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慶州 南山 禪房谷寺址 三尊石佛의 考察

Title
慶州 南山 禪房谷寺址 三尊石佛의 考察
Other Titles
(A) Study of the Buddha Triad of Sonpangsa in Kyongju
Authors
崔希先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Keywords
경주 남산선방곡사지삼존석불미술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우방
Abstract
The Triad of stone sculpture at the valley of Soˇnpang(禪房谷) of Namsan mountain(南山) in Kyoˇngju(慶州) is deeply influenced by the styles during the periods of the Northern Ch'i(北齊), the Northern Chow(北周) and Sui(隋) in China. A triad is generally consists of a main Buddha in the center and two attendant Bodhisattvas, each on both sides of the main Buddha. The two attendant Bodhisattvas are generally said to be much the same in their form and style. But in case of two attendant Bodhisattvas, each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style of the expression and the volume. Those differences on characteristic styles regarding the two Bodhisattvas seem to represent two different characteristic styles of the different periods of the Northern Ch'i and Northern C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Chow's Bodhisattvas centered in Chang-an(長安) have a large double makara ornament with a long jewel chain and a dazzling array of lotus and pearl shaped jewels, which is in the tradition known from Northern Chow and the early Sui Bodhisattva images of the Shen-si(陝西) region,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Northern Ch'i's around the Hop-ei(河北) province are known as simplified images with soft lines. The figures take on rounded shapes, loose U-shaped folds and broad and stocky proportions. The archaic smile is still to be found on many of the faces. The two different provincial and local differences of style are more noticeable during the Sui period with a certain degree of mixture. Those styles of the Northern Ch'i, Chow and Sui greatly influence the two attendant Bdhisattvas, and accordingly they represen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different age and province. The influence of the Sui Buddhist sculpture concerning imagery is significantly shown in Korea from about the seventh century, and becomes a relevant factor in the analysis of a number of sculptures such as the Amitahba Triad of Mt. Soˇndo(仙桃山 阿彌陀 三尊佛) and the Triad of Kunwi(君威三尊佛). The process of the research was as follows: 1. Each Buddhist image of the Triad at the valley of soˇnpang, which is the basis of this thesis, was studied in the light of the place of origin and the time reference. 2. Each Buddhist image of the Triad was analyzed through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Ch'i, Chow and Sui. 3. Various other Buddhist sculptures regarded as the Triad of the same 7th centu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三國時代) were analyzed her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Sui. As a result, the status of the Triad in the history of Old Silla's sculpture was identified. 4.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ad on the basis of the drawn-out genealogy of the artistic styl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慶州 南山의 拜里에 위치하고 있는 禪房谷寺址 三尊佛은 矮軀에 웃음을 머금고 있는 北齊周樣式이 강한 新羅의 佛像이다. 그러나 本尊佛을 중심으로 하여 비슷한 作風의 대칭적인 脇侍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三尊佛이 갖는 구성과는 다르게, 兩 협시가 아주 대조적으로 다른 作風을 가지고 있다. 즉 우협시는 무겁게 늘어진 全身飾과 목걸이, 팔찌등 영락장엄이 화려하고 二重의 天衣로 복잡한 구성을 하고 있다. 반면 좌협시는 넓게 가슴을 가로지르는 ×宇形 영락과 몸에 밀착하는 단순한 着衣로 소박하고 간결한 作風을 지닌다. 이러한 兩脇侍의 대비되는 作風은 中國의 北周와 北齊, 隋로 이어지는 時代에 나타난 서로 다른 형식의 보살상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즉, 長安을 중심으로 하는 北周는 장식성이 강한 영락으로 全面을 치장하고 矮軀의 童形 표현을 더욱 잘 이루고 있는 반면, 北齊는 보수성이 강한 河北地方을 중심으로 하여 白大理石의 材質을 이용해 얇은 着衣에 신체의 量感을 강조하는 作風을 이루었다. 특히 上半身은 裸身이 많고 간략한 天衣의 주름과 가늘게 上半身을 가로지르는 ×宇形 영락으로 간결한 作風을 이룬다. 이런 지역적인 양식의 差異는 隋代가 되면 더욱 정착되어 長安派의 치장성이 강해 세련되어진 보살상과 河北의 더욱 간결하고 단순해지는 扁平感의 보살상으로 특질이 나누어진다. 이런 北齊周의 전통은 隋前半期(581-600)까지 계속되어지며 隨代의 특징으로는 細長해지는 신체, 표정의 경직성, 자세의 직립성으로 부터 벗어나 유연한 자세를 이루려는 隋代의 樣式이 內在되어 있다. 이러한 中國의 北齊周와 隋의 前半期 樣代은 둥근 조형성을 지니며 古拙의 미소와 온화한 作風을이루는 대부분의 우리나라 6, 7C 石佛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三國時代의 三尊佛에서는 本尊佛이 보수적인 古態를 띠는 반면 보살들은 시대적으로 流行에 민감하여 그 시대적 양식변화를 잘 반영한다. 이는 禪房谷寺址 三尊佛, 仙桃山 阿彌陀 三尊佛, 軍威 三尊佛들에 나타나고 있다. 한편 禪房谷寺址 三尊佛의 造形에는 百齊의 영향도 보여지는데 本尊의 降起帶 옷주름과 左脇侍의 北齊的 조형감각은 傳 扶餘出土 蠟石製佛菩薩竝立像의 造形 精神과 통하고 있다. 그리하여 禪房谷寺址 三尊佛은 中國과 百齊의 영향관계에서 한층 進一步하여 자세의 비사실성과 부분적인 생략等의 新羅的 造形 感覺으로 다듬어졌다. 이 三尊佛은 中國의 開皇卄年像까지 보여지는 齊周樣式이 강한 像들을 下限으로 하며, 7C 前半의 作으로 추정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