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中心 內容 把握 戰略의 顯示的 授業이 讀解力 向上에 미치는 效果

Title
中心 內容 把握 戰略의 顯示的 授業이 讀解力 向上에 미치는 效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RATEGY OF MAIN CONTENT ANALYSIS OF EXPLICIT INSTEUCTION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uthors
李明順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중심 내용파악 전략수업독해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This Study purport the development of reading skills of students and utilizes the experimental method in order to discover the effects of the strategy of main content analysis of explicit instruction on the development of interpretational skills centering on the classroom setting. The strategy of main content analysis is not only implemented in order to recognize the format the author uses in structuring the content of the writing being read, furthermore through this process of organization the reader may render correlative information into groupings and understand more easily and effectively what is being read. The strategy of main content analysis is learned through a process known as suggestive instruction. No matter what form the study session assumes, the teaching-learning relationship in the classroom is the cooperative work between student and teacher. In explicit instruction, the cooperative project begins with the showing of examples by the teacher. Primarily, the responsibility of interpretation lies explicitly in the teachers do-main and gradually the responsibility is transferred from the teacher to the student. During this process the teacher instructs and guides and the student claims direct practice, The teacher, during such an instruction process, inclines the students by stimulating their intellectual thinking process and asking questions relevant to the self reflective thoughts of students on their usage of language and finally motirates the students to actively utilize materials in interpretational activities. As for the process of explicit instruction of interpretational skills, the study adapts the phases of Pearson and Leys(1985). (1st phase: showing of examples and explication by the teacher, End phase: guidance and practice, 3rd phase: inspection of contents taught by the teacher, 4th phase: independent study and application by the student)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each divided and randomly dispatch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two groups were again divided into the group of superior capability and the group of lower capability.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 persons. 20 out of the 40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placed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underwent tri-fold levels of preliminary understanding examination, preliminary reflective examination, and preliminary examination concerning the strategy of main content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20 rounds of training(learning) concerning 60 pieces of learning material, chosen 5 pices each from the levels 3 to 6 according to the 9 levels of strategic analysis of main content by Baumann(1986), Finally the examination of understanding, the reflective examination and the examination of strategy concerning main content analysis was resumed ex post facto on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both cases of examination, the scores were statistically organized according to in-group and inter group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The group with explicit instruc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udents' abilities to understand writing and refle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the group classed with superior capabilities showed higher improvement rates than the lower clas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 on understanding and reflective scores were higher concerning the group with superior capabilities. 2. Explicit instruction was also effective on the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f explanatory writing on non-related majors(pure science, Social science). In effect the instruction process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f not only the Korean Language Dept. but other non-related subjects as well. 3. The group of explicit instruction also display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ime -lapse understanding reflection. The scores immediately after the improved more with time lapse than experiment. 4. With the progress of the teaching process the group undergoing explicit instruction displayed improvement in the accuracy of interpreting the question making proc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ulightenment on the importance and the need for teaching strategical reading abilities and the need to develope fully the various forms of teaching strategies.;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목적을 두고 교실 상황을 중심으로 중심내용 파악 전략의 현시적 수업(explicit instruction)이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實驗方法을 통하여 알아 보았다. 중심 내용 파악 전략은 글을 읽을 때 저자가 내용을 어떻게 조직하고 있는 지를 알아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직화를 이용하여 관련된 정보들을 가지고 정보꾸러미를 만들어 글을 쉽고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중심 내용 파악 전략이 顯示的 수업이라는 절차를 통해서 가르쳐졌다. 어떤 형태의 수업이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은 교사와 학생의 공동작업이다. 현시적 수업에서의 공동 작업은 교사의 시범으로 시작된다. 처음에는 독해의 책임을 전적으로 교사가 담당하다가 점차 교사로부터 학생에게로 이양되어 간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안내를 해 주고, 학생은 직접 연습을 하는 것이다. 이때 교사는 학생의 지적 사고 활동을 촉진시키고, 자신의 언어 사용에 대하여 반성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질문을 던져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자료를 활용하면서 독해 활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현시적 독해지도의 절차로 Pearson and Leys(1985)의 단계를 적용하였다(제 1단계 : 교사 시범 및 설명, 제 2단계 : 안내와 연습, 제 3단계 : 교사의 가르친 내용 점검, 제 4단계 : 독자적인 학생 연습과 적용) 본 연구에 참가한 피험자들은 각각 실험 집단, 통제 집단에 무선 배치되었고 각 집단은 다시 상위 능력 집단과 하위 능력 집단으로 나누어 졌다.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모두 40명이었다. 이 중 실험집단(20명)과 통제 집단(20명) 학생들은 3차시에 걸쳐 사전 이해 검사, 사전 회상 검사, 사전 중심내용 파악 전략 검사를 실시하였고, Baumann(1986)의 중심내용 파악 전략의 9수준 중 3-6수준에서 각 수준별로 5개씩 택하여 실험집단에게 20차시에 걸쳐 60개의 자료물을 훈련하였다. 마지막에는 사후 이해 검사, 사후 회상 검사, 사후 중심 내용 파악 전략 검사를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에 동시에 실시하였다. 각 실험의 전, 후 검사의 점수에 대해서는 집단내, 집단간의 차이를 통계 처리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시적 수업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학생들의 글의 이해와, 회상에서 의미있는 향상을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내의 상위 집단 학생들이 하위 집단의 학생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즉 현시적 수업이 이해 ·회상 검사 점수에 미치는 효과는 상위 집단 학생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현시적 수업은 자연과, 사회과 설명문의 이해 ·회상에도 전이되었다. 즉 다른 과목의 이해 ·회상 능력에도 국어과와 마찬가지로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세째, 현시적 수업 집단은 파지의 이해와 회상에도 의미있는 향상을 보였다. 실험 직후보다 오히려 시간이 경과한 후 점수가 향상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네째, 훈련이 진행됨에 따라 현시적 수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질문 만들기의 독해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읽기 전략 훈련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찾을 수 있으며, 읽기 전략 지도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