dc.contributor.author정은숙-
dc.creator정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박물관자료를 전산화하고자 할 때 필요한 체계적이고 통일된 표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국적인 차원의 네트웍을 형성할 수 있는 분류방안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 면담조사, 사례연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박물관자료의 특성 및 이용자의 정보요구, 박물관자료의 분류상의 문제점 등을 고찰하였다. 면담조사는 박물관의 역할 및 자료관리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현직 전산담당자, 전문가에게 실시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는 헌터리안박물관, 大阪國立民族學博物館, 筑波大學學術情報센터, MOA美術館의 전산화를 위한 유물의 분류체계를 조사하여 분류 방안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 박물관의 자료 분류방식과 전산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106개 박물관에 배부하여 61개 박물관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응답한 기관은 국·공립박물관 18개, 사립박물관 13개, 대학박물관 30개이며, 이 중 60개 기관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3개 박물관(55.0%)이 물질별 분류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13개 박물관(21.7%)은 각기 독자적인 분류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둘째, 전산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 분류방식의 적합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37개 기관(61.7%)이 상당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2개 기관(3.3%)은 전혀 적합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부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분류의 체계성이 부족하며(36,0%), 유물의 명칭 및 관련용어에 통일성이 결여되었고(24.0%),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다른 기관과 연계성이 없기 때문인 것(18,0%)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 박물관은 대체로 전국적인 전산화를 위해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그 방법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통일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즉, 네트웍을 통하여 정보교환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29.2%), 분류 체계의 통일성을 기할 수 있고(25.0%), 자료를 합리적·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식을 기준으로 박물관자료 전산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전산화를 위한 유물의 분류방안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접근점을 다양하게 하기 위해 모든 유물에 꼭 필요한 공통항목을 추출하여 항목분류를 실시하였다. 공통항목에는 유물번호, 유물명칭, 수량, 시대, 수장연월일, 수장구분, 수장처, 출토지, 수입경위, 재질, 기법, 문양, 구조특징 등이 포함되며, 이 중에서 분류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대, 수장구분, 출토지, 재질, 기법, 문양에 해당하는 항목을 분류하였다. 둘째, 장르를 설정하여 공통항목분류에 추가하였다. 장르는 전문박물관의 특성 및 학문의 특성, 유물의 특성과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주제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정하였다. 장르에는 고고품, 민속품, 도자기, 희화, 서적, 불교공예, 무구류, 가구, 화폐 등 9개이다. 셋째, 이러한 분류방안이 설정되기 위해서는 유물명칭의 통일, 각 박물관 간 의견교류의 기회 마련, 전문가들의 관심, 통일된 분류방안의 제도적인 채택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설정한 분류방안은 국내 박물관이 현재 채택하고 있는 유물의 다양한 수작업 분류방식에서 벗어나 전산화를 위하여 공통된 분류를 설정하는 데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분류방안을 토대로 통일된 표준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전국적인 네트웍을 형성하여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an form the network through nationalwide, in computerizing museum data. To achieve the aims, as the research methods are used literature survey, interview, case study, and questionaire. First of all, it considered the nature of museum data, information need of user, the classification problem of museum data, etc was found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interview is operated with the present computer specialist and curator to help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the museum data. Also, case study applied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rtefact to computerize museum data in foreign museums. The questionaire elucidate the problems about artefact classification scheme and computeriz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33 museums(55.0%) use the material classification method. otherwise 13 museums(21.7%) choose personal classification method each other. 2. As a result which one research the adequacy of the present to computerize data, 37 museums(61.7%) responded quite much amendment are needed, and 2 museums(3.3%) responded it is not adequate at all to do so. The reason for inadequacy is because the classification is not systemic(36.0%), the unification lack in the name of artefact and related terms(24.0%),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with other museums by no standardization(l8.0%). 3. Respondants support opinions that museums lack the standards to computerize in the whole country as usual, and the way must be unificated in the center of museum. In conclusion, by network, the information sharing can be easy (29.2%), it is possible to make the unification of classification system(25.0%), and this study emphasize on achieving museum data computerizing by the standard of forma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data. By these research methods,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computerizing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Classification system enforced the item classification through extracting the needed common item in all artefact to make access point variously. The common item include the artefact number, artefact name, artefact amount, the period, the received date, the received method, the place which is excavated, the material, the technique, and the design. Among them, such as the period, the received method, the excavated place, the material, the technique, the design are classified because need classification absolutely. 2. Classification system decided in the part of the main class to be possible to find subject considering character of special museum, the nature of the study, importance of the artefact, etc. The parts are totally 9, such as archeology data, folk data, potterys, paintings, books, buddist arts, the weapons, furniture, money, and so on. 3. The unification of artefact name, the offering chance of opinions' relationship, interests of specialist, lawful choice of unificated classfication system need to establish that kind of classification system. This classification system will provide the directions when you establish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computerize escaping from the various classification methods of manual work. This classification system, therefore, can process the unificated standards more easily, and can use our cultural property effectively through formation of the national net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C. 선행연구 = 4 Ⅱ. 박물관자료 분류의 이론적 고찰 = 10 A. 박물관자료의 의의 = 10 B. 박물관자료 분류의 특성 = 13 C. 전산화를 위한 유물 분류의 사례 = 19 Ⅲ. 국내 박물관의 자료분류 현황조사 = 29 A. 조사방법 = 29 B. 조사결과의 분석 = 30 Ⅳ. 박물관자료 전산화를 위한 분류방안 = 48 A. 분류방안의 목적과 필요성 = 48 B. 분류방안의 원칙 = 49 C. 분류방안의 실제 = 50 Ⅴ.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8 부록 = 75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212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박물관자료-
dc.subject전산화-
dc.subject분류방안-
dc.subject문헌정보학-
dc.subject.ddc000-
dc.title박물관자료 전산화를 위한 분류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Computerizing Museum Data-
dc.format.page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