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근숙-
dc.creator김근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6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6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상담자의 언어반응 유형과 내담자의 자아개념 수준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상담자의 언어반응을 상담자의 정서가 개입된 자기관여 반응과 정신분석 이론의 주요기법인 해석중에서 잠정적 해석으로 하였고 내담자의 특성은 자아개념으로써 점수의 고·저수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72명의 중년여성으로 자아개념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각각 36명씩 나눈 후 상담자의 자기관여 조건과 잠정적 해석 조건에 18명씩 무선할당하었다. 각 조건에 따라 모의상담을 실시한 후 피험자들에게 상담자 평가 질문지, 사후 질문지 및 사후 질문지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자료처리는 상담자 평가에서 전문성, 신뢰성, 호감도 점수와 추가 질문지에서 언어반응의 도움정도, 상담자와 만나고 싶은 정도 점수를 종속측정치로 하여 2(언어반응 유형)x2(자아개념 수준)의 이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속성 지각에 있어서 피험자들은 잠정적 해석 조건보다 자기관여 조건일 때 상담자에 대한 호감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자기관여 반응을 한 상담자는 잠정적 해석을 실시한 상담자보다 전문성이 더 높게 지각되었다. 또한 전문성 지각에서는 상담자의 언어반응과 내담자의 자아개념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나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서 단순효과 검증을 통해 언어반응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아개념 점수가 높은 피험자는 잠정적 해석보다 자기관여 조건의 상담자에 대하여 전문성을 더 높게 평정했지만 자아개념 점수가 낮은 경우 자기관여 반응과 잠정적 해석 조건의 평정간에는 차이가없었다. 셋째, 다른 종속변인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초기상담에 있어서 상담자의 자기관여 반응은 잠정적 해석보다 더 효율적인 언어반응으로 밝혀졌다. 또한 상담자의 언어반응은 내담자의 특성보다 상담과정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부분에서 언급하였다.;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unselor's verbal responses and client's self-concept on process of the couseling.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t was examined the differential effectiveness of two counselor's verbal responses(self-involvement and tentative interpretation) when delivered to subjects who were classified as high-group and low-group according to self-concept. A total of 72, middle-aged women were preselected as subjects by Self-concept Test, and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ere high-group and low-group. Subjects in both the high-group and low-group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experimental conditions ; self-involvement and tentative interpretation. Subjects listened to taped interactions of the initial phase of counseling with a female counselor and a female client and rated the Counselor Rating Form-Short, added questionnaire and post questionnaire.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experiment were subject's perception of the counselor's social influence (expertness, trustworthiness, attractiveness), the helpfulness of councelor's verbal responses and the subject's willingness to see the counselor in counseling.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y 2 (verbal responses) × 2 (self-concept). MANOVA and ANOVA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rated more highly the counselor's attractiveness in the self-involvement than in the tentative interpretation style. Second, subjects perceived more highly the counselor's expertness in the self-involvement than in the tentative interpretation style.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counselor's verbal responses and client's self-concept, too. That is to say, the self-involving counselor was rated more expert than the tentative interpretation counselor by the clients in high-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tentative interpretation counselor from the self-involving counselor in low-group. Fi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main effects due to the other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lf-involvement respons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entative interpretation on counseling outcome and that counselor's verbal response was more significant than client's attribute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counseling and for further research on counseling process we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상담자의 자기관여 반응 = 4 B. 상담자의 해석반응 = 8 C. 자아개념 = 11 Ⅲ. 연구방법 = 14 A. 피험자 = 14 B. 실험 설계 = 15 C. 실험 도구 = 15 D. 실험 절차 = 18 E. 자료 처리 = 19 Ⅳ. 결과 및 해석 = 20 A. 상담자에 대한 속성 지각 = 20 B. 추가 질문지 분석 = 24 Ⅴ. 요악 및 논의 = 27 참고문헌 = 31 부록 = 39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16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심리-
dc.title상담자의 언어반응과 내담자의 자아개념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