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강행아-
dc.creator강행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4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0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the Subset Principle and its potential opera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The Subset Principle assumes that children acquire their first language (Ll) within Universal Grammar (UG) and that they use a particular strategy in managing UG. With this strategy, children come to the particular grammar of their Ll in spite of the serious defects of the lingustic data available to them. Prior to propose the learning theory of the Subset Principle, Manzini & Waxier(1987) analysed Chomky's Governing Category Principle (GCP) to explain the various binding phenomena in several natural languages such as English, Italian, Icelandic and Japanese, and subdivided GCP into five values which are in a subset/superset relation to each other. The analysis of GCP implies that other parameters of UG can also be subdivided into more than two values in a subset /superset relation to each other. The learning theory of the Subset Principle is as follows. At the initial stage of Ll acquisition, children select the smallest value and apply it to their Ll. They replace this value with a larger one whenever they meet new positive linguistic data which do not conform to the chosen value. The process of replacement goes on until they arrive at the proper value of their Ll. Through the process of repeated replacement, children come to the correct grammar of their Ll with positive evidence but without negative evidence.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of the Subset Principle, the study hypothesized as follows. First, the Subset Principle will operate in SLA, which predicts that the learner at the initial stage of L2 learning will select the smallest value and apply it to L2. Second, if the learning theory of the Subset Principle operates in SLA, the learner's mother tongue will have no influence on SLA. That is because the learner will select the smallest value regardless of the value of his/her mother tongue. To verify those hypotheses, four groups of Korean students and one control group of native English speaker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presented with experimental tests of grammaticality judgements on English sentences relevant to the Adjacency Principle. The experiment was purposed to find out which one the subjects select of the two values of Adjacency Principle, [+strict adjacency] and [-strict adjacency].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First, both the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marked low scores and they were judged not to apply the smallest value of adjacency principle, [+strict adjacency] to English. The university students marked much higher score than the rest of the Korean subjects: thus, they were judged to apply [+strict adjacency] value to English better than the other subjects.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predicting that the learner at the initial stage of language learning will select the smallest value was rejected. Second, the mean scores of each group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learning period. The one-way ANOVA analysis of the scores of each group showed that the scores of each group are highly interrelated with the distinction of each group. This implies that the general knowledge of second language in-creases and the influence of mother tongue diminishes as the learning period gets longer. From these results, conclusion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it is not appropriate to regard the Subset Principle as operating in SLA. Second, the length of learning period and the knowledge of mother tongue have great influence on SLA.;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학습원리로서의 부분집합원리(subset principle)의 내용을 고찰하고 둘째, 모국어습득을 토대로 한 이 원리가 외국어학습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부분집합원리는 어린이의 모국어습득이 보편문법의 틀속에서 이루어진다고 전제하고 어린이들은 특별한 학습전략을 가지고 보편문법에 임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학습전략을 통해서 어린이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지는 언어정보의 심각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모국어의 개별문법에 도달하게 된다. 학습원리로서의 부분집합원리를 제안하기에 앞서 Manzini와 Wexler(1987)는 영어, 이탈리아어, 아이슬란드어, 일본어와 같은 자연언어에 나타나는 다양한 결속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Chomsky(1981)의 지배범주원리(Go-verning Category Principle)를 매개변인화시켜 서로 계층적 포함관계에 있는 다섯가지 매개변인값으로 세분화하였다. 이러한 지배범주원리의 분석은 보편문법의 다른 원리와 매개변인들도 서로 계층적 포함관계에 있는 두개 이상의 매개변인값으로 세분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학습원리로서의 부분집합원리는 다음과 같다. 모국어습득 초기에 학습자는 최소의 매개변인값을 선택하여 모국어에 적용한다. 자신이 채택한 매개변인값으로 설명되지 않는 새로운 긍정적 언어정보를 접할 때마다 이에 걸맞는 더 큰 매개변인값으로 기존의 매개변인값을 대체시킨다. 이러한 대체과정은 모국어에 적합한 매개변인값을 만날때까지 계속된다. 이렇게 반복적인 대체과정을 통해서, 어린이는 부정적증거(negative evidence) 없이 긍정적 증거(positive evidence)만으로도 모국어의 올바른 문법체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부분집합원리 개념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부분집합원리는 외국어학습에도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외국어학습 초기단계의 학습자는 최소의 매개변인값을 선택하여 외국어에 적용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부분집합원리의 학습원리가 외국어학습에 그대로 적용된다면 모국어는 외국어학습에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못할 것이다 외국어학습자가 모국어에 알맞게 고정된 보편문법지식을 이미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모국어지식에 관계없이 최소의 매개변인값을 선택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네개의 실험집단과 영어 모국어화자를 통제집단으로 각각 선정하였다 이들에게 영어의 "인접원리(adjacency principle)"와 관련된 영어문장의 문법성을 판단하는 실험용 문제지를 제시하였다. 실험의 목적은 이들이 인접원리의 두 매개변인값인 엄격한 인접원리(+strict adjacency)와 덜 엄격한 인접원리(-strict adjacency)중 어느 매개변인값을 선택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실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고등학생 집단은 낮은 점수를 얻었으므로 이들은 인접원리의 최소 매개변인값인 엄격한 인접원리를 영어에 적용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학생집단은 나머지 집단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얻었으므로 나머지 집단보다 엄격한 인접원리를 영어에 잘 적용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외국어학습의 초기단계에 있는 학습자가 최소의 매개변인값을 선택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각 집단간의 평균점수는 학습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높아졌다. 각 집단의 점수를 일원 분산분석한 결과는 각 집단의 점수와 집단구분이 매우 밀접하게 상호관련 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학습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외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증가하고 모국어의 영향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서 첫째, 부분집합원리가 외국어학습의 학습원리로서 작용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둘째, 학습기간의 길이와 모국어지식이 외국어학습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입력(Input) 정보 = 4 B. 언어습득의 논리적 문제 (The logical problem of language acquisition) = 5 C. 부분집합원리 (Subset Principle) = 12 D. 인접원리 (Adjacency Principle) = 3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4 A. 연구가설 = 34 B. 연구방법 = 35 C. 연구의 제한점 = 40 Ⅳ. 연구결과 = 42 A. 전체 집단별 및 문항별 실험결과 = 42 B. 실험집단별 유의도 검증 = 48 C. 연구결과에 대한 종합적 논의 = 52 Ⅴ. 결론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59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040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외국어학습-
dc.subject부분집합원리-
dc.subject한국인-
dc.subject영어학습자-
dc.title외국어학습에의 부분집합원리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인접원리에 대한 지식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otential Operation of the Subject Principl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Korean EFL student's knowledge on the Adjacency Principle-
dc.format.page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