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3 Download: 0

홍대용의 근대지향적 교육사상 연구

Title
홍대용의 근대지향적 교육사상 연구
Authors
이지민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교육사상홍대용근대지향교육제도개혁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세화
Abstract
The educational ideas of Hong Dae Yong(洪大容: 1731-1783) provide the connection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 new education. It enables one to adapt the new edcational thoughts without imparing the traditional ideas. In the 18th century, Chosun(朝鮮) was in a turmoil of sweeping changes.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e change collapsed the existing feudal order which depended on both the agricultural economy and rigid status system. Sungrihak(性理學), the long-inherited theoretical framework of Chosun kept loowing its power and was not appropriate for the new appeared social order, either. Meanwhile, the thorough awareness of social reality succeded in taking shape of a new trend of thoughts, called Pukhak(北學). As a leading figure of Pukhak, Hong Dae Yong stans on the basis of Ki Philosophy(氣哲學), which pursues something practical and positivistic rather than the metaphysical and moral principles. From the standpoint of Ki Philosophy, he considers men as natural, equal and individuated beings. Also, he excludes the man-centered world view. Rather he insists on the objective observation to the nature and takes a scientific views. He thinks the old Sungrihak is something empty because it lacks of reality. And he advocates a new kind of knowledge which relies on the scientific and empirical studies. His educational ideas presents an ideal of the educated person: who is endowed with the internal morality and outer power to practice for social justice. For the content of learning, he emphasized the substantial knowledge and scienee which are avaliable for everyday life. He considers science ane technology a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 for general education. It means that he tries to change the deep-rooted hierarchic distinction of knowledge. For the educational methods, he recommands a kind of empirical study which deals with the nature directly and practical use of reading. Standing on the human equality, he is against the status heredity. He maintains that everyone get his vocation according to his own ability. He thinks this social reform will be possibly done through the educational reform consisted of compulsory education and public employment system. The compulsory education will give all the children the equal opportunity to education. And the public employment will be don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Hong Dae Yong's educational ideas concerns the equal opportunity of education, educational reform, practical use of learning and science education. Those ard the same attributes which can be found in the modernized education at the late 19th century in Korea. With the endowments of objetivity and independency in thoughts, he changes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to be open to the newly adapted western culture.;본 연구는 洪大容(1731-1783)의 교육사상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교육과 신교육을 연결하는 맥락을 찾고자 한다. 홍대용은 능동적으로 새로운 사상을 수용할 수 있는 근대지향적 교육사상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18세기 조선사회에 나타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변동은 농업중심의 생산양식과 신분제도에 기반한 봉건질서를 무너뜨리고 있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지도이념이었던 성리학은 이미 새로운 사회질서를 이끌어 갈 힘을 잃고 있었다. 북학사상은 철저한 현실인식과 변화의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형성을 지향하는 독자적 사상체계를 전개하였다. 북학사상의 선구자인 홍대용은 氣哲學의 전통에 철학적 기반을 두었다. 실제적이고 실증적인 것을 중시하는 기철학을 통해 현실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사상체계를 확립할 수 있었다. 인간관에 있어서는 평등성과 개별성을 인정하고, 윤리적 구속에 얽매인 도덕적인 이상인이 아닌 인간 본래의 모습을 긍정하였다. 그리고 인간중심적인 편견에서 벗어난 객관적 인식과 과학적 사유를 통해 열린 세계관을 확립하였다. 그가 제시한 地球球形說, 地轉說, 無限宇宙論과 같은 과학적 지식은 객관적이고 상대적인 세계관을 열어놓았다. 과학적 세계관에서 확립된 평등원리는 전통적 華夷觀을 극복한 민족주체의 역사관과 봉건적 신분관을 벗어난 사회사상으로까지 확대되었다. 홍대용은 유학의 氣哲學의 입장을 계승하면서 서양의 과학기술을 받아들여 북학이라는 체계적인 사상을 형성하였다. 홍대용에 의해 성립된 북학사상은 성리학적 구조에 기반을 둔 기존의 교육론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사상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는 주자학 절대우위, 禮숭상, 명분론적 사고에 빠진 학문을 虛學이라고 진단하고, 진정한 학문정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실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의 교육적 이상은 안으로는 도덕적 인격을 갖추면서, 밖으로는 사회에 필요한 행동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실증, 실용을 중시하는 입장은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현실생활에 실질적인 이용이 가능한 실용학문교육과 실증에 기초한 과학기술교육을 강조하였다. 과학과 기술을 독립학문으로 확립하고 일반교육내용으로 설정한 것은 양반과 중인의 교육내용이 구분되던 전통적 과학기술교육론을 변혁한 것이었다.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실재사물을 직접 탐구하는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방법과 글을 통해 얻은 진리를 현실에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는 문제해결형의 독서관을 전개하였다. 홍대용은 인간평등론에 바탕하여 세습적인 신분제도를 해체하고 모든 사람들이 능력에 따라 사농공상의 직업에 종사하는 새로운 신분제도를 구상하였다. 그는 사회개혁의 실현은 모든 아동들에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부여하는 의무교육을 통해 양성된 인재를 능력에 따라 관리로 등용하는 貢擧制度를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의 교육사상은 인간평등사상에 기초한 교육기회균등, 이를 위한 과거제도폐지와 교육제도 개혁, 실생활과 연결되는 실용교육과 과학기술교육의 강화라는 근대지향적이고 민족주체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열려진 세계관과 과학적 태도, 이용후생의 북학사상을 통해 교육 근대화의 구체적 전망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개화기 신교육의 성격과 공통점을 보여준다. 주체성과 객관성에 입각하여 전통적 유교이념을 변용하면서 외래학문을 토착화하여 성립된 새로운 사상체계는 근대사회의 이념과도 상통하는 사상적 지향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