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인체의 형상을 통한 조형성 연구

Title
인체의 형상을 통한 조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ormativeness through a body shape
Authors
박원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인체조형성형상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재
Abstract
미술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은 그 시대적 상황에 따른 필연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전개 양상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요건과의 상호연관성에서 많은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고 진행되어 왔다. 현대미술은 현대사회의 기계적환경으로 인한 비인간화와 이 시대의 참된 정신적 비젼을 상실한 현대인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 안에서 꾸준한 양식(樣式)의 교체와 이즘(ism)의 복합이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표현 양식이 공존하고, 활발히 전개되는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본인은 개인적이며 주관적인 선택기준으로 사용된 작품의 소재를 통해 작업에 임하였으며, 현대사회와 인간의 실존 문제를 인간 형상을 소재로한 조형성 추구 작업을 통해 반영하고자 하였다. 예술은 삶의 본질적 실상을 파악하고 표현하는 것이라는 명제하에, 내용적인 면에서는, 시대의 문화와 심리적 분리 현상인 소외가 현실 반영을 위한 예술적 참여로 표현될 수 있는 배경과 소재에 대한 주관적 해석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또한 조형화 작업이 시도된 근거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방법적인 면에서는, '소외' 개념의 표면화 과정의 결과로 보여지는 꼴라쥬 기법과, 선에 의한 단순화, 변형 캔버스에서 보여지는 각각의 요소를 참고 작품을 통해 그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후원문 누락);It can be said that the various form and contents of art definitely resulted from the state of the times. It ha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trends of correlation with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needs. The contemporary art is properly reflected in the inhumanization because of the Mechanical circumstances of the Modern community, and in the phase of the times of a Modern who losted the genuine spiritual vision of the contemporary. And in it, the change of the style and the composition of the ism are continuously occurred. In the flows of the contemporary art which involve various ways of expression and develop it actively, I take in my work with the material that selected by personal and subjective criterion. And I intended to project human existence through pursuit of formativeness with a body shape. In the contents, I intended to search for a subjectively coded possibility on the materials and backgrounds that the alienation - psychological division phenomena with the social culture - can be a artistic parttaker in reality - reflection, and also research and evidence for tried formative work. In another aspect, the ways, I aimed to find surtain relevance between collage, to be resulted from disclosure process of ‘alienation’, and its simplification by line, and each factor shown in shaped canvas - through the reference works. Finally I examined the expressive results of work to analyze my work. I want to implicate contents and forms into my works, and identify my world objective for the time of Graduate School, and take it a basis to search for my 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