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희수-
dc.creator임희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서의 연속성을 종단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설계중 1차연구로서 첫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살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알아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자녀의 성, 자녀의 기질, 사회계층,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라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고, 이 네가지 변인들이 첫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과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가 어떠한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세 전후 (생후 36개월 전후)의 첫자녀를 둔 총158명의 어머니들이며,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Block (1984) 의 CR PR(Child Rearing Practices Report) 를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기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Buss와 Plomin (1975) 의 EAS (Emotionality,Activity,Sociability) 를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oach, Frazler 와 Bowden (1981) 이 개발한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 을 번역하여 간략형으로 수정, 사용한 유은희·박성연 (199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T-검증, ANOVA, Duncan's Itiple RanHe Teat,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자녀의 기질 중 정서성은 사회성과 양육행동 범주중에서는 '부정적인 감정표현', '비일관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활동성은 사회성 그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사회계층은 '독립성 격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결혼만족도는 '독립성 격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부정적인 감정표현', '애정표현', '경험에 대한 개방성', '합리적인 지도'와 각각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모든 범주들 ('독립성의 격려', '과보호', '아동에 대한염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초기훈련의 강조', '부정적인 감정표현', '애정표현', '경험에 대한 개방성', '비일관성', '합리적인 지도') 은 아동의 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자녀의 기질에 따른 양육행동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아동의 사회성 점수의 상·하 집단별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모든 범주에 있어 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동의 정서성은 두집단간에 어머니의 양육행동 범주중 '부정적인 감정표현'과 '비일관성'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아동의 활동성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범주중 '독립성의 격려', '경험에 대한 개방성' 범주에서 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범주는 '독립성의 격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부정적인 감정표현', '애정표현', '경험에 대한 개방성', '비일관성', '합리적인 지도' 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독립성의 격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애정표현', '경험에 대한 개방성', '합리적인 지도' 점수가 높으며 반대로 '부정적인 감정표현', '비일관성' 점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사회계층 (상, 중상, 중하) 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범주들은 '독립성의 격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었다. 즉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아동에 대한 '독립성의 격려', '아동으로 인한 즐거움', '경험에 대한 개방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자녀의 성, 자녀의 기질, 사회계층,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첫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범주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계층, 자녀의 기질, 자녀의 성도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들인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이와같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해 특정한 방향의 양육행동을 형성해 나간다는 것을 시사 받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ther's child rearing practices on the first-born as a functioning of child's sex, child's temperament, social class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158 mothers of 3 years old first-born children in Seoul. Block(1984)'s CRPR, Buss & Plomin(1975)'s EAS and Roach et al, (1981)'s MSS were used to measure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tegories of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ere not found according to child's sex.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s temperament and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That is, the more child's temperament is difficult, the more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are restrictive and irritable, In contrast, the child temperament is easy, the more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are joyful, open and rationale. 3. The sig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ere found according to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 more mothers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the more they showed positive child rearing practices such as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enjoyment of child', 'expression of affect', 'openness to experience' and 'rational guidance'. 4.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enjoyment of child' and ' openness to experience' of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ere found according to social class. The mothers of higher social class emphasized more 'encouragement of independence', 'enjoyment of child' and 'openness to experience'. 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the maternal child rearing practices was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Ⅱ. 이론적배경 = 3 A. 주요개념 = 3 1. 양육행동 = 3 2. 기질 = 4 3. 결혼만족도 = 7 3. 사회계층 = 8 B.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관련된 변인 = 9 1. 자녀의 성 및 출생순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 9 2. 자녀의 기질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 12 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 15 4.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 17 C. 연구문제 = 2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4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24 B. 측정도구 = 28 1. 양육행동 측정도구 = 28 2. 아동의 기질에 대한 측정도구 = 32 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측정도구 = 33 C. 연구절차 = 33 D. 자료분석 =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6 A.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 36 B. 자녀의 성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 39 C. 자녀의 기질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 41 D.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에 따른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 43 E.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행동 = 46 F.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모든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 48 Ⅴ. 논의 및 결론 = 52 참고문헌 = 59 부록 = 70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257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첫자녀-
dc.subject어머니-
dc.subject양육행동-
dc.subject관련변인-
dc.title첫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관련변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other's Child Rearing Practices on the First-bor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