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환-
dc.contributor.author조인경-
dc.creator조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4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7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5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72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as viewed by student teachers and to analyze disparity in relation to the cooperating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How about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as viewed by student teachers? 2. How about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to promot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 teacher and children or between the student teacher and the cooperating teacher? 3. How about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to guide teaching activities? 4. How about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5. How about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to orient student teaching? 6. How about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to evaluate student teach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58 seniors wh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2 universities and 2 junior colleges in Seoul and Kyunggi-do. For this study, the tool was a corrected and improved version of the qeustionnaire used by Kuehl and Castillo. The analyzing methods of data were X^(2)-test, t-test, frequence,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was mid-level degree. Student teacher perceived that the highest degree of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was role of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 whereas the lowest degree was orienting on student teaching. The cooperating teacher's career and scholarship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2.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to promot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 teacher and children or between the student teacher and the cooperating teacher was mid-level degree. Cooperating teacher's scholarship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at 'Develop well-balanced program of student teaching activities for student teachers'. 3.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to guide teaching activities was very much varied. Cooperating teacher's career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at 'Avoid making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ent teachers'. 4.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to support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were beyond the mid-level degree at all items. 5.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to orient student teaching was below the mid-level degree. 6. The cooperating teacher's role performance to evaluate the student teacher was beyond the mid-level degree. The cooperating teacher's scholarship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at 'Hold scheduled conference periods with student teacher'.;본 연구의 목적은 교생들의 인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을 알아보고 실습 지도교사의 경력과 학력 등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생들이 인식한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교생들이 인식한 교생-유아, 교생-실습 지도교사간의 관계증진 역할의 수행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3. 교생들이 인식한 교수 활동 지도 역할의 수행 정도는 어떠하며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4. 교생들이 인식한 교생의 성장 기회 제공 역할의 수행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5.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안내 역할의 수행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6. 교생들이 인식한 교생 평가 역할의 수행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지역 소재 2개 전문대학과 2개 4년제 대학 총4대 대학의 유아교육과 졸업반 학생 336명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Kuehl과 Castillo의 연구에서 교생·실습 지도교사·대학 장학사들이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한 실습 지도교사의 역할행동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회수된 총 299부(89.0%) 가운데 자료로 적당하지 않은 41부를 제외하고 총 258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은 전반적으로 보통의 수준이었다. 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유형별로는 교생의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고 있으며 실습 안내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을 실습 지도교사의 학력·경력 등의 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지도교사의 교생-유아, 교생-실습 지도교사간의 관계증진 역할에 대한 수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보통의 수행정도를 보였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실습 지도교사는 교생들의 아이디어를 긍정적으로 받아주거나, 신뢰감을 표시하는 것, 학생에서 교사의 역할로 잘 변화하도록 도와주는 행동 등 교생-실습 지도교사의 관계증진을 위한 역할들을 비교적 잘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교수방법을 시범보이는 역할에 대해서는 수행 정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실습 지도교사의 경력별로 볼 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력별로 볼 때 '교생을 위해 균형잡힌 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항목에 대해 전문대를 졸업한 실습 지도교사가 더 비효율적으로 역할 수행을 하는 것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지도교사의 교수 활동 지도 역할에 대한 수행을 살펴본 결과, 실습 지도교사의 수행은 매우 다양한 경향을 보였다. 다른 교생과의 비교를 피하고 교실운영기술, 의사소통기술 발달을 도와주는 행동은 비교적 효율적인 역할 수행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아동들에 대한 진단전략·평가전략, 성유형화 교수를 하지않도록 돕는 역할에 대해서는 보통이하의 수행정도로 인식되었다. 실습 지도교사의 경력별로 볼 때 '교생평가시 다른 교생과 비교하지 않는다'는 항목에 대해 경력 3년이상의 실습 지도교사가 더 비효율적으로 역할 수행을 하는 것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실습 지도교사의 학력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지도교사의 교생 성장 기회 제공 역할에 대한 수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보통이상의 수행정도를 보였다. '교수과정에 점진적인 참여를 제공한다'는 항목은 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인식되었다. 실습 지도교사의 경력·학력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안내 역할에 대한 수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보통이하의 수행 정도를 보였다. '유아들에게 교생에 대해 설명한다' '교수계획과 수업계획이 발달되도록 한다' '학습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되도록 한다'는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보통이하의 수행 정도를 보였으며, 특히 '교사지침서, 참고서, 전문서적과 관련된 보조자료를 제공한다'는 항목은 가장 낮은 수행 정도를 보이므로써 보다 적극적인 역할 수행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지도교사의 경력·학력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지도교사의 교생 평가 역할에 대한 수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보통이상의 수행 정도를 보이고 있다. 교생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평가하거나 일일계획을 체크하는 역할은 비교적 효율적으로 역할 수행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교생들과 규칙적인 협의시간을 갖는다'는 항목은 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 정도가 보통이하로 인식되었다. 실습 지도교사의 경력별로 볼 때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실습 지도교사의 학력별로 볼 때 특히 '교생들과 규칙적인 협의시간을 갖는다'는 항목에 있어서 전문대 졸업 실습지도교사가 더 비효율적으로 역할 수행을 하는 것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육실습 및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영향 = 6 B.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 17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대상 = 28 B. 연구도구 = 30 C. 연구절차 = 33 D. 자료분석 =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5 A. 교생들이 인식한 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 = 35 B. 교생-유아, 교생-실습 지도교사간의 관계증진 역할에 대한 수행 = 38 C. 교수 활동 지도 역할에 대한 수행 = 44 D. 교생의 성장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에 대한 수행 = 49 E. 실습 안내 역할에 대한 수행 = 52 F. 교생 평가 역할에 대한 수행 = 56 Ⅴ. 논의 및 결론 = 60 A. 논의 = 60 B.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2 부록 = 79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976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교생-
dc.subject교육실습-
dc.subject지도교사-
dc.subject.ddc300-
dc.title교생들이 인식한 유치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ole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 as viewed by Student Teacher-
dc.format.page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