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숙-
dc.contributor.author이미경-
dc.creator이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4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40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인식론적인 시각으로 조명해보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대체로 헤겔이전의 인식론들은 이성의 인식을 최우선의 인식으로 간주하는 데에 있어서 그 이성적 인식의 정당화 문제와 이에 따른 주객 이원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칸트의 경우 그는 이성의 권리를 인간의 경험일반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라는 측면에서 이성이 파악하는 지식은 필연적이며 보편타당하다는 것을 밝히지만, 경험의 근거조건으로서의 이성은 바로 그 조건이 적용되는 경험을 통해서 밖에 확인할 수 없다는 순환성이 발생한다. 더우기 그러한 이성의 조건이-즉, 인식주관의 사고형식이-감각적 경험을 보편타당하고 필연적인 선험적 종합인식으로 구성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주관의 사고 형식을 통해 나타난 현상만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현상을 촉발하는 근거(원인)으로서의 물자체는 경험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소위 칸트철학이 불가지론을 형성하게 되는 이유이다. 칸트의 철학은 인식에 대한 비판적 상위관점에서 참된 인식에 관한 선험적인 조건들을 먼저 규명하는 선험적 방법론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래서, 헤겔은 인식을 일종의 도구로 파악하는 전통적인 통념에서 벗어나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인식 과정 그자체에 주목할 것을 주장한다. 즉, 우리의 의식이 대상을 인식해 나가는 과정 그자체를 있는 그대로 서술하는 방식인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주체와 객체의 이원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 가장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감각지에서부터 출발하여 대상의식이 필연적으로 전개되어 나가는 의식의 연속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는 것을 통해서, 개념(주체)과 대상(객체)이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절대지에까지 도달한다. 헤겔에 있어서 절대적 진리는 일상적인 자연적 의식에 매개됨으로써 생성되어지는 것으로, 이행과정에서 의식은 자기부정을 통해서 새로운 단계의 의식으로 변화하는 변증법적 운동을 경험하는 것이다. 의식의 변증법적 운동은 의식의 부정과 매개가 의식자신의 내적 기준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기때문에 인식외적인 검증기준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정당화의 문제도 초래하지 않는다. 헤겔에 있어서 의식이 대상을 인식한다고 할 때에는 이미 의식내에 물자체라는 대상의 즉자적인 측면과 또 한편으로 의식에 대한 존재라는 측면이 모두 내포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대상의 즉자적인 측면과 그에 대한 의식의 지가 일치하는지 여부만이 문제가 될 뿐이다. 만일 불일치가 생기면 의식은 자기자신을 대상에 적합하게 만들기위해 자신의 知를 변경시킬 경우 그것은 본질상 대상에 관한 개념이기 때문에, 대상자체도 변경되어야 한다. 이 때, 그 知가 자부하는 진리성은 무너지며 새로이 일치를 보증하는 새로운 知의 형태가 의식에 나타나게 되는 고로, 이러한 발전적인 전개과정 끝에 절대知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식의 검증기준을 자체적으로 소유하는 의식의 변증법적 자기운동은 존재와 사유가 일치하는 지점에서 이성의 권리가 극대화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처럼 헤겔의 철학이 나름대로 주객의 이원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종래의 철학에서는 깨닫지 못했던 하나의 원리, 곧 반성적 사고로서의 변증법을 채용함으로써 가능해진 것이다. 헤겔은 칸트와는 달리 모순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모순을 통하여 의식이 반성으로 행하는 변증법적 운동이라는 것에 착암함으로서 개념과 대상, 주체와 객체간의 변증법적인 통일을 꾀했던 것이다. 헤겔에 있어서 반성적 사고로서의 변증법은 존재의 원리이자 인식의 원리로서, 이것을 Ding의 법칙과 Ding fu¨r uns에 의한 사유의 법칙이 일치한다는 그의 절대관념론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기위한 원리였던 것이다. 『정신현상학』은 이와같은 주체와 객체의 통일성이 그것의 이념이 되며, 그리고 의식의 변증법적 운동이라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그 이념이 성취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그 주객동일성의 이념이 칸트의 선험의 선험적 통각개념에서 비롯되었다는 점과 피히테의 철학으로부터 헤겔이 의식의 변증법적 운동이라는 개념을 빌려와서 적용시켰다는 철학사적 관점하에서 헤겔의 철학이 기존의 인식론이 당면했던 문제, 인식의 검증기준의 정당화 문제와 주객의 이원성 문제를 극복한 면면들을 고찰한 것이다.;The thesis has its aim in reading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8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Pre-hegelian epistemologist, while positing rational cognition at the highest point in the hierachy of knowledge, had failed to solve the problem concerning the justification of rational cognition and, accordingly, concerning the duality between subject and object. For example, Kant contends that knowledge acquired by reason is necessary and universally vailid by proving that the right of reason is the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of human experiences in general. However, the necessity that the existence of reason as the condition by which experience in general is to be possible, can be confirmed only by the very exprience, renders his argument circular. Furthermore, according to his doctrine, we are unable to experience the thing itself, the basis(origin) of phenomena. Since, as long as this kind of the condition of reason-that is, the form of thinking on the part of cognitive subject-makes it possible for sense experiences to be transcendental synthetic knowledge which is universally valid and necessary, the scope of what is known to us is limited to the phenomena which are categorized by the form of thinking subject. This is the point where Kant's so-called agnoticism arises. The source of Kant's aporia of the unknowable is in his transcendental methodology which posits a certain critical vintage point of knowledge and then, seeks the trascendental conditions of its possibility. Contrary to the tranditional method which considers cognition as a means, Hegel suggests that critic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ctual and concrete cognitive process itself. He intends to overcome the duality between subject and object by applying phenoemnological method by which the actual process of cognition is described as it is developed. In 「Phenomenology of Spirit」, starting from ordinary and concrete sense knowledge, the object of his descriptive analysis of the sucssesive and necessary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reaches the absolute knowledge where concept(subject) and object are to be united into one. For Hegel, the absolute truth has its origin in and arises from ordinary and natural consciousness, and here, consciousness experiences dialectic movements, in which one consciousness of a stage is to be developed into another of a higher stage through the activity of self -negation. Owing to the dialectic movement of consciousness, the epistemological system of philosophy of Hegel does not have the burden of verifying cognitive criteria or the burden of justifying the validity of knowledge. As, in Hegel's sense, the cognition of object by consciousness implies both the thing itself as the object-in-itself and the being-for-itself within consciousness, the only issue is whether or not, the the object-in-itself corresponds to the conscious knowledge about it. The conscious incessantly continues to change its knowledge to adapt itself to object, and accordingly, the object itself is to be changed, because the knowledge is, in essence, concepts about the objects. Throughout the process of active development does a new form of knowledge keep arising out of consciousness and knowledge reaches its absolute. Hence, the summit of dialectic self-movement of consciosness which includes criterion of validity of cognition in itself, is where being and thought coincides, and where the right of reason is maximized. It is by adopting the dialectic as the principle of reflexive thinking that philosophy of Hegel could overcome the problem of the subject-object split. Contrary to Kant, he accepts and mobilizes the concept of contradiction, and furthermore, by focusing on the dialectical movement of reflexive consciousness, pursues the dialectic unification between concept and object. For Hegl, the dialectic as reflexive thinking, is the principle of both being and cognition. It is this principle which supports his absolute idealism that the law of Ding and the law of thinking, Ding fur uns coincide. The idea of 「Phenomenology of Spirit」 is the unification of subject and object and it is achiev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ialectical movement of conciousness. This thesis presupposes two points which can be assumed when we overview history of philosophy:One is that the idea of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has its origin in the Kant's concept of transcendental apprehension, and the other is that Hegel's concept of dialectic movement of consciousness owes its motives to philosophy of Fichte. Accordingly, This thesis concerns itself with understanding what kinds of epistemological issues Hegel had faced at his times and in what way he sought after solutions for those, i.e. the problem of justifying the validity of epistemological criteria, the problem of overcoming the subject-object du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Ⅱ. 칸트의 선험적 방법론 = 8 A. 선험적 연역 = 8 B. 선험적 방법론의 한계와 헤겔의 비판 = 13 Ⅲ. 「정신 현상학」에서의 현상학적 방법론 = 19 A. 피히테의 자아의 변증법 = 21 B. 헤겔의 현상학적 방법 = 26 Ⅳ. 의식의 변증법 = 35 A. 감성적 확신 = 35 B. 지각과 物의 모순 = 40 C. 오성과 초감성적 세계 = 45 Ⅴ. 절대지 개념과 체계의 원환성 = 55 Ⅵ. 결론 = 63 참고문헌 = 67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85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헤겔-
dc.subject인식론-
dc.subject정신현상학-
dc.subjectHegel-
dc.subject.ddc100-
dc.title헤겔의 "정신현상학"에 관한 인식론적 독해(讀解)-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ading of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dc.format.page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