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
dc.contributor.author김둘순-
dc.creator김둘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79-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was begun with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situation that though entrance qualification for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was required of women and men equally, only a few women participated in it.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auses preventing women from joining in the programs,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their instruction and everyday life in the institutes. Despite increase in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female laborers' poor status is not still advancced. As one of the cuses of this situation is that female laborers are low-skilled or lack vocational skill, inquiry into the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for jobs is necessary. For this study, among many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wo were choosed. Everyday life and training courses in the institutes were observed and interview was exercised. Interviewees are 1 managing member, 15 instructors, 3 housemasters, 20 girl trainees, and 4 graduates. Particularly, materials from 15 instructors, 2 housemasters, 14 trainees, and 1 gaduate were intensively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image of public vocational training that it is for social vagabonds and girls of sexually loose conduct and that it is another military troop for men is an important obstructive factor to women's participation in public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Moreover, public informations to promote participation are mainly for male applicants, and female participants are controlled to apply for a few certain departments. On the other hand, female trainees, having overcome disagreement of their parents and middle school teachers, have clear goal of becoming life-long workers with professional skill. Secondly, because of its emphasis on acqisition of certificates, general education in relation with female laborer's job life, actually necessary part, is relatively neglected. This problem results in another obstructive factor to women's life-long works. As for girl trainees, despite their goal of becoming life-long workers, have conflict in mind because of feeling of inferiority as vocational trainees, uncertain prospect after completion, everyday control such as restricting free going out. Notwithstanding its public objective of bringing up skilled female workers, the idea, "women must be womanly", emphasized in the instruction leads to girl trainees' weak volition for the vocational training. Furthermore, the fact that more than 95 percent of the instructors are men is a factor weakening women's will for the training and engendering sexually divided instruction. Thirdly, female trainees come to face prevention again, looking for occupations. Instructors recommend male trainees for posts made better conditions and female trainees for posts made relatively worse conditions, there being the principle of recommendation based on academic records. That is; female trainees who have ever overcome different obstructions, come to have jobs of poor conditions. This situation makes it difficult for female trainees to have life-long vocations and is a factor of voluntary retirement or change of occupations. It helps to reproduce the ideology that 'women are lowly occupation- minde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a basic material for the improvement of women's low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through revealing its obstructive factors, while the necessity of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is emphasized. Secondly, while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this subject approached only institutionally and structurally, missing the preventive factors in female trainee's point of view, this study reveals the missed parts by looking into the actual process of the training. This approach helps to change the aspects of sexual division observed in the instruction. Thirdly, as it is on the conditions for the improvement of female laborers' status by looking at the pre-stage before entering the labor markets, this study will help to raise female laborers' poor status in long-range view.;이 연구는 공공직업훈련이 입학자격에 있어서는 남녀가 모두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참여가 매우 낮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했다. 이에 여성의 직업훈련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을 여학생의 훈련과정 및 훈련원 생활경험을 통하여 밝혀보고자 했다.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성노동의 열악한 지위는 여전히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원인중의 하나는 여성노동의 무기능, 저숙련문제에 있다고 보고 여성의 노동준비과정이 어떠한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공공직업훈련원중에서 두개의 훈련원을 선정하여 훈련원 생활 및 실습수업을 관찰했으며 교사와 학생을 면접하였다. 면접자는 관리자 1명, 교사 15명, 사감 3명, 여학생 20명, 졸업생 4명을 했으며 이 중에서 이 연구에 집중적으로 분석된 면접자는 교사 15명, 사감 2명, 학생 14명, 졸업생 1명이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에 참여한 여학생들은 학교 선생님이나 부모로부터 적극적 또는 소극적 반대를 무릎쓰고 입학했으며 전문기능을 배워서 평생직업인이 되겠다는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직업훈련은 사회적 부랑아, 정숙하지 못한 여성이 가는곳, 남성들이 가는 또 하나의 작은 군대'라는 사회적 이미지가 크게 작용하고 뿐만 아니라 홍보내용이 남성위주로 되어 있으며 공과선정과정에서 특정공과에 지원하도록 조정되어 훈련생의 모집과정에서 여성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훈련과정에서 여학생은 훈련내용이 자격증 취득위주로 진행되면서 상대적으로 여성의 직업생활과 관련한 현실적인 교양교육이 소홀하게 취급되고 있는점도 여성을 평생직업인으로 나아가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여학생들은 평생직업인이 되겠다는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직업훈련생이라는 열등감과 수료후의 전망 불투명, 외출제한속에서 기숙사생활을 해야하는 갑갑한 생활의 통제등으로 갈등과 고민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여성전문기능인을 양성한다는 공식적인 훈련목표와는 달리 '여성다워야 한다'는 관념을 강조하므로서 여학생들의 직업훈련에 대한 의욕을 저하시키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훈련교사의 95% 이상이 남성이라는 점도 여성의 직업훈련 의욕을 약화시키고 직 업훈련내의 성별분리교육을 낳는 하나의 요인임이 밝혀졌다. 세째 취업과정에서 여학생은 훈련원 내·외부로부터 또다시 장벽에 부딪힌다. 즉 공과 선생님의 추천과정에서 성적순으로 추천한다는 공식적인 근거이면에 실제로는 상대적으로 조건이 좋은 곳에 남학생을, 그렇지 못한 곳에 여학생을 추천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것은 여학생이 취업에 이르기까지 많은 장벽이 있었지만 그것을 견뎌 냈다고 하더라도 또 다시 취업과정에서 남학생과 분리되어 열악한 조건에 취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결국 여성을 평생직으로 가기 힘들게 하며 이직, 전직을 하게하는 요인이 되므로서 '여성은 직업의식이 약하다'는 통념을 재생산하는 근거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여성에 대한 직업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성의 직업훈련 참여저해요인을 구체적인 여학생의 훈련과정을 통해 밝힘으로서 이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된다. 둘째, 기존의 직업훈련 논의가 주로 제도적, 구조적인 문제 접근방식으로 하므로써 여성의 입장에서 직업훈련 참여저해요인을 보지 못한 반면에 이 연구는 여학생의 구체적인 훈련과정을 통해서 살펴 봤다는 점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직업훈련에 대한 연구뿐 만 아니라 실제 훈련방식에도 성별분업적인 시각을 변화시키는데 일조하게 될것이다. 세째, 이 연구는 여성노동의 지위향상을 위한 조건을 시장진입 이전단계에서 고찰하므로서 기회의 평등, 조건의 평등을 강조한다. 이것은 장기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여성노동의 열악한 지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문제 및 연구의의 = 3 Ⅱ.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 5 1. 연구방법 및 한계 = 5 1) 연구대상 선정기준 = 5 2) 자료수집과정 = 7 2. 연구대상의 일반적 현황 = 10 1) 공공직업훈련과 여성 = 10 (1) 성별기능인력 양성실적 = 11 (2) 여성참여직종의 변화 = 12 2) 연구대상훈련원의 일반적 현황 = 14 (1) 훈련교사 및 훈련생의 인적구성 = 14 (2) 교과과정 = 16 (3) 운영방식 = 17 Ⅲ. 공공직업훈련에서 여성차별 = 20 1. 모집과정에서 여성의 배제구조 = 20 1) 위탁훈련실시를 계기로 여학생홍보시작, 홍보내용의 남성위주 = 21 2) 공과선정과정에서 여성의 특정공과지원 조정 = 25 3) 직업훈련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 '또하나의 작은군대, 정숙하지 못한 여성' = 27 2. 훈련과정 : 공식적인 훈련목표와 실제 훈련내용과의 모순 = 31 1) 물적·인적 조건 = 31 (1) 물적 조건 = 31 (2) 인적 조건 : 남성위주의 훈련교사 = 33 2) 자격증취득위주의 훈련 : 평생직업인으로서의 의식교육 미흡 = 39 3) 직업훈련에 대한 여학생의 태도 및 갈등 = 45 (1) 직업훈련생이라는 열등감, 상대적 박탈감 = 45 (2) 군대문화의 잔재 : 외출제한, 기숙사생활 = 47 4) 학생통제 원리 : 성별분리통제, 여성성 재강화 = 51 (1) 성별분리통제 = 51 (1-1) 소수 여학생 위주의 통제 = 52 (1-2) 학생 대표조직의 남성위주 : 가부장적 위계구조의 재생산 = 55 (2) 여성상 강조 : '여성전문기능인 양성' 목표와의 모순 = 57 3. 취업과정 = 62 1) 취업현장 및 취업조건 = 62 2) 취업의 원리 : 100% 취업률 확보, 학생소외 = 69 3) 기업체의 여성기능인 채용상의 차별 : 나이, 여성으로서의 장벽 = 73 4. 소결 : 기능인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 74 1) 직업훈련원 입학 목적 : 전문기능인이 되기 위한 기능습득 = 74 (1) 단순사무직 노동에 대한 한계 인식 = 75 (2) 부모님으로부터의 경제적 독립 : 사회인으로서 흘로서기 = 76 (3) 대학진학을 위한 발판 = 77 2) 교육의 중요성 = 79 Ⅳ. 결론 = 87 참고문헌 = 91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764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공직업훈련-
dc.subject여성차별-
dc.subject위탁훈련-
dc.subject여성상-
dc.subject.ddc300-
dc.title공공직업훈련에서 여성차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iscrimination of Women in Public Vocational Training-
dc.format.page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