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금-
dc.contributor.author정종원-
dc.creator정종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8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and causal attribution that parents have about their children's misconduct. And, it was also to examine whether attributions about children's competence and responsibility for misconduct mediate the effects that parent effects and child effects have on parents' discipline preferences. To satisfy thos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parents' attributions about their children's misconducts and the children's sexes? 2.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parents' attributions about their children's misconducts and the children's age? 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parents' attributions about their children's misconducts and the parents' sexes? 4. What relation exist between the parents' attributions about their children ' s misconduct and parents' disciplin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8 mothers and 228 fathers of who had children aged 3, 5, 7. The instrumment that is devised and used by Dix, Ruble, and Zambarano(l989) is modified and used by this researcher.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our stories. After reading these stories, parents were asked to answer their causal attributions and discipline. The data of the present study were analyzed with th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rents had almost similar attribution about their children's misconduct no matter what their children's sex is. Also, the parent's inference about the child's knowledge of relevent rul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hild's sex. However, the parent's inference about the child's knowledge of relevent rul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hild's sex. 2. The parents had different attribution about their children's misconduct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s. The parent of yonger child had the more internal attribution about the child's misconduct than older child. The age-related change in the parent's attribution was observed in the four items related to the knowledge, capacity, expectancy, and responsibility.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arent's attribution according to the parent's sex. Mothers had the more internal attribution about their child's misconduct. The mother's inference about child's knowledge and mother's expectancy was more internal. But, the parents had almost similar inference about child's capacity and responsibility no matter what their sex is. 4. The parental discipline was influenced by parental attribution. The parent's inference about child's knowledge, responsibility and parent's expectancy influenced the dimensions of power assertion. And, the parent's inference about child's capacity influenced 'calm-induction', a discipline prototype. The parent's inference about their expectancy influenced ' stem-induction'. And, the parent's inference about child's responsibility influenced ' stern-induction' , ' stem-punishment', 'calm-induction+punishment', 'stern-induction+punishment'.;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과정을 분석하여 자녀의 연령, 성별과 어머니.아버지에 따른 부모 귀인 과정의 특성을 알아보고, 부모의 귀인에 따라서 자녀에 대한 부모의 훈육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양식은 자녀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양식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양식은 부모간에 차이가 있는가? 4.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양식은 부모의 훈육행동에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 3, 5, 7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228명과 아버지 2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Dix, Ruble, Zambarano가 제작하여 연구에 사용했던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귀인을 묻는 문항이 16문항, 부모의 훈육행동을 묻는 문항이 권위적 훈육행동을 묻는 16개의 문항과 훈육행동 모형에 대하여 묻는 2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모들은 그들 자녀의 성별에 관계없이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유사한 귀인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인의 하위 영역에 따라서는 여아의 부모가 남아의 부모보다 자녀가 자신의 행동이 나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부정적 행동을 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2. 부모들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하여 다른 귀인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은 연령이 어린 자녀보다 나이 든 자녀의 부정적인 행동을 자녀의 내부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귀인의 하위 영역에 따라서는 자녀의 연령이 높은 경우 자녀가 자신의 행동이 나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좀더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으며, 자녀에게 부정적 행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3. 어머니와 아버지는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귀인에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의 부정적 행동을 자녀의 내적인 요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귀인의 하위 영역에 따라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가 자신의 행동이 나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며, 자녀의 행동이 어머니 자신의 기대와는 크게 다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4. 부모가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하여 갖고있는 귀인 양식은 부모의 훈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귀인 양식은 부모가 권위적 훈육행동을 취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자녀가 자신의 행동이 나쁘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자녀에게 부정적 행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고, 자녀의 행동이 부모 자신의 기대와 크게 다른 것으로 생각할수록 권위적 훈육행동을 하게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양식은 부모의 훈육행동 모형을 모두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귀인은 특히 훈육행동의 '엄격함' 차원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가 자녀의 부정적 행동을 자녀의 내부적인 원인으로 귀인할수록 엄격한 훈육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 6 B. 부모의 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 1. 자녀의 연령 = 10 2. 자녀의 성별 = 12 3. 어머니·아버지 = 14 C. 부모의 귀인에 따른 자녀에 대한 훈육태도 = 16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2 C. 연구 절차 = 26 D. 자료 분석 = 2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9 A. 자녀의 성별에 따른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 29 B. 자녀의 연령에 따른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 = 31 C. 어머니, 아버지간의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귀인 = 35 D.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이 훈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37 Ⅴ. 논의 및 결론 = 40 A. 논의 = 40 B. 결론 = 45 참고문헌 = 48 부록 = 54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19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기 자녀-
dc.subject부정적 행동-
dc.subject부모-
dc.subject귀인과정-
dc.subject훈육유형-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귀인과정 및 훈육유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rental Attributions and discipline about Their Children's Misconduct-
dc.format.page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