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자-
dc.contributor.author이형숙-
dc.creator이형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7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4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783-
dc.description.abstract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a model music teaching program and to search for the influence affected to musical talent and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 The researcher col looted all the informations, according to Tyler's curricular structuring principle, concerning the social needs, the learner's needs, the various opinions of experts, and the current trends of music course. And she developed a music teaching program through a previous survey to the subject of a class composed of 45 children of the sixth grade of J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Sujeong-Ku, Sungnam City, and the concrete result of its application is same as follows : 1. What is a model music teaching program for the purpose of an effective and creative work for the sixth grade children of the elementary school? 2. What are the effects to musical talent of the school children? 3. What are the effects to the creativity of the school children? The model music program for creativity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composed as follows : The main objectives of the model music program were arousing interest through free expression of sound obtained in daily life, raising musical talent by the use of musical instruments for the creative action, and raising creativity by the creative expression. The selection of learning experiences was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 musical talent and creativity of children under the free learning atmosphere through guiding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was made by dividing steps of learning into perception, basic function, expression, and internalization to go to deepen, and it was systematized in series. Therefore, the objectives and elements of behavior described formerly were exercised repeatedly to keep on continuity and to maintain integration of other courses, sound pictures, and physical expression. The evalu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was considered for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affected to children through the discrimination of musical talent and creativity. And the musical talent was discriminated into rhythm, timbre or quality, tonal movement, time, loudness or intensity, pitch, tonal memory, and pitch-rhythm imagery, such as eight discriminations, and the creativity was also discriminated into opennes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such as four factors through six kinds of discriminations.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on which the model program affects to children,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tions concerning the creativity and the musical talent 원문누락;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창작 중심의 음악 학습 지도 프로그램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이 아동들의 음악 재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자는 Tyler의 교육 과정 구성 원리에 따라 학습자, 학습자가 살아가는 사회의 요구에 대한 정보, 전문가의 견해, 교과의 동향에서 음악 교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성남시 수정구에 위치한 J국민학교 6학년 한 학급 45명을 대상으로 한 사전 조사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민학교 6학년을 위한 효과적인 장작 중심의 음악 학습 지도 프로그램 모형은 무엇인가? 2. 이 프로그램 내용은 아동들의 음악 재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이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창의성에 어면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자가 개발한 창작 중심의 음악 학습 지도 프로그램 모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일상 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소리를 자유롭게 표현하여 음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악기를 사용하여 창작 활동 함으로써 음악적 재능을 기르며, 악곡의 구성요소에 대한 감각을 기르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두었다. 학습 경험의 선정은 아동들의 음악 재능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동들이 만족할 수 있는 상태에서 경험되며, 연습의 최적 한도를 미리 정하고, 안정되고 자유로운 허용된 분위기에서 아동들이 스스로 답을 찾도록 유도될 다양한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학습 경험의 조직은 학습 단계를 감지, 기초기능 및 표현, 내면화로 나누어 심화시켜 나감으로써 계열화 되도록 하였고, 목표에 진술된 내용과 행동 요소가 반복 연습됨으로써 계속성을 유지시켰으며, 다른 교과와의 통합을 위해서 소리 그림, 신체 표현등을 활용하였다. 학습 경험의 평가는 음악 재능과 창의성 검사를 통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동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서 알아 보았는데 음악 재능은 리듬, 음빛깔, 음마침, 길이, 셈여림, 음의 높낮이, 음외우기, 악보 보고 가리기 등의 하위 검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 모형이 아동들에게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음악재능, 창의성 검사 결과를 SPSS통계 처리를 하였고 전후 검사에 있어 두개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t-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 재능의 전체 점수차를 비교해 볼 때 P<.001 수준에서 전후간에 의미있는 차를 나타냈는데 셈여림 검사에서 가장 및은 점수차가 났으며, 리듬, 음마침 검사에서는 p<.01 수준에서는 무의미하게 나타났으나 p<.05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를 나타냈다. 창의성의 전체 평균치를 비교해 보면, p<. 001 수준에서 전후간에 의미 있는 차를 나타냈고, 융통성, 유창성, 개방성, 독창성의 순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음악 재능 = 5 B. 창의성 = 7 C. 수업모형 = 11 D. 선행 연구 고찰 = 17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연구과정 = 25 C. 검사도구 = 26 Ⅳ. 프로그램 개발 = 28 A.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 = 30 1. 목표 설정의 자료원에 대한 조사 = 30 2. 프로그램의 목표 = 34 3. 학습경험의 선정 및 조직 = 37 4. 평가 = 47 B. 프로그램 = 54 Ⅴ. 결과 및 해석 = 62 A. 음악재능 8개 항목간의 차이 분석 = 62 B. 창의성 4개 항목간의 차이 분석 = 63 Ⅳ. 요약 및 결론 = 65 A. 요약 = 65 B. 결론 및 제언 = 68 참고문헌 = 70 부록 = 73 ABSTRACT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677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아동-
dc.subject음악재능-
dc.subject창작 중심-
dc.subject음악 프로그램-
dc.subject창의력-
dc.title국민학교 아동의 음악재능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창작 중심 음악 프로그램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REATIVE MUSIC PROGRAM DEVELOPMENT FOR THE IMPROV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S MUSICAL TALENT AND CREATIVITY-
dc.format.page1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