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松雅-
dc.creator李松雅-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73-
dc.description.abstract無重力의 상태에서 모든 事物이 허공을 자유로이 浮游하듯, 세계에 대한 絶對的인 意味내지는 價値尺度를 상실한 現代藝術은 전통적인 藝術과는 달리 열려져 있는 이른바 多元主義(Pluralism)이라는 특성을 갖게 되었다. 이런 현대 예술가들에게 日常世界는 個別的 直觀에 의해 인식되게 되어 그 이해의 방법과 회화적 수용방법 또한 多樣해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리하여 방법론, 기법론적인 면에서도 쟝르간의 수렴현상, 형상성의 부활등의 特徽을 보게 되었다. 이에 本人의 작업은 일상세계에서 선별된 요소들의 美的가치를 再發見하고 有機的으로 組合하는 가운데 그것들이 자아내는 詩的 想像力을 통해 그 요소들에 이미 내재되어 있을 수 있는 의미의 단편들을 捕捉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론적인 면에서는 포스트 모더니즘以後의 綜合主義를 택해 그 두드러진 特徵인 抽象的 요소와 具象的인 요소를 서로 對立되는 개념으로 이해하지 않고 同等하게 수용하였다. 여기에서 抽象的인 요소는 色의 重疊에 의해 表現하였는데 色은 주로 순수한 색을 위주로 화면에 뿌리거나 붓거나 하는 技法을 여러번 反復하여 표현하였으며 具象的인 요소는 전통적인 사실묘사의 형태에 대한 시각적 경험에 근거한 직접적인 묘사보다는 그들을 抽象的 공간에 서로 중첩시켜 省略과 描寫의 二重技法에 의해 詩的으로 표현하여 감성 또는 직관에 의해 이해되는 隱喩的 메세지를 담고자 하였다. 즉 개인적이고 내적인 언어를 驅使하여 감상자가 은유적 차원에서 작품에 접근하게 한 것이다. 그리하여 항상 그림속에는 언어적으로는 이해 되지 않고 想像力만이 읽어 낼 수 있는 固有의 領城이 남겨져 있게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本人의 그림은 세기말에 있어서의 신비적, 내면적 세계의 탐구와 연결되는 상징주의(Symbolisme)전통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本人은 實在와의 斷絶을 인정하고 있지만 그로 인해 복잡해진 현대사회의 단순한 반영이 아닌 우리들이 喪失한 것들에 대한 愛着의 表現이며 그들 각각의 美的 價値나 의미 즉 그것들의 평안한 美感을 다루고자 하였다. 따라서 本 硏究는 일상적인 작은 사물에서 포착해낸 의미의 단편들로부터 있을 좀 더 包括的이고 새로운 비전을 향해 귀를 기울이는 作業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의미라는 것은 단편적으로 포착할 수 없기에 忍耐를 가지고, 또 意味를 위해서 자신의 自由를 능가하는 어떤 것에 의존해야 하기에 겸손함을 가지고 世界의 意味를 探究하는데 注力하고자 한다.;Just like everything wafts freely in space in a state of free gravity, modern artists, who have lost absolute meaning of the world and have no ability of value Judgement achieved characteristic of pluralism in an open state, differently from traditional artistst. These modern artists perceive the ordinary life in an individual intuition. As a result, the method of understanding and that of pictorial reception became various. Besides, the characteristics of focalizing among genre and revival of shape also appeared in the fields of methodology and techniques. My work is to re-find the aesthetic value of the elements chosen from ordinary life and compound them systematically, and through the poetic inspiration which is derived from them, I wanted to catch the fragments of meaning which may be already existent in those elements. In the point of methodology, I took the synthetic philosophy, which appeared after post modernism, and admitted both the abstract element, which is the prominent element, and the objective element togther, not as an opposite concept. I expressed the abstract element by means of overlapping colors: I repeated the techique of splashing and pouring colors on a paper, mainly pure ones. In the case of traditional descriptions of reality, we cammand direct descrions based on an optical experience of form. But in the case objective description of elements, we pile up the elements one on another in abstract space, and describe them in a poetic expression by means of a dual technique of omission and description, and tried to include metaphorical messages which can be understood through emotion or intuition, i.e, I commanded personal and inner language and wanted the viewer to approach my work of art in a metaphorical dimension. I always tried to leave a proper domain in my painting which can not be understood by means of language but by means of immagination only. In this context, my painting can be said to belong to the sybolisme tradition, which is connected with the search for the mystic inner world at the end of a century. In my study, I admit the rupture with reality which is the ? meaning of the world, but it is not a simple ? of a complicated modern world but the expression of attachment to the things lost, and the contents of which are individual aesthetic value and meaning, i.e., their peaceful aesthetic feeling. Accordingly, my study can be said to be the work of listening to a new comprehensive vision which may be in the fragments of meaning which we grasp from daily trivial things. We cannot perceive meaning in fragments, so, to catch the meaning, we must rely on something which exceeds one's own freedom. I would like to concentrate my effort to search for the world's meaning in a modest w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1 Ⅰ. 序論 = 3 1. 硏究 目的 = 3 2. 硏究 內容 = 4 3. 硏究 方法 = 5 Ⅱ. 本論 = 7 1. 日常世界를 보는 눈 = 7 2. 詩的 表現의 可能性 - 想像力과 意味의 傳達 = 12 3. 抽象性과 具象性의 混在 = 14 4. 色과 畵面의 重疊 = 18 5. 作品分析 = 21 Ⅲ. 結論 = 45 參考文獻 = 47 參考作品 = 48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57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일상세계-
dc.subject시적표현-
dc.subject본인-
dc.subject작품-
dc.subject동양화-
dc.title日常世界의 詩的表現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oetic Expression of Ordinary Life : focusing on my painting-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