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희영-
dc.contributor.author李海淑-
dc.creator李海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1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0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036-
dc.description.abstract아동화의 발달은 각 단계마다 특징을 지니므로 그림의 표현 내용, 방법 등과 관련지어 연구할때 그 단계의 소재 선택 경향과 선택에 따른 표현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연구의 목적은 국민학교 4, 5, 6학년 미술과 표현 학습에서 수채화의 소재 선택 경향과 그에 따른 표현 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의 내용은 서울, 진해, 구만(경남)에 있는 국민학교 4-6학년 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소재를 자유로 선택하게 하여 수채화 선택 경향을 분석 하였으며 또한 각 지역별 및 학년별, 성별로 수채화를 미술 표현 학습에서 보았을때 그에 따른 표현 특성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학생작품, 성적, 설문지 등으로 연구 하였으며, 수채화 표현 학습에서 소재를 자유롭게 선택하게 하여 그린 작품 540점을 통계처리 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대표성이 있는 서울, 진해, 구만에 있는 국민학교 4-6학년 810명을 대상으로 수채화 소재선호, 흥미도, 학습 효과를 파악하고 백분율에 의하여 분포현황을 알아보고 x^(2)검증에 의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채화 소재선택 경향은 전반적으로 볼 때에 풍경화(42.0%), 정물화(24.7%), 인물화(18.2%), 상상화(15.1%)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시골 아동들은 대체로 풍경화를 더 선호 하였으며, 도시 아동들은 대체로 정물화를 더 선호 하였다. 학년별로는 저학년 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인물화, 상상화에서 정물화, 풍경화를 더 선호 하였다. 또한 수채화의 표현 특성(주제, 구도, 대상의 묘사, 운동감, 대상의 방향, 배경처리, 색채, 색의 사용수, 색 선호도)은 지역 및 학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도시 아이들이 시골 아이들 보다 표현 능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하여 풍경화. 정물화가 많았고 표현 효과도 더 우수하였으며, 특히 색채감이 더욱 다채롭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자라나는 아동들은 주변 환경 및 교육 여건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Each stag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ainting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ts own. The expressional contents end methods in different stages of children's painting are shown to have distinct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the choice of the subject matter. This research aims to study expressional effects resulting from the choice of watercolor painting done by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in their painting clas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10 Fourth to Six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in Seoul, Jin-Hae and Guman (Kyungnam Province). These children were given freedom to choose their painting subject matter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according to preference, age, sex, region to find their comparative characteristics.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tudents' paintings, books, grades in painting classes, questionnaires and a total of 540 water-color painting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sed. A total of 810 primary school students in Seoul, Jin-Hae and Gumao answered the questionnaire, which had questions on the choice of the subject matter, interest, learning effects and the results were shown in percentage and processed statistically by Chi-Square(x^(2)). The study showed that on the whole the choice of the subject matter went from land scape painting(42.0%), still-life painting(24.7%), portrait painting(18.2%), to imaginary painting(15.1%) in the order of preference. Regionally, children in the country showed a decided preference for landscape painting while those in the urban areas prefered still-life painting. Analysed according to the age, the preference of the children from the lower to higher grades went from portrait painting to imaginary painting and then to still-life and finally to landscape painting.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subject matter, composition, delineation, movement, direction of the object, treatment of background, colour, frequency of colour, colour preference, etc.) also varied according to the region and age: on the whole urban children were found to possess higer ability of expression.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more female students chose landscape and still-life painting than male students and were on the whole better at expressional effects, particularly in the diversity of the colors they used. The study showed that children are susceptible and easily influenced by their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di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필요 = 1 B. 연구목적 = 2 C. 연구내용 = 2 D. 연구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미술교육의 목적 및 특성 = 4 B. 미술이 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 9 C. 국민학교 미술 교육 = 13 D. 수채화의 일반적 특성 = 17 E. 국민학교 수채화 학습의 특성 = 18 F. 수채화의 소재와 학습효과 = 20 G. 환경과 표현 = 21 Ⅲ. 서울과 중소도시 및 시골 아동들의 수채화 소재 선택 경향과 특성 비교 = 22 A. 수채화의 소재선택 경향 = 22 1. 지역별 소재선택 경향 = 23 2. 학년별 소재선택 경향 = 26 3. 성별 소재선택 경향 = 27 B. 수채화에 나타난 특성 비교 = 28 1. 주제 = 29 2. 구도 = 31 3. 대상묘사 = 33 4. 운동감 = 35 5. 대상방향 = 37 6. 배경처리 = 39 7. 색채 = 41 8. 색 사용수 = 43 9. 색 선호도 = 46 Ⅳ. 결론 = 52 참고문헌 = 55 설문지 = 56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264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미술과-
dc.subject수채화-
dc.subject표현학습-
dc.subject.ddc700-
dc.title국민학교 미술과 수채화 표현학습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국민학교 4-6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rimary school student's water-color paintings of expressional learning in the school's fine arts curriculum : Emphasis on the 4th, the 5th, the 6th Grades of primary school-
dc.format.page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