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동-
dc.contributor.author남윤희-
dc.creator남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7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4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63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four prepositions-above, on, over, and up-in a model of categorization called a prototypical model and to show the effect of this approach. Each of the above four prepositions is found to have an invariable property that can be abstracted from many different usages. Each preposition seems to have different senses in different con-texts, but each sense can be traced to a prototypical meaning from which different but related senses are derived. Usually the core spatial sense is extended to temporal, abstract and other relations. The core meanings of the four prepositions are shown below (X and Y are entities that are related by the prepositions) : Above : X is higher than Y On : X contacts Y Over : X is higher and larger than Y Up : X moves upwards along Y In order to test the usefulness of this approach, a series of tes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and a experimental group. First, a test, which purports to examine the students' knowledge of the four prepositions, was given without any previous instruction on the prepositions. A second test was given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had received some prototypical instruction on the four prepositions. Four weeks after the second test, a third test was given. The results are as follows(measured in terms of the t-test and the X^(2)-test): In the first test, the control group shows high scores both in the total mean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statistically noticeable: the two groups are equal in understanding of the four prepositions. In the second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dominantly higher scores both in the total mean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Fur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statistically noticeable: the experimental group understands the four preposition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does. In the third test, the control group attains higher scores both in the total mean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statistically noticeabl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four prepositions is equal between the two groups. Finally, the experimental group is only dominant in the second test, by which the prototypical theory proves to be effective for the students to distinguish the four prepositions. However, the effectiveness doesn't seem to last four reeks partly because the memory effect decreases and partly because students doesn't fully understand this approach. Therefore, teachers should explain this approach over and over so that the students can thoroughly understand it, by which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manifest more positive results from this approach.;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이 많은 오류를 범하고 어렵게 느끼는 것 중의 하나가 전치사이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보면 학생들이 전치사를 사용할 때 혼동이 많지만 전치사에 관심을 둔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와 같은 대단위 학급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치사 교육의 모형 및 방법을 제시해보고, 실제로 그 효과를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여기서 제시하는 모형은 원형설에 기초하는데, 이것은 문맥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전치사만의 공간관계를 나타내는 기본의미를 찾아 이것이 시간적이나 추상적으로 확대 적용되는 범위를 밝혀보는 방식을 말한다. 본 논문은 서울 시내 모 여자 고등학교 2학년 2개반을 각각 통제집단, 실험집단으로 삼아 5주에 걸쳐 전치사 above, on, over, up의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3회의 실험과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했고, 검증을 위한 세가지 가설을 세워 2, 3차 실험에서는 그 기각 여부를 밝혔다. 세 가지의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 원형설 학습자(실험집단)와 비학습자(통제집단)는 각 전치사 above, on, over, up별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있다. 나. 원형설 학습자와 비학습자는 총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있다. 다. 원형설 학습자와 비학습자는 각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답율의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실험에서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이 전치사 이해력에 있어 차이가 없는 동질 집단임이 t-검정을 통해 밝혀졌다. 둘째, 2차 실험에서는 연구가설 나만을 입증할 수 있었고, 가와 다는 기각되었다. 즉, 실험집단은 총 문항에 대한 t-검정 결과 통제집단보다 전치사 이해력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각 전치사별 t-검정이나 각 문항별 X^2검정에서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다. 셋째, 3차 실험에서는 연구가설 가, 나, 다 모두 기각되었다. 즉, 두 집단은 총 문항, 각 전치사별 문항의 t-검정이나, 각 문항별 X^2검정에저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보면, 2차 실험때 실험집단이 above, over 의 문항과 총 문항에서 통제집단과 큰 차이를 나타냈고, 28개의 문항중 10개의 문항에서 유이한 차이를 드러낼 사실에 착안하여, 원형설을 실험에서와 같이 1회 설명하는 것으로 그치지 말고 반복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이 이 접근 방식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유도한다면 2차 실험에서 보인 결과보다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원형설의 이론적 배경 = 3 Ⅲ. 원형설에 따른 전치사 above, on, over, up의 의미분석 = 7 A. above = 7 B. On = 11 C. Over = 17 D. Up = 21 Ⅳ. 원형설에 따른 전치사 교육 효과의 측정 및 평가 = 26 A. 가설의 설정 및 연구의 제한점 = 26 B. 연구방법 = 27 C. 연구결과 = 29 Ⅴ. 결론 = 41 참고문헌 = 43 부록 = 46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80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원형설-
dc.subject전치사-
dc.subjectAbove-
dc.subjectOn-
dc.subjectOver-
dc.subjectUp-
dc.subject의미분석-
dc.title원형설에 의한 전치사 Above, On, Over, Up의 의미 분석 및 그 효과의 측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Prototypical Approach to Prepositions (Above, On, Over, Up) and Its Effect-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