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자형-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reator이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0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1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1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건강지각정도와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학령기 아동의 건강교육을 위한 지침이 되고 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하기 위한 건강증진 사업에 도움이 되고자 건강에 대한 중요성,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와의 관련성을 보았다. 연구대상은 임의추출한 서울시내에 위치한 국민학교 4, 5, 6학년 학생 396명이었으며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3년 10월 12일 부터 19일까지 7일간 이었다. 연구도구는 기경숙(1985)이 개발한 건강행위 실행 측정도구와 Ware(1979)의 "Health Perception Scale"을 이향련(1987)이 번역한 건강지각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Wallston, Maides, Wallston이 발전시킨 건강가치척도를 이용하여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산술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ne 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4학년, 5학년, 6학년이 각각 29.1%, 38.9%, 32.0%였으며, 남학생이 49.1% 여학생이 50.9%였다. 대상자의 27.2%가 입원경험이 있었으며 35.5%가 가족중 아픈 구성원이 있었다. 2. 건강에 대한 중요성에서 대상자의 68.0%가 건강에 높은 가치를 두었으며,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는 85.27%로 나타났다. 3. 가설 검증 가설 1:"건강에 대한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의 이행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0.4273, p=0.000). 가설 2:"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는 높을 것이다"도 지지되었다(r=0.1141. p=0.014). 4. 성별에 따른 차이는 건강지각(t=2.13, p=0.034),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t=3.30, p=0.001), 건강증진행위(t=-4.57, p=0.000)에서 유의했다. 즉, 건강지각에서는 남학생(M=38.8587)이 여학생(M=37.7173)보다 지각정도가 높았으며,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에서는 여학생(M=7.838)이 남학생(M=6.946)보다 높았으며, 건강증진행위에서는 여학생(M=55.3927)이 남학생(M=91.8043)보다 이행을 더 잘했다. 5. 대상자의 입원경험과 건강지각(t=-2.44. p=0.016)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입원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건강지각이 높았다. 6. 가족중 아픈 구성원 유무와 건강지각(t=0.31, p>0.05),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t=-0.20, p>0.05), 건강증진 행위와(t=0.57, p>0.05)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학년별로는 학년이 낮을수록 건강지각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7579, p=0.0013). 8. 건강증진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건강지각이 18.3%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성별, 입원경험의 변수를 첨가했을때 27.5%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이 증명되어 본 연구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부분적으로 지지함을 보여주었으나 설명력이 27.5%로 낮으므로 다른 요인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This study wa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omotion and the health perception of school-age children. Also this study was designed t 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hildr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guide health education of school-age children and enha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o determine whether selected components of the model relate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a sample of late school-age children. This study selected cognitive/perceptual variables-health perception, importance of health: and selected modifying variables-demographics(sex, grade), interpersonal influences(sick member of family), behavior factor(hospital experi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6 school-age children who were convenience sampled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October 12-19. 1993 by means of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Health Behavior Scale developed Ki(1985)(26 items), the Health Value Scale developed by Wallston, Maides, Wallston(1980) (1 item) and the Health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Ware(1979) and translated by Lee(1987) (13 item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program. The rese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1st hypothesis : "The higher the level on the health perception, the higher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upported(r=0.4273, p=0.000). 2. The 2nd hypothesis : "The higher the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health, the higher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upported(r=0.1141, p=0.014). 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ariables predicting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perception, sex, hospital experience accounted for 27.5% of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at order. This study showed health perception direct effected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s reported support in part for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Fu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iscover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chool-age children and to develop appropriate instruments on school-age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D. 연구 가설 = 5 E.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6 A. 이론적 배경 = 6 B.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연구 = 10 C. 본 연구의 개념적 틀 = 17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설계 = 19 B. 연구대상 = 19 C. 자료수집기간 = 19 D. 연구 도구 = 19 E. 자료분석방법 = 21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건강에 대한 중요성 인식정도 = 23 C.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 = 24 D. 가설 검증 = 26 E. 기타분석 = 28 F. 건강증진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 예측 = 32 Ⅴ. 결론 및 제언 = 33 A. 결론 = 33 B. 제언 = 35 참고문헌 = 36 부록 = 42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841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령후기 아동-
dc.subject건강지각-
dc.subject건강증진행위-
dc.subject간호학-
dc.title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Health Perception and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ate School-Age Children-
dc.format.page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