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9 Download: 0

象徵的 形狀을 통한 內的表現

Title
象徵的 形狀을 통한 內的表現
Other Titles
Internal Expressions through Symbolic Images
Authors
金慶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상징형상내적표현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藝術의 本性은 정신성과 감각적 현상의 결합이며, 모든 藝術의 목적은 우리의 외적 관조와 정신 작용을 통해 실제적인 현상과 형태로 表面化시키는데 있다. 또한 인간에게 있어서 藝術은 스스로를 객관화하여 自意識에 도달하게 하려는 '思惟의 本性'을 현실화하는 한 필수불가결한 표현 방법이며, 외적으로 현존하는 것 속에 자신의 內面을 投射시켜 그 속에 객관화된 자신의 모습을 다시 인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주관을 통해 객관을 이룰 수 있으며, 무의식을 통해 의식에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주관과 객관, 무의식과 의식에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藝術活動을 外的對象과 內面世界와의 辨證法的 규정에 의한 表現活動이라고 본다. 本人의 作業은 인간에 대한 관심으로 부터 출발하여, 나아가 인간의 본질적인 內面世界를 표현하는데 주력해왔다. 그러한 과정으로서 本人의 內面世界를 지배하는 '無意識의 世界'에 잠재된 image 를 화면위에 표현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本 硏究는 이러한 무의식의 세계를 객관화 하기 위해 精神分析學的 측면의 이론들을 援用하였으며, 藝術에 있어서 이러한 무의식의 세계가 象徵이라는 매개로 형상화되고 있음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무의식의 세계를 象徵的으로 표현하여 作品에 임했던 작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하였다. 本人 作品에 있어서 표현 방법으로는 象徵的인 deform과 순수조형요소 (점·색·면)와의 조화를 통해 抽象的인 화면으로 구성하였고, 표현재료로서는 동양 회화의 기본 재료인 묵의 특성을 살려 화면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얻어진 作品들을 분석함으로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本人의 作品 世界를 정리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A nature of art is a combination of mental and senual phenomena, and its aim is focused to reveal them as realistic one or forms by our external contemplation and mental process. As also for men, art is an indispensible expressing method, as far as it realizes 'a nature of thought' which objectifies itself to reach self-consciousness. They recognize themselves to project their inner world to the outer existences, in which their images have objectified. Namely the object is completed by the subject, consciousness is accomplished by unconsciouness, so that there are made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them In this point of view, we may regard artistic activity as expressive by the dialectic rules between external word and internal. I have started from interest in human, and have advanced to express inner world of a human nature. For the process for it I intended to express potential image, sunked in 'unconsciousness world' that reigned my inner one, onto the screen. This research adopts psychoanalyic theories to objectity this unconscious world, and surveys that it is revealed by a medium, symbol. Also it supports the statement to glance over the artists who made the works of symbolized unconscious world. As for the espressing methids, I arrayed symbolic deforms and pure formative elements(dot, color, face) concordantly into a concrete screen, and for the materials, I enriched a basic tool of the Oriental paintings, ink, to compose the screen. In invetigated the problems in the workd as a result of it, so I desired to make my world of art clear and distin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